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문화예술의 세기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 산업을 지원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문화 활동에 투자한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향수권을 내세우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24940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건축설계전공 , 2011. 2
2011
한국어
725.83 판사항(22)
서울
X, 140장 ; : 부분채색삽도 ; 26 cm.
지도교수: 박호견
참고문헌(138장)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는 문화예술의 세기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 산업을 지원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문화 활동에 투자한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향수권을 내세우는 ...
21세기는 문화예술의 세기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 산업을 지원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문화 활동에 투자한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향수권을 내세우는 각종 이론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가 마련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문화예술의 세기’로 규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 공간이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홍대 앞 거리는 이미 자생적으로 생겨난 여러 문화를 가지고 있다. 미술, 디자인, 대중음악, 춤, 공연, 영상 등 인디정신과 언더정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인디 혹은 언더문화로 불리는 비 제도권 문화와 다양한 이벤트가 있는 홍대 앞은 사람과 프로그램이 주가 되어 지역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람들의 행위를 담아 낼 수 있는 장소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지만 깨끗이 치우고 다듬어 진 곳엔 상업적인 대학문화가 부분적으로 관입되어 가면서 홍대 앞 특유의 문화를 잠식 시키고 있으며 이는 결국 여느 대학가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변해가게 될 것이다. 이를 홍대 지역의 문화적 감수성이 묻어나는 스타일로 만들어 나가고, 일상의 모습을 담아내는 것을 통해 홍대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이 기념비적 문화시설을 통해 살아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당인리 발전소로부터 이어진 폐선부지에 무허가 건물들로 형성된 ‘홍대 앞’ 365거리의 문화적 활성화를 돕고자 제안되었다. 365거리는 자본의 유입으로 점차 상업적으로 변질되며 가로의 성격을 변화 시켜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대지를 문화적으로 활성화하기위하여 홍대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창작스튜디오라는 건축적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하기 위한 도구로서 랜드 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특성을 적용한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창작스튜디오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개념 및 주요역할과 필요성 을 고찰하고 스튜디오의 시설 및 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창작스튜디오의 계획 방향을 설정한다.
제 3장에서는 대지선정 및 분석으로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 조성계획안에 대한 고찰과 계획대상지에 대한 정체성과 공간분석을 한다.
제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된 건축계획 방향을 바탕으로 홍대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창작스튜디오 계획을 제안한다.
지역 문화시설로서 증대되는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이용자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하여 편의를 제공하며 효과적으로 홍대 앞 거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1st century is regarded as the period for culture and art. Many countries in the globe support industries about cultural activities in government perspective, and various companies pays for the cultural and artistic ceremonies and happenings. Coming ...
21st century is regarded as the period for culture and art. Many countries in the globe support industries about cultural activities in government perspective, and various companies pays for the cultural and artistic ceremonies and happenings. Coming with 21st century, some significant views about cultures and their supporting legislations and in Korean society, and various kinds of cultural spaces has been built to encourage the paradigm of 'the century for culture and arts'.
This study has investigates the street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in short, Hongdae), which has prospered its own cultures. Individually dependent atmosphere such as arts, design works, commercial music, dances, performances, media arts are gathered together, and these show most informal street cultures with various kinds of events, and authentic local atmosphere. However, this cultural features are disappearing with the influx of commercial collegiate characteristics, and it finally cleans the Hongdae are with less programs and performances, and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other universities' streets. This study aims to maintain its own sensibilities with its own street styles, and daily lives in the area, while memorable spaces or buildings are remained with cultural variety.
This study is coming from the attempt to prosper Hongdae 365 Street in culturally development with unauthorized buildings from Dangin-ri powerplant. 365 Street has been changed to commercial area with inflow of capital. So this study suggests a creative studio as an architecture program, which can at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Hongdae area, and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as a planning tool.
This is the content and order of the study-
1. Sets the purposes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explains the method of the study.
2. Looks out the definition, main roles and necessities of creative studio and landscape urbanism, and makes a framework of the studio designing from the facilities and space analysis.
3. Analyzes the identity and space of the studio, with the planning of local area development, and location selection and candidate sites.
4. Based on the approach of studio built up and its design attemption, suggests to build the creative studio for cultural infrastructure setup.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boom up the Hongdae area’s cultural atmosphere effectively, while satisfying the users’ shoes and fulfilling the cultural demand with proper fac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