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에 관한 언론보도 분석 = Analysis of Media Reports on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55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공공갈등은 사회, 정치, 경제적 문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사회적 잡음과 막대한 갈등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보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에 관한 담론을 객관적이며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 관리 및 대처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 2년(2023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에 나타난 언론 보도 총 12,963건을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은 다층적 특성을 가지고 나타나고 있으며 공공갈등에 관한 담론이 지역적 이해관계 중심에서 공익과 권익의 충돌이 중심의 담론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으로 공공갈등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체계적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과 다양한 유형의 공공갈등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 나타난 공공갈등에 관한 담론 분석을 통해 그 양상과 특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공공갈등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공공갈등은 사회, 정치, 경제적 문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사회적 잡음과 막대한 갈등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보도 빅데이터...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공공갈등은 사회, 정치, 경제적 문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사회적 잡음과 막대한 갈등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보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에 관한 담론을 객관적이며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 관리 및 대처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 2년(2023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에 나타난 언론 보도 총 12,963건을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사회의 공공갈등은 다층적 특성을 가지고 나타나고 있으며 공공갈등에 관한 담론이 지역적 이해관계 중심에서 공익과 권익의 충돌이 중심의 담론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으로 공공갈등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체계적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과 다양한 유형의 공공갈등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 나타난 공공갈등에 관한 담론 분석을 통해 그 양상과 특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공공갈등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generating social noise and huge conflict c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d empirically identify the discourse on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using big data from media reports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on how to manage and deal with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total of 12,963 media reports that appeared in the last two years (January 1, 2023, to December 31, 2024)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e study found that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have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discourse on public conflicts has shifted from one centered on local interests to one centered on the conflict between public interests and rights. As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a systematic data-based system for efficient response to public conflicts should be provided and that a customize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spond to various types of public conflicts.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s in recent Korean society through discourse analysi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prevention.
      번역하기

      Various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generating social noise and huge conflict c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d empirically identify the discourse o...

      Various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generating social noise and huge conflict c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d empirically identify the discourse on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using big data from media reports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on how to manage and deal with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total of 12,963 media reports that appeared in the last two years (January 1, 2023, to December 31, 2024)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e study found that public conflicts in Korean society have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discourse on public conflicts has shifted from one centered on local interests to one centered on the conflict between public interests and rights. As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a systematic data-based system for efficient response to public conflicts should be provided and that a customize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spond to various types of public conflicts.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s in recent Korean society through discourse analysi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preven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