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 교육 현황과 교수·학습법의 개선 방안 : 2015 개정 초·중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 P’ansori’s School Education Status and Method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5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판소리 제재곡은 초등학교 3-4학년 감상 영역, 초등학교 5-6학년 감상 영역, 중학교 1-3학년 감상 영역 및 표현 영역에 포함되었다. 전체 판소리 제재곡의 학습 활동을 분석한 결과 총 8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구체적으로 ‘판소리의 구성요소 이해하기’, ‘음악적 표현 요소 파악하기’, ‘추임새 익히기’, ‘발림하기’, ‘따라 부르기’, ‘소리북으로 장단 반주하기’, ‘노래(극) 만들기’, ‘연관 장르와 비교하기’ 등이었다. 이들 학습 활동의 개선 방안으로 ‘판소리의 구성 요소 이해하기’는 판소리의 정의에 서사음악적 성격, 공연 형식, 음악적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문화사적 가치를 드러낼 것, ‘음악적 표현 요소 파악하기’는 판소리의 구성 요소, 장단과 악조 등을 감상 요소로 제시할 것, ‘추임새 익히기’는 추임새를 단계별로 학습하되, 장단과 연계해서 학습할 것, ‘발림하기’는 연기적인 요소가 강한 대목을 대상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창의적인 신체 표현 활동으로 유도할 것, ‘따라부르기’는 대상 대목에 대한 충분한 배경 설명과 사설 해설을 추가하고, 통일된 악보와 감상 요소를 제시할 것, ‘소리북으로 장단 반주하기’는 소리북 연주를 위한 체계적인 기보법을 마련할 것, ‘노래(극) 만들기’는 ‘장단과 악조를 활용한 새로운 판소리 만들기’, ‘소리와 아니리를 활용한 음악극 만들기’, ‘기존 판소리 각색해 보기’와 같은 학습 방법을 활용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판소리 제재곡은 초등...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판소리 제재곡은 초등학교 3-4학년 감상 영역, 초등학교 5-6학년 감상 영역, 중학교 1-3학년 감상 영역 및 표현 영역에 포함되었다. 전체 판소리 제재곡의 학습 활동을 분석한 결과 총 8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구체적으로 ‘판소리의 구성요소 이해하기’, ‘음악적 표현 요소 파악하기’, ‘추임새 익히기’, ‘발림하기’, ‘따라 부르기’, ‘소리북으로 장단 반주하기’, ‘노래(극) 만들기’, ‘연관 장르와 비교하기’ 등이었다. 이들 학습 활동의 개선 방안으로 ‘판소리의 구성 요소 이해하기’는 판소리의 정의에 서사음악적 성격, 공연 형식, 음악적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문화사적 가치를 드러낼 것, ‘음악적 표현 요소 파악하기’는 판소리의 구성 요소, 장단과 악조 등을 감상 요소로 제시할 것, ‘추임새 익히기’는 추임새를 단계별로 학습하되, 장단과 연계해서 학습할 것, ‘발림하기’는 연기적인 요소가 강한 대목을 대상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창의적인 신체 표현 활동으로 유도할 것, ‘따라부르기’는 대상 대목에 대한 충분한 배경 설명과 사설 해설을 추가하고, 통일된 악보와 감상 요소를 제시할 것, ‘소리북으로 장단 반주하기’는 소리북 연주를 위한 체계적인 기보법을 마련할 것, ‘노래(극) 만들기’는 ‘장단과 악조를 활용한 새로운 판소리 만들기’, ‘소리와 아니리를 활용한 음악극 만들기’, ‘기존 판소리 각색해 보기’와 같은 학습 방법을 활용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amine problems in P’ansori learning activities for the 2015 revised textbooks and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The P’ansori song was included in the listening area for the third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ifth to sixth graders, and first to third graders, as well as the expression area of middle school. We examin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entire P’ansori song and categorized them into eight types: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of P’ansori, understanding musical expression elements, learning ch’uimsae, ballim (mimetic gestures), sing along, accompaniment with drum, song play, and comparing with a related genre. We found that P’ansori learning activities can be improved by, first, including in the definition of P’ansori, all narrative music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form, and musical components of P’ansori. Second, ch’uimsae should be learned step by step, but in tandem with changdan. Third, ballim should be targeted for a passage with a strong acting element, but ultimately lead to creative body expression. Fifth, during the sing-along, adding sufficient background and editorial explanations for passages and presenting unified sheet music and listening elements are suggested. Sixth, instructors must prepare a systematic notation method for drum performance. Seventh, it is important to use various learning methods, including the creation of new P’ansori and adapting existing P’ansori in song-making.
      번역하기

      We examine problems in P’ansori learning activities for the 2015 revised textbooks and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The P’ansori song was included in the listening area for the third to fourth graders of...

      We examine problems in P’ansori learning activities for the 2015 revised textbooks and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A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The P’ansori song was included in the listening area for the third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ifth to sixth graders, and first to third graders, as well as the expression area of middle school. We examin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entire P’ansori song and categorized them into eight types: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of P’ansori, understanding musical expression elements, learning ch’uimsae, ballim (mimetic gestures), sing along, accompaniment with drum, song play, and comparing with a related genre. We found that P’ansori learning activities can be improved by, first, including in the definition of P’ansori, all narrative music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form, and musical components of P’ansori. Second, ch’uimsae should be learned step by step, but in tandem with changdan. Third, ballim should be targeted for a passage with a strong acting element, but ultimately lead to creative body expression. Fifth, during the sing-along, adding sufficient background and editorial explanations for passages and presenting unified sheet music and listening elements are suggested. Sixth, instructors must prepare a systematic notation method for drum performance. Seventh, it is important to use various learning methods, including the creation of new P’ansori and adapting existing P’ansori in song-ma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판소리 학습 활동 유형 3.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4. 결론
      • 1. 머리말 2. 판소리 학습 활동 유형 3. 학습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2014

      2 정화영, "한국의 정악과 민속악 장단" 민속원 2017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1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문학사전(판소리 편)" 2013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성기련, "판소리의 특징에 따른 주제별 지도내용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 : 111-156, 2008

      7 김혜정, "판소리음악론" 민속원 2005

      8 박주만, "판소리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극 창작활동 지도방안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69-84, 2013

      9 정미영, "판소리 ‘자진 사랑가’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3 : 99-125, 2009

      10 오지은, "판소리 <수궁가>를 활용한 음악극 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 ‘어전회의’대목부터 ‘토끼화상’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2014

      2 정화영, "한국의 정악과 민속악 장단" 민속원 2017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1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문학사전(판소리 편)" 2013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성기련, "판소리의 특징에 따른 주제별 지도내용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 : 111-156, 2008

      7 김혜정, "판소리음악론" 민속원 2005

      8 박주만, "판소리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극 창작활동 지도방안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69-84, 2013

      9 정미영, "판소리 ‘자진 사랑가’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3 : 99-125, 2009

      10 오지은, "판소리 <수궁가>를 활용한 음악극 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 ‘어전회의’대목부터 ‘토끼화상’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1 강혜인, "초등 음악교육에서 추임새 교육의 활동설계와 지도방안" 민족음악학회 (44) : 219-243, 2012

      12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13 국립민속국악원, "명창을 알면 판소리가 보인다"

      14 이영아, "극음악 비교감상 지도방안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5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별책12)"

      16 성기련, "‘소리판’을 주제로 한 통합적 판소리 교수․학습 방법 연구" 판소리학회 (28) : 219-262, 2009

      17 문봉석, "2015 개정 음악교과서의 판소리 교육 현황과 단계별 학습 목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65) : 109-145,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