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우누이> 설화 속 ‘여우누이’의복합적 형상화 연구 = A study on the complex characterization of ‘Fox Sister’ in the <Fox Sister> t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3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study how “fox sister” in the <Fox Sister(여우누이)> tale is characterized, and how the meanings of tale are formed accordingly. First of all, I discussed that the strong transcendence of “fox sister” is related to the praying for daughter birth and fox, and it influence her actions and battle with supporter. The fox sister and the supporter are both described as transcendent beings, and their battle becomes the substantive confrontation in the tale.
      After discuss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owerful “fox sister” and the supporter, I focused on the cases in which the supporter appear as the brother’s wife(the fox sister’s sister-in-law). In these cases, the meanings of versions are expressed in diverse forms regarding the characters’ roles and actions in famili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mission groups. In comparison to the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오누이 힘내기)” tale, in the “Fox Sister” tale transmission groups express stronger wariness toward the daughter, who causes harm to the whole family rather than to the “daughter herself.” Therefore, while ‘a daughter like fox’ can express 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istic of daughter is consistently influenced by the transcendent fox internally, it can also imply that ‘the daughter will be like a fox’ metaphorically from the beginning when it comes to the real transmission’s side. Through these suggestions, I supposed the two-way recognition about ‘the daughter becoming a fox’ as well as ‘the fox becoming a daughter.’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study how “fox sister” in the <Fox Sister(여우누이)> tale is characterized, and how the meanings of tale are formed accordingly. First of all, I discussed that the strong transcendence of “fox sister” is related ...

      This article aims to study how “fox sister” in the <Fox Sister(여우누이)> tale is characterized, and how the meanings of tale are formed accordingly. First of all, I discussed that the strong transcendence of “fox sister” is related to the praying for daughter birth and fox, and it influence her actions and battle with supporter. The fox sister and the supporter are both described as transcendent beings, and their battle becomes the substantive confrontation in the tale.
      After discuss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owerful “fox sister” and the supporter, I focused on the cases in which the supporter appear as the brother’s wife(the fox sister’s sister-in-law). In these cases, the meanings of versions are expressed in diverse forms regarding the characters’ roles and actions in famili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mission groups. In comparison to the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오누이 힘내기)” tale, in the “Fox Sister” tale transmission groups express stronger wariness toward the daughter, who causes harm to the whole family rather than to the “daughter herself.” Therefore, while ‘a daughter like fox’ can express 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istic of daughter is consistently influenced by the transcendent fox internally, it can also imply that ‘the daughter will be like a fox’ metaphorically from the beginning when it comes to the real transmission’s side. Through these suggestions, I supposed the two-way recognition about ‘the daughter becoming a fox’ as well as ‘the fox becoming a daugh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여우누이> 설화에서 주인공 ‘여우누이’가 어떻게 형상화되며 그에 따른 전승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핀 연구이다. 우선, 기녀치성 등 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우의 초월적 영향력이 여우누이의 행위, 조력자와의 대결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점을 논하였다. 여우누이는 출생, 가축 살해 등을 통해 초월적 능력의 소유자로 형상화되며, 그의 실제 적수는 오빠가 아니라 초월적 능력을 지닌 조력자가 된다. 이에 따라 작품 내 실질적 대결 구도는 ‘여우누이 대 조력자’로 형성되고, 이는 인간보다 뛰어난 존재 간의 대결이 된다.
      논의의 초점을 조력자와 여우누이의 대립 구도로 모은 후, 다수의 전승에서 조력자가 오빠의 아내로 나타나는 점에 주목하여 가족 내 맥락에서 여우누이와 조력자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논의하였다. ‘여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부정적이다’를 가늠하기보다는, 이들에게 기대될 법한 가족 내 역할과 실제 행동, 그리고 전승집단의 특성에 따라 전승 의미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오누이 힘내기> 설화의 전승인식과 비교해 볼 때, <여우누이>에는 딸을 무조건 배척하기보다는 안정적인 가족과 집안에 해를 끼치는 딸을 경계하는 인식이 비교적 뚜렷이 나타난다. 이에 ‘여우같은 딸’이라는 표현이 텍스트 내적으로는 딸에게서 여우의 초월적 영향력이 계속 발현되어 ‘여우가 딸 되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으나, 외적으로는 딸을 여우에 빗대어 ‘여우같은 딸’이 지니고 있을 속성을 처음부터 환기시키는 표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우가 딸 되는’ 형상화 과정뿐만 아니라 딸을 여우로 인식하는, 곧 ‘딸이 여우되는’ 인식 과정 두 가지를 상정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여우누이> 설화에서 주인공 ‘여우누이’가 어떻게 형상화되며 그에 따른 전승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핀 연구이다. 우선, 기녀치성 등 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우의...

