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조각 맞추기를 활용한 단백질 고리의 3차원 얼개 생성 알고리즘 = Protein Loop Generation Algorithm Based on Fragment Assemb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2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agment assembly is a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method in which the local structure is extracted from a database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protein sequence, and only the global structure is obtained by minimizing the free energy function.
      In order for th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based on fragment assembly to be successful, it should be possible to obtain native-like structure from fragment assembly. In this work, we attempted to generate native-like structures for 382 protein loop fragment whose lengths ranged from 3 to 12. First, in order to assess the ability of the method to generate native-like structures,we constructed a function quantifying the structural distance from the native structure and searched native-like structure by minimizing this function. We also found that the performance was the best when the fragment length was 7.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for real predictions where the native structure is not known, we also stochastically generated 4000 conformations for each loop and found that the native-like conformation was included in the popul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by employing an accurate free energy function, the structures of protein loops up to a length of 12 may be predicted with high accuracy.
      번역하기

      Fragment assembly is a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method in which the local structure is extracted from a database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protein sequence, and only the global structure is obtained by minimizing the free ...

      Fragment assembly is a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method in which the local structure is extracted from a database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protein sequence, and only the global structure is obtained by minimizing the free energy function.
      In order for th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based on fragment assembly to be successful, it should be possible to obtain native-like structure from fragment assembly. In this work, we attempted to generate native-like structures for 382 protein loop fragment whose lengths ranged from 3 to 12. First, in order to assess the ability of the method to generate native-like structures,we constructed a function quantifying the structural distance from the native structure and searched native-like structure by minimizing this function. We also found that the performance was the best when the fragment length was 7.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for real predictions where the native structure is not known, we also stochastically generated 4000 conformations for each loop and found that the native-like conformation was included in the popul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by employing an accurate free energy function, the structures of protein loops up to a length of 12 may be predicted with high accu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각 맞추기는 단백질의 3차원 얼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국소적인 얼개는 서열에 패턴식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데이타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전체적인 얼개만 자유 에너지 함수를최소화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조각 맞추기 방법을 통해 단백질의 얼개를성공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조각들을 짜맞추어서 고유 얼개에 충분히가까운 모형이 나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조각 맞추기 방법을 길이3-12인 단백질 고리의 382개의 얼개들을 생성하는 데에 적용하였다. 우선데이타베이스에서 얻은 조각들을 짜맞추어서 실제 고유 얼개와 얼마나가까운 모형 얼개를 얻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를 위해 실제고유 얼개와 모형 얼개와의 유사성을 함수로 만들어 최소화하였다. 조각길이는 7로 할 때 성능이 가장 뛰어나며, 고유 얼개와 거의 일치하는모형 얼개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고유 얼개를 모르는 상태에서 실제로단백질 얼개를 예측할 때의 성능을 검증해보기 위하여 각 고리마다4000개씩의 얼개들을 확률적으로 생성하여, 이 중에 실제 고유 얼개에가까운 것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정확한자유 에너지 함수를 활용한다면 조각 맞추기를 통해 최소한 길이12이하인 단백질 고리의 얼개는 상당한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알게 되었다.
      번역하기

      조각 맞추기는 단백질의 3차원 얼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국소적인 얼개는 서열에 패턴식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데이타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전체적인 얼개만 자유 에너지 함수를...

      조각 맞추기는 단백질의 3차원 얼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국소적인 얼개는 서열에 패턴식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데이타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전체적인 얼개만 자유 에너지 함수를최소화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조각 맞추기 방법을 통해 단백질의 얼개를성공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조각들을 짜맞추어서 고유 얼개에 충분히가까운 모형이 나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조각 맞추기 방법을 길이3-12인 단백질 고리의 382개의 얼개들을 생성하는 데에 적용하였다. 우선데이타베이스에서 얻은 조각들을 짜맞추어서 실제 고유 얼개와 얼마나가까운 모형 얼개를 얻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를 위해 실제고유 얼개와 모형 얼개와의 유사성을 함수로 만들어 최소화하였다. 조각길이는 7로 할 때 성능이 가장 뛰어나며, 고유 얼개와 거의 일치하는모형 얼개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고유 얼개를 모르는 상태에서 실제로단백질 얼개를 예측할 때의 성능을 검증해보기 위하여 각 고리마다4000개씩의 얼개들을 확률적으로 생성하여, 이 중에 실제 고유 얼개에가까운 것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정확한자유 에너지 함수를 활용한다면 조각 맞추기를 통해 최소한 길이12이하인 단백질 고리의 얼개는 상당한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알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Moult, (S7) : 3-, 2005

      2 D. Baker, 93 : 2001

      3 E. A. Coutsias, 106 : 176-, 2006

      4 E. A. Coutsias, 25 : 510-, 2004

      5 C. A. Rohl, 55 : 656-, 2004

      6 A. Fiser, 1753-1773, 2000

      7 S. F. Altschul, 25 : 3389-, 1997

      8 A. M. Lest, 45 (45): 98-, 2001

      9 P. Aloy, 53 : 436-, 2003

      10 J. J. Vincent, 61 (61): 67 -, 2005

      1 J. Moult, (S7) : 3-, 2005

      2 D. Baker, 93 : 2001

      3 E. A. Coutsias, 106 : 176-, 2006

      4 E. A. Coutsias, 25 : 510-, 2004

      5 C. A. Rohl, 55 : 656-, 2004

      6 A. Fiser, 1753-1773, 2000

      7 S. F. Altschul, 25 : 3389-, 1997

      8 A. M. Lest, 45 (45): 98-, 2001

      9 P. Aloy, 53 : 436-, 2003

      10 J. J. Vincent, 61 (61): 67 -, 2005

      11 K. T. Simons, 268 : 209-, 1997

      12 C. Rohl, 383 : 66-, 2004

      13 D. T. Jones, 45 (45): 127-, 2001

      14 61 (61): 143 -, 2005

      15 G. Chikenji, 119 : 6895-, 2003

      16 Y. Fujitsuka, 62 : 381-, 2003

      17 G. Chikenji, 3141-, 2006

      18 J. Lee, 56 : 704-, 2004

      19 J. Lee, 115 : 209-, 2005

      20 S-Y. Kim, 125 : 194908-, 2006

      21 J. Lee, 18 : 1222-, 1997

      22 J. Lee, 46 : 103-, 1998

      23 J. Lee, 75 : 255-, 1999

      24 A. G. Murzin, 247 : 247-, 1995

      25 A. Andreeva, 32 : 226-, 2004

      26 J. M. Chadonia, 32 : 189-, 2004

      27 J. Sim, 21 : 2844-, 2005

      28 S-Y. Kim, 4115 : 562-, 2006

      29 J. Lee, "in preparation"

      30 Kwang-Hwi Cho,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Using the Hybrid Energy Function, Fragment Assembly and Double Optimization" 한국물리학회 52 (52): 143-151, 2008

      31 Julian Le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Using a Hybrid Energy Function and an Exact Enumeration" 한국물리학회 53 (53): 873-879, 2008

      32 Julian Le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Based on Fragment Assembly and $\beta$-Strand Pairing Energy Function" 한국물리학회 46 (46): 707-712, 2005

      33 Dong-seon Lee, "Protein Loop Modeling Using Fragment Assembly" 한국물리학회 52 (52): 1137-1142, 2008

      34 Taek-Kyun Kim, "Exhaustive Enumeration of Fragment-Assembled Protein Conformations" 한국물리학회 52 (52): 137-14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