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李建昌을 중심으로 寧齋 家門의 정치, 사상적 면모를 더듬어 보았다. 필자의 본래의 의도는 黨禍에 의해서 중앙정계에서 물러나 江華라는 벽지에서 대대로 陽明學을 傳授해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李建昌을 중심으로 寧齋 家門의 정치, 사상적 면모를 더듬어 보았다. 필자의 본래의 의도는 黨禍에 의해서 중앙정계에서 물러나 江華라는 벽지에서 대대로 陽明學을 傳授해온 ...
본고에서는 李建昌을 중심으로 寧齋 家門의 정치, 사상적 면모를 더듬어 보았다. 필자의 본래의 의도는 黨禍에 의해서 중앙정계에서 물러나 江華라는 벽지에서 대대로 陽明學을 傳授해온 한 少論의 몰락 사대부 가문이 남긴 정치·사회개혁론을 더듬어 보고 이들이 '近代'라는 새로운 潮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國恥 이후 寧齋一家가 滿洲까지 移民하게 되는 편력을 통시적으로 조망해서 역사변혁기에 대응하는 한 지식인가의 변신과 사상적 전환까지도 밝혀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먼저 그 중심에 서 있는 이건창의 생애와 사상적 주유에 주목했다. 그 결과 寧齋의 사상적 지향점이 '東道西器論'을 향해 가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격동의 시기를 살았던 李建昌의 사상적 지향은 士大夫의 保守的 氣質을 완전히 탈피한 것은 아니었다. 생애나 경세관을 통해 볼 때 그는 '衛正 斥邪派'는 아니었지만, '尊王論者'이자 '內修外攘論者'로서의 사상적 지향을 갖고 있었으며, 민에 대해 '愚民觀'을 견지하였다. 하지만 부분적인 면에서나마 李建昌을 통해서 근대화라는 변혁 앞에서 당시 지식인이 지녔던 자세의 한 類型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