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랑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영어교수-학습방법 정책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화랑초등학교 2008
2 한문섭, "한국에서의 몰입교육: 공교육의 몰입교육 적용을 위한 교사와 학생의 준비"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4 (14): 5-28, 2008
3 김규현,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몰입학습 프로그램 실시 방안 연구" 55 (55): 281-307, 2000
4 박응준, "초등학교 체육교과의 영어몰입프로그램 실시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2008
5 김정렬, "초등학교 영어?수학 통합 교육에서 CALLA의 적용 효과"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2 (12): 255-279, 2006
6 최태규, "초등학교 실과 영어 부분몰입학습의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2008
7 변경미, "초등학교 미술과 영어몰입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8
8 허인선, "초등학교 미술과 영어 몰입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2004
9 박선호, "초등학교 몰입식 영어교육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6 (16): 131-160, 2009
10 박선호, "초등학교 몰입식 영어교육 사례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5 (15): 5-39, 2009
1 화랑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영어교수-학습방법 정책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화랑초등학교 2008
2 한문섭, "한국에서의 몰입교육: 공교육의 몰입교육 적용을 위한 교사와 학생의 준비"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4 (14): 5-28, 2008
3 김규현,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몰입학습 프로그램 실시 방안 연구" 55 (55): 281-307, 2000
4 박응준, "초등학교 체육교과의 영어몰입프로그램 실시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2008
5 김정렬, "초등학교 영어?수학 통합 교육에서 CALLA의 적용 효과"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2 (12): 255-279, 2006
6 최태규, "초등학교 실과 영어 부분몰입학습의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2008
7 변경미, "초등학교 미술과 영어몰입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8
8 허인선, "초등학교 미술과 영어 몰입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2004
9 박선호, "초등학교 몰입식 영어교육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6 (16): 131-160, 2009
10 박선호, "초등학교 몰입식 영어교육 사례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5 (15): 5-39, 2009
11 이선아, "초등영어와 과학의 내용 중심 통합 수업의 효과"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0 (10): 159-199, 2004
12 신연옥, "초등영어에서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의 효과" 6 (6): 91-120, 2000
13 방상미,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의 몰입학습 방안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2001
14 최미정, "주제중심의 초등영어 수준별 통합수업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5 (15): 31-57, 2009
15 김영철, "제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현황에 관한 연구: 교사와 장학사 중심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0 (10): 5-41, 2004
16 박선호, "이중언어이론과 몰입식 영어교육.in:초등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79-320, 2006
17 조윤경,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영어교육연구학교 교사의 시각에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5 (15): 5-29, 2009
18 강후동, "영어·미술 통합수업을 통한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5 (15): 59-86, 2009
19 박선호, "영어 이머젼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1 (11): 259-283, 2004
20 민찬규, "영어 몰입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7 (7): 109-123, 2008
21 최연희, "수학교과를 통한 초등영어 몰입학습 지도 방안" 대구대학교 2004
22 정동빈, "수준별 조기영어 몰입수업에서 형태초점 교수전략 효과 연구"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 (20): 251-278, 2008
23 센텀초등학교, "센텀초등학교:영어교수-학습방법 정책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센텀초등학교 2008
24 분포초등학교, "분포초등학교:영어교수-학습방법 정책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분포초등학교 2008
25 박선호, "반성적 교수일지를 통해 본 초등학교 몰입식 영어교육의 실제" 한국영어교육학회 64 (64): 369-398, 2009
26 박선호, "몰입특별교사제를 통한 초등영어 몰입교육 사례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5 (15): 309-332, 2008
27 박준언, "몰입식 영어교육의 원리와 수업 모형" 7 (7): 95-107, 2008
28 강용구, "동아시아의 몰입교육" 5 (5): 79-101, 1999
29 최숙희, "대학생 몰입영어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과 운영사례" 7 (7): 187-210, 2001
30 박기화, "내용중심 초등영어 교육에서의 학습전략 훈련 프로그램 모형 개발: CALLA의 적용 가능성"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9 (9): 55-91, 2003
31 이희숙, "내용중심 이야기활동 언어지도 방안:초등 5학년 영어-수학 통합수업을 중심으로" 7 (7): 133-157, 2000
32 박준언, "경제자유구역 및 제주특별자치도 초등영어몰입교육 도입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3 (13): 247-285, 2007
33 Cummins,J, "Want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relating language proficiency to academic achievement among bilingual students. In Language pro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Multilingual Matters 2-19, 1984
34 Cummins,J, "The construct of language proficiency in bilingual education. In Georgetown University round table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1980" Georgetown University Press 81-103, 1980
35 Cummins,J, "Language, power and pedagogy: Bilingual children in the crossfire" Multilingual Matters 2000
36 Swain, M., "Immersion education: A category within bilingual education. In Immersion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6, 1997
37 이병민, "EFL 영어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시간의 의미" 10 (10): 107-129, 2003
38 이선아, "Developing science CBELT materials for Korean primary discretionary classes"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2 (12): 253-291, 2006
39 Brinton, D. M., "Content-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Newbury House 1989
40 Snow,M.A, "Content-based and immersion models for second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Heinle & Heinle 303-318, 2001
41 Cummins, J., "Bilingualism in education:Aspects of theory,research and practice" Longman 1986
42 Lambert, W. E., "Bilingual education of children: The St. Lambert experiment" Lambert experiment 1972
43 Snow, M. A.,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ontent in second/foreign language instruction" 23 (23): 201-217,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