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생산성, 사료가치 및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owing Mixed Legume Forage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Hanwoo Feed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5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sowing mixed legume forage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whole-crop barley (WCB) as a representative of winter crops and to estimate feed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sowing mixed legume forage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whole-crop barley (WCB) as a representative of winter crops and to estimate feed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by defining optimal application level of cattle manure for more fertile soil and manure recycling for the purpose of reduce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fficient production of organic forage contributable to production of organic animal products. Sowing mixed legume forag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yields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for WCB compared to WCB alone sowing,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ixed sowing treatments. The yields of DM, CP and TDN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st in 100~150 kg N/hg. The CP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were highest in mixed sowing with hairy vetch, followed by sowing mixed forage pea and WCB alone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P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among cattle manure application levels. As nitrogen application level increased, ADF content increased (p<0.05), but TDN content decreased (p<0.05). Feed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head/ha) weighing 450 kg of body weight with 400 g of daily gai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due to mixed sowing with legume forage, and with increasing application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feeding capacity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mixed-sowing of WCB and legume forage not only cut nitrogen application level of fermented cattle manure by over 50 kg per ha but also increased their feed value and productivity, and feeding capacity. This would be contributable to diversity of forage resources as well as production of organic animal product by creating low cost and high quality of for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덕, "콩과목초의 사초수량 및 품질 비교"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6 (46): 437-442, 2004

      2 오명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2 (22): 457-468, 2014

      3 이효원, "질소시용수준이 베치-보리 혼파 사초의 질소고정 및 베치에서 보리로 질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5 (25): 1-6, 2005

      4 조익환, "지역별 순환농업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 11 (11): 7-108, 2003

      5 조익환, "유기질비료 시용과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능력 추정" 한국유기농업학회 21 (21): 207-217, 2013

      6 조익환, "유기질비료 시용과 두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능력 추정"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2 (32): 117-124, 2012

      7 조익환,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8 (18): 419-432, 2010

      8 이인덕,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파종유형별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207-214, 2006

      9 황보순, "경북지역에서 콩과작물의 혼파와 우분 시용이 총체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52-59, 2014

      10 황보순,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1 (21): 451-465, 2013

      1 김종덕, "콩과목초의 사초수량 및 품질 비교"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6 (46): 437-442, 2004

      2 오명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2 (22): 457-468, 2014

      3 이효원, "질소시용수준이 베치-보리 혼파 사초의 질소고정 및 베치에서 보리로 질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5 (25): 1-6, 2005

      4 조익환, "지역별 순환농업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 11 (11): 7-108, 2003

      5 조익환, "유기질비료 시용과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능력 추정" 한국유기농업학회 21 (21): 207-217, 2013

      6 조익환, "유기질비료 시용과 두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능력 추정"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2 (32): 117-124, 2012

      7 조익환,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8 (18): 419-432, 2010

      8 이인덕,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파종유형별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207-214, 2006

      9 황보순, "경북지역에서 콩과작물의 혼파와 우분 시용이 총체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52-59, 2014

      10 황보순,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1 (21): 451-465, 2013

      11 노진환, "강원도 지역에서 우분의 시용이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1 (21): 247-263, 2013

      12 Schechtner, G., "Zur Wirksamkeit des Gullestickstoffs auf dem Grunlandin Abhangigkeit vom Dungungsregime" 29 : 351-371, 1978

      13 Lee, B. O., "The design of optimal management model of selectional self-supply forage for competitiveness of Korean beef cattle" RDA 2013

      14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01"

      15 Ryu, D. K., "Standard model development of nature-circulating organic agriculture"

      16 Nahm, K. H,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17 Osman, A.E.,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98 : 71-72, 1982

      1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 Lee, H.W,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10 (10): 49-63, 2002

      20 RDA National Institue of Animal Science,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

      21 Linn, J.,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1989

      22 Goering, H.K.,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No. 379"

      23 Sharma, R. P., "Diversification of traditional rice (Oryza sativa)-based cropping system for sustainable productions in South Biher alluvial plains" 49 (49): 218-222, 2004

      24 Ramesh, P., "Assessment of biomass,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of soybean based cropping systems at three levels of nitrogen in deep vertisols of semi-arid tropical India" 26 (26): 43-59, 2005

      25 Drew, Elizabeth A, "Are legumes doing their job? The effect of herbicides on N2 fixation in Southern Australian agricultural syste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162-16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