□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저출산으로 대학 입학생수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대학 입학생수 감소는 대학의 소멸로 이어질 것이며, 지역경제 전체적으로 대학 소멸로 인한 지역산업 및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저출산으로 대학 입학생수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대학 입학생수 감소는 대학의 소멸로 이어질 것이며, 지역경제 전체적으로 대학 소멸로 인한 지역산업 및 ...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저출산으로 대학 입학생수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대학 입학생수 감소는 대학의 소멸로 이어질 것이며, 지역경제 전체적으로 대학 소멸로 인한 지역산업 및 지역고용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 농후
? 그리고, 기술변화로 인해 인공지능 또는 무인으로 직업과 직무의 대체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대학의 인력 양성과 교육 시스템의 변화에 유의미한 신호를 보내고 있음
? 이에, 중·장기적인 경제·산업 정책과 전문인재 양성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등 체계적인 인재양성 전략 마련 필요
? 인재양성 정책과 관련하여 고등교육에 대한 정부 부처별 사업들의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협력적인 정책추진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 필요
? 대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와 더불어 보다 구조적으로 고등교육 체제, 학위, 교육과정 등 변화가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현시점의 과제가 되고 있음.
□ 연구 내용
?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는 대학의 역할 및 기능 재정립 방향 도출
- 대학의 분류체제 재구조화 방향 도출
- 지역사회와 결합한 대학체제의 개편 방안
- 대학의 평생계속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제도 및 정책적 지원방안 도출
? 교육부 및 중앙정부의 인력양성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성과분석
- 정부의 고등교육재정 투자현황 분석
- 재정지원의 목적, 지원방법, 지원대상, 지원기간 측면에서의 배분현황 분석
- 대학재정지원사업 특성
? 산업분야별 인력수급전망 부처별 현황 분석
- 직업별 전망전략 및 전망 결과
-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결과
- 학력 수준별·전공별 인력수요 전망 결과
- 신기술 분야 인력수요 전망 결과
?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부처별 현황 분석
-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예산 개요
- ’22년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사업 협업예산 편성방향
- 새로운 인력양성체계 구축방향
? 지역기반의 인력양성 사업
- 지역노동시장권, 지방소멸위험지수, 지역 훈련자급률 등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지역 대학과 산업을 분석함.
- 지역, 지역 대학과 지역 연계 산업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기반의 인력양성 사업을 제안함
? 대학의 인력양성을 위한 현재와 미래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 교육과정 혁신
- 산학협력
- 정부 및 지자체와의 협력
? 국가 인재양성정책의 중장기 성과목표 및 추진과제 제언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