      본 논문은 <여우누이> 설화에서 주인공 ‘여우누이’가 어떻게 형상화되며 그에 따른 전승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핀 연구이다. 우선, 기녀치성 등 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우의 초월적 영향력이 여우누이의 행위, 조력자와의 대결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점을 논하였다. 여우누이는 출생, 가축 살해 등을 통해 초월적 능력의 소유자로 형상화되며, 그의 실제 적수는 오빠가 아니라 초월적 능력을 지닌 조력자가 된다. 이에 따라 작품 내 실질적 대결 구도는 ‘여우누이 대 조력자’로 형성되고, 이는 인간보다 뛰어난 존재 간의 대결이 된다.
      논의의 초점을 조력자와 여우누이의 대립 구도로 모은 후, 다수의 전승에서 조력자가 오빠의 아내로 나타나는 점에 주목하여 가족 내 맥락에서 여우누이와 조력자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논의하였다. ‘여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부정적이다’를 가늠하기보다는, 이들에게 기대될 법한 가족 내 역할과 실제 행동, 그리고 전승집단의 특성에 따라 전승 의미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오누이 힘내기> 설화의 전승인식과 비교해 볼 때, <여우누이>에는 딸을 무조건 배척하기보다는 안정적인 가족과 집안에 해를 끼치는 딸을 경계하는 인식이 비교적 뚜렷이 나타난다. 이에 ‘여우같은 딸’이라는 표현이 텍스트 내적으로는 딸에게서 여우의 초월적 영향력이 계속 발현되어 ‘여우가 딸 되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으나, 외적으로는 딸을 여우에 빗대어 ‘여우같은 딸’이 지니고 있을 속성을 처음부터 환기시키는 표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우가 딸 되는’ 형상화 과정뿐만 아니라 딸을 여우로 인식하는, 곧 ‘딸이 여우되는’ 인식 과정 두 가지를 상정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미,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여우" 석당학술원 (51) : 119-160, 2011

      2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2012

      3 박종익, "한국구전설화집 1-21" 민속원 2012

      4 "한국구비문학대계 전 82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5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6 신동흔, "한국과 독일 민담 속 자녀서사의 비교 고찰 - 부모의 그릇된 애증에 대한 대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1) : 347-385, 2016

      7 현용준, "한국고전문학전집 2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8 김혜정,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9 金芝鮮, "한ㆍ중ㆍ일 여우 이야기에 대한 비교학적 고찰" 중국어문연구회 (29) : 501-525, 2005

      10 심민호, "풍수설화에 나타난 여성인물 고찰: 남성의 시각으로 재단된 여성들" 겨레어문학회 37 : 171-198, 2006

      1 이경미,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여우" 석당학술원 (51) : 119-160, 2011

      2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2012

      3 박종익, "한국구전설화집 1-21" 민속원 2012

      4 "한국구비문학대계 전 82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5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6 신동흔, "한국과 독일 민담 속 자녀서사의 비교 고찰 - 부모의 그릇된 애증에 대한 대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1) : 347-385, 2016

      7 현용준, "한국고전문학전집 2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8 김혜정,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9 金芝鮮, "한ㆍ중ㆍ일 여우 이야기에 대한 비교학적 고찰" 중국어문연구회 (29) : 501-525, 2005

      10 심민호, "풍수설화에 나타난 여성인물 고찰: 남성의 시각으로 재단된 여성들" 겨레어문학회 37 : 171-198, 2006

      11 진성기, "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 민속원 1991

      12 강정식, "제주도 당신본풀이의 전승과 변이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13 정제호, "오누이 대립 서사의 전개양상과 계승의 문제" 한성어문학회 34 : 185-211, 2015

      14 박대복, "여우의 超越的 性格과 變貌 樣相"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279-315, 2010

      15 박현숙,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 한국구비문학회 (30) : 1-36, 2010

      16 노희진, "상대시대에 등장하는 여우에 대한 고찰" 한국일어일문학회 58 (58): 39-59, 2006

      17 강진옥, "변신설화에서의 ‘정체확인’과 그 의미" 진단학회 73 : 165-185, 1992

      18 강진옥, "변신설화에 나타난 ‘여우’의 형상과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9 : 5-45, 1994

      19 최원오, "동아시아 서사문학에서의 ‘여우[狐]’와 그 ‘인간-동물’ 문화적 특징" 국문학회 (31) : 255-280, 2015

      20 강진옥, "구조와 분석 2" 창 227-260, 1993

      21 이명현, "구미호의 이중적 관념과 고전서사 수용양상" 우리문학회 (41) : 213-239, 2014

      22 강진옥, "고소설연구논총" 다곡이수봉선생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611-630, 1988

      2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4 김미란, "고대소설에 나타난 여성변신의 의미 –금방울전과 박씨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8 : 165-184, 1983

      25 홍성목, "고대 일본의 여우 이미지와 신앙에 관하여 –『니혼료이키日本霊異記』의 여우설화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66) : 171-194, 2015

      26 임석재, "韓國口傳說話 1-12" 평민사 1993

      27 박대복, "〈여우누이〉에 나타난 妖怪의 性格과 退治의 樣相" 한국어문학회 (106) : 149-177, 2009

      28 "http://gubi.aks.ac.kr/web/Default.asp/"

      29 김준희, "<오누이 힘내기> 설화 연구 : 담론 층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