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중등 영재들의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의 특성에 대해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9505
2021
-
373
KCI등재
학술저널
653-677(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중등 영재들의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의 특성에 대해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 본 연구는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중등 영재들의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의 특성에 대해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 소재 S 중학교 1학년 수⋅과학영재로 선발된 남학생 19명을 대상으로 총 3개월간 20차시 미적체험 기반 융합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행과정에서 생성된 학생들의 담화(면담, 학생 발언), 서술적 산출물(저널, 수업 활동지, 설문지), 창의적 산출물(중간 창작물, 최종 창작물), 참여관찰 자료(비디오, 사진, 녹음 자료, 연구자 노트, 연구 보조자 노트)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질적 자료 분석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중등 수⋅과학영재의 사회적 공감능력의 경우, 개인적 공감인 인지적⋅정서적 공감으로부터 점차 맥락적 이해,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역할 실천의 차원으로 발전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한편, 확산적 사고능력의 경우, 유창성에서 융통성, 그리고 독창성의 순서로 발달되는 특성을 보였고,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동시에 형성하며 균형 잡힌 창의적 사고를 조직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중등 수⋅과학영재가 자기주도적으로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발문, 숙고 및 반성, 맥락적 정보 연구, 예술작품의 감상 및 창작과 같은 미적 활동은 궁극적으로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긍정적 기회로 작용하였다. 이는 향후 영재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뿐 아니라 예술을 통한 사회적 공감교육이라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mpathy and divergent thinking express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esthetic experience-bas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to the classes of math and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explored an...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mpathy and divergent thinking express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esthetic experience-bas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to the classes of math and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explored and analyzed. Methods The 20 sessions of aesthetic experience-based integrated classes were conducted for 19 male students selected as freshman math and science gifted students of S middle school in Seoul.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student discourse, descriptive outputs, creative outputs,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analyzed using a reorganized qualitativ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prior researche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mpathy exhibited by the math and science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aesthetic experience-based integrated program are that from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which are personal empathy to contextual understand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role practice has gradually developed. In the case of Divergent thinking, it showed characteristics that developed in the order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addition, ‘Divergent thinking’ to creates ideas and ‘convergent thinking’ to analyze and select ideas generated in this way were formed at the same time, balanced ‘creative thinking’ tended to be naturally organized. Conclusions In this study, various educational methods were presented for middle school math and science gifted students to self-directly cultivate social empathy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Aesthetic activities such as questioning, reflection, contextual information research, appreciation, and creation of works of art experienced by the students in this process ultimately acted as a positive opportunity to cultivate social empathy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목차 (Table of Contents)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에서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동료주도 팀 디브리핑이 임상수행능력과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유학생의 SNS 이용 목적이 유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 페스티벌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어 문법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 기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