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찰성 상교정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미반응 단량체는 레진의 물성과 생물학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다라서 미반은 단량체를 최소화하고 중합률을 최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1363
1999
Korean
515.19
KCI등재
학술저널
296-329(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찰성 상교정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미반응 단량체는 레진의 물성과 생물학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다라서 미반은 단량체를 최소화하고 중합률을 최대...
가찰성 상교정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미반응 단량체는 레진의 물성과 생물학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다라서 미반은 단량체를 최소화하고 중합률을 최대로 하는 중합방법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저자는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중합시간과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률을 비교해보기 위해 시편을 다음과 같이 5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교정용 레진의 분말과 용액을 혼합하여 제 1군은 28℃의 공기중에 보관하였고, 제 2군은 28℃의 물에, 제 3군은 28℃의 물과 30psi의 압력에, 제 4군은 43℃의 물에, 제 5군은 43℃의 물과 30psi 의 압력하에 각각 보관하였고, 10분, 1시간, 12시간, 1일, 3일 경과 후에 각 시편을 Fourier 변환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중합률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중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합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10분경과 후의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제 1군은 12시간 경과 후부터 중합률의 증가가 유의성이 있었고, 제 2군과 3군, 4군, 5군은 1시간 경과 후부터 유의성이 있었다.(p<0.05)
2. 10분과 1일, 3일 경과 후에는 제 5군, 제 4군, 제 3군, 제 2군, 제 1군의 순서대로 중합률이 높았다.
3. 중합시 온도에 따른 비교에서, 1일 경과 후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간에서 43℃에서 중합시킨 군의 중합률이 28℃에서 중합시킨 군의 중합률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4. 압력은 12시간 경과 후를(p<0.05) 제외하고는 중합률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5. 보관방법은 1시간 경과 후를(p<0.05) 제외하고는 중합률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topolymerized resin facilitates a more rapid and easier means for the construction of removable orthodonic appliances than heat cured resin. But many reports reveal that more unreacted monomer is found in autopolymerized resin. It is very important...
Autopolymerized resin facilitates a more rapid and easier means for the construction of removable orthodonic appliances than heat cured resin. But many reports reveal that more unreacted monomer is found in autopolymerized resin. It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maximum degree of polymerization because if polymerization is inadequate, high level of unreacted monomer has been shown to adversely affect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also the question of allergy or toxicity to methylmethacrylate must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according to curing method and curing time.
Five groups were desinged ; Group 1 was polymerizied at room temperature(28℃) ; Group 2 in 28℃ water ; Group 3 in 28℃ water under 30psi pressure ; Group 4 in 43℃ water ; Group 5 in 43℃ water under 30psi pressure for 10 minutes. 1 hour, 12 hour, 1 day and 3 day.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meaured by mean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ncreased constantly in accordance with curing time in all groups and after curing for 10 minutes.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polymerization after 12 hours and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5 after 1 hour (p<0.05).
2.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decreased in the order of Group 5, Group 4, Group 3, Group 2, Group 1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 hour and 12 hours(p<0.05).
3.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Group 4, Group 5 cured at 4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polymerization than Group 2, Group 3 at 28℃ except when the curting time was 1 day(p<0.05)
4. Among Group 2, Group 3 and Group 4, Group 5, the pressure had no effect on polymerization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2 hours(p<0.05)
5. Between Group 1 and Group 2, the method of storage had no effect on polymerization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 hour(p<0.05)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발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각종 불소처치 이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내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Ricketts 분석법에 의한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