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漢藥材의 蟲害實態와 그 防除對策 = Bi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vermin of herbs of oriental medicine and contribution to the protective counter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62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1979. 7-1980. 6까지 漢藥材에 加害하는 害蟲을 調査해 본 結果 애알수시렁이, 누룩바구미, 애수시렁이, Laemophloeus (Cryptolestes) ferrugineus S., 권연벌레, 톱가슴머리대장, 화랑곡나방, 쌀바구미,...

      1. 1979. 7-1980. 6까지 漢藥材에 加害하는 害蟲을 調査해 본 結果
      애알수시렁이, 누룩바구미, 애수시렁이, Laemophloeus (Cryptolestes) ferrugineus S., 권연벌레, 톱가슴머리대장, 화랑곡나방, 쌀바구미, 쌀도둑, 붉은가루벌레, 곡식수수렁이, 기생봉류, 전갈류, 기타 等 14種이 나타났다.
      2. 甚하게 加害하는 種類로는 권연벌레, 화랑곡나방, 톱가슴머리대장이었고, 芳香性 漢藥材에 더 많이 모였다.
      3. 권연벌레는 1年에 3回 發生하며 7月下旬부터 많이 나타나다가 9월下旬頃이 發生 最盛期이고, 톱가슴머리대장은 1年에 4回 發生하며, 8月 下旬부터 9月까지 많이 나타났고 화랑곡나방은 1年에 3回 發生하여 8月中旬頃이 그의 活動 peak를 이루었다.
      4. 幼蟲態로 越冬하는 害蟲은 애알수시렁이, 누룩바구미, 애수시렁이, 권연벌레, 화랑곡나방 等이고, 主로 成蟲態로 越冬하는 한약재 害충은 톱가슴머리대장, 쌀바구미, 붉은가루벌레 等이었다.
      5. 害蟲의 主要한 生活習性은 漢藥材의 틈사이에 숨어서 살고 흔히 한약재에 구멍을 뚫으며 유충때에는 실을 吐해서 부스러기나 蟲糞을 얽고 그 속에 들어 있으며 그리고 大部分이 完全變態發生을 하는 特徵을 가지고 있었다.
      6. 漢藥材 害蟲의 防除는
      (1)漢藥材를 相對濕度 10% 以下로 잘 말려서 規格品化, 標準化하고
      (2)漢藥材 乾材商이나 保管 倉庫에는 電燈을 달아서 1 日 10 시간씩 照明을 해 두며
      (3)漢藥材 專用 封奪(PE 는 0.2mm 이상)를 만들어 流通의 全過程에 使用할 것, 크라우드紙나 其他 負袋 또는 包裝紙는 二重으로 만들면 더욱 效率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on the vermin of herbs of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carried out for one year from July, 1979 to June, 198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erbs of oriental medicine were damaged by fourteen species of vermin:A...

      In order to investigate on the vermin of herbs of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carried out for one year from July, 1979 to June, 198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erbs of oriental medicine were damaged by fourteen species of vermin:Anthrenus (Nathrenus) verbascii L., Araeocerus fasciculatus De G., Attagenus piceus O., Laemophloeus (Cryptolestes) ferrugineus S., Lasioderma serricorne F., Oryzaephilius surinamensis L., Plodia interpunctella H., Sitophilus zea-mais M., Tenebroides mauritanicus L., Tribolium castaneum H., Trogoderma dranarium E., Hymenoptera sp., Pseudoscorpionida sp., Unknown sp.
      2. Above all, the number of Lasioderma serricorne was the largest, that of Plodia interpunctella was next and Oryzaephilus surinamensis was also met with everywhere from smell sweet herbs as the others.
      3. Lasioderma serricorne occurred three times, Oryzaephilus surinamensis was four times and Plodia interpunctella was also three times in a year respectively, they showed the height of prosperity from middle of August to the end of September.
      4. Among the vermin of herbs, passing the winter in larva stage were A. verbascii, A. fasciculatus, A. Piceus, L. serricorne, P. interpunctella, while that in the adult stage were O. surinamensis, S. zea-maiz, T. castaneum.
      5. An acquired acological habit of vermin showed their developmental stage that like to hide their body inside or slit of herbs, often boring herbