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일본, 뉴질랜드의 학교교육 비교: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8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뉴질랜드의 학교교육을 비교함으로써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이 가지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국가의 학교교육을 제도적 측면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한 후 와이탕이 조약을 중심으로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이 가지는 특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뉴질랜드 학교교육은 학제, 학사일정, 교육과정 개정 방식에 있어 한국 및 일본에 비해 유연성이 강하다. 두 번째로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은 대강화와 사회과 영역의 통합성이 강조됨으로서 한국과 일본에 비해 개방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유연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와이탕이 조약(the Treaty of Waitangi)1)의 가치와 정신이 뉴질랜드 학교교육에 반영됨으로써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에는 자연환경에 대한 원주민으로서의 마오리족이 가지는 소유와 이용에 대한 권리가 강조되며, 이문화주의(biculturalism)에 바탕을 둔 다문화교육이 추진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뉴질랜드의 학교교육을 비교함으로써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이 가지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국가의 학교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뉴질랜드의 학교교육을 비교함으로써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이 가지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국가의 학교교육을 제도적 측면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한 후 와이탕이 조약을 중심으로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이 가지는 특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뉴질랜드 학교교육은 학제, 학사일정, 교육과정 개정 방식에 있어 한국 및 일본에 비해 유연성이 강하다. 두 번째로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은 대강화와 사회과 영역의 통합성이 강조됨으로서 한국과 일본에 비해 개방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유연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와이탕이 조약(the Treaty of Waitangi)1)의 가치와 정신이 뉴질랜드 학교교육에 반영됨으로써 뉴질랜드 사회과교육에는 자연환경에 대한 원주민으로서의 마오리족이 가지는 소유와 이용에 대한 권리가 강조되며, 이문화주의(biculturalism)에 바탕을 둔 다문화교육이 추진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New Zealand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Korean and Japanese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ly, institutional aspects of NZ schoo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analysed. Second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nnected to the meaning of the Treaty of Waitangi to show characteristics of NZ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result, three things were ver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NZ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first thing is that NZ school education system is more flexible than Korean and Japanese school education system. The second thing is that the curriculum openness is emphasized in NZ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third thing is that the Maori people’s using and owning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s important to its learn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s carried out founded on the biculturalism in NZ social studies educa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New Zealand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Korean and Japanese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ly, institutional aspects of NZ school e...

      This research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New Zealand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Korean and Japanese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ly, institutional aspects of NZ schoo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analysed. Second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nnected to the meaning of the Treaty of Waitangi to show characteristics of NZ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result, three things were ver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NZ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first thing is that NZ school education system is more flexible than Korean and Japanese school education system. The second thing is that the curriculum openness is emphasized in NZ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third thing is that the Maori people’s using and owning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s important to its learn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s carried out founded on the biculturalism in NZ social studies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유연성으로 본 뉴질랜드 학교교육의 제도적 특성
      • Ⅲ. 개방성으로 본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성
      • Ⅳ. 유연성과 개방성을 강조하는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배경으로서 와이탕이 조약(the Treaty of Waitangi)
      • 요약
      • Ⅰ. 서론
      • Ⅱ. 유연성으로 본 뉴질랜드 학교교육의 제도적 특성
      • Ⅲ. 개방성으로 본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성
      • Ⅳ. 유연성과 개방성을 강조하는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배경으로서 와이탕이 조약(the Treaty of Waitangi)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일, "한국과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저출산·고령화 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59-74, 2016

      2 송언근, "학습의 기본 양식 육성을 지향하는 뉴질랜드 초등 교육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4 (14): 315-333, 2006

      3 "초·중등교육법"

      4 김다원,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6 (6): 319-337, 2017

      5 양병일, "일본의 2017 개정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사고력의 성격-사회과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26 (26): 71-84, 2020

      6 이광우, "일본, 영국, 뉴질랜드,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체제에 관한 일고" 11 (11): 67-91, 2006

      7 이경한,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주요 특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33-43, 2013

      8 김현미, "뉴질랜드 지리 평가 탐색: NCEA Level 3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35-160, 2018

      9 소경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27-50, 2010

      10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일부개정)사회과 교육과정"

      1 양병일, "한국과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저출산·고령화 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59-74, 2016

      2 송언근, "학습의 기본 양식 육성을 지향하는 뉴질랜드 초등 교육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4 (14): 315-333, 2006

      3 "초·중등교육법"

      4 김다원,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6 (6): 319-337, 2017

      5 양병일, "일본의 2017 개정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사고력의 성격-사회과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26 (26): 71-84, 2020

      6 이광우, "일본, 영국, 뉴질랜드,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체제에 관한 일고" 11 (11): 67-91, 2006

      7 이경한,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주요 특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33-43, 2013

      8 김현미, "뉴질랜드 지리 평가 탐색: NCEA Level 3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35-160, 2018

      9 소경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27-50, 2010

      10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일부개정)사회과 교육과정"

      11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호](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제2017-108호 부칙개정 포함)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12 文部科学省, "高等学校学習指導要領"

      13 文部科学省, "小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社会編"

      14 文部科学省, "小学校学習指導要領"

      15 "学校教育法施行規則"

      16 安藤福光, "公立小中一貫校の動向にみる「カリキュラム·アーティキュ レーション」の課題(1)" 77 (77): 183-194, 2010

      17 田中洋, "公立中高一貫校の現状" 68 : 273-284, 2006

      18 文部科学省, "中学校学習指導要領"

      19 Spoonley, P., "Waitangi Revisited:Perspectives on the Treaty of Waitangi" Oxford University Press 136-148, 2005

      20 Belgrave, M, "Waitangi Revisited: Perspectives on the Treaty of Waitangi" Oxford University Press 35-55, 2005

      21 Durie, M., "Waitangi Revisited: Perspectives on the Treaty of Waitangi" Oxford University Press 3-19, 2005

      22 Cubitt, S., "The draft New Zealand curriculum. Curriculum Matters"

      23 Kingi, Te K. R., "The Treaty of Waitangi : A Framework for Maori Health Development" 54 (54): 4-10, 2007

      24 Ministry of Education, "The New Zealan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25 Ministry of Education, "Revised technology learning area"

      26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 Employment, "Pacific Migrants Trends and Settlement Outcomes report"

      27 Statista, "Number of immigrants from leading countries of origin to New Zealand in 2015"

      28 Taylor, D., "New Zealand. TIMSS 2019 Encyclopedia" 2019 : 1-15, 2019

      29 Mutch, C., "New Zealand Social Studies 1961–1995 : A View of Curriculum Change" 1 (1): 5-13, 1996

      30 Macrotrends, "New Zealand Immigration Statistics 1960-2021"

      31 Schagen, S, "Implementation of the New Zealand curriculum: Synthesis of research and evaluation. Ministry of Education Report"

      32 Ministry of Education, "Four year plan 2016–2020"

      33 Ministry of Education, "Five year programme 2021-2025"

      34 "Education and Training Act 2020"

      35 Ministry of Education, "Aotearoa New Zealand’s histories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draft for consultation)"

      36 김현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16, 2013

      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교육과정·교육평가국제동향 연구-뉴질랜드·멕시코·미국·캐나다-"

      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동향 연구: 뉴질랜드·호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