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성혜,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2 (22): 3-15, 2019
2 노선숙,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 프로젝트기반학습 안내서" 교육과학사 2007
3 남창우,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27 (27): 31-33, 2020
4 교육부, "창의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 교육부 2016
5 김근곤,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52-261, 2008
6 유지원,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89-110, 2014
7 임지영, "공학교육에서 교수 으뜸원리를 적용한 플립러닝 모델 및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2 (22): 39-47, 2019
8 이영미,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51-375, 2013
9 한지영,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에 관한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2 (22): 22-28, 2019
10 Almaguer, I., "Project-based learning : Innovative pedagogy for 21st-century english learners" 28 (28): 177-190, 2015
1 이성혜,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2 (22): 3-15, 2019
2 노선숙,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 프로젝트기반학습 안내서" 교육과학사 2007
3 남창우,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27 (27): 31-33, 2020
4 교육부, "창의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 교육부 2016
5 김근곤,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52-261, 2008
6 유지원,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89-110, 2014
7 임지영, "공학교육에서 교수 으뜸원리를 적용한 플립러닝 모델 및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2 (22): 39-47, 2019
8 이영미,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51-375, 2013
9 한지영,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에 관한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2 (22): 22-28, 2019
10 Almaguer, I., "Project-based learning : Innovative pedagogy for 21st-century english learners" 28 (28): 177-190, 2015
11 Dhawn, S., "Online learning : A panacea in the time of COVID-19 crisis" 49 (49): 5-22, 2020
12 Yu, J., "Is online learning the future of education?"
13 Thomas, J. W.,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14 권선아, "4차 산업혁명기반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원격고등평생교육 미래 구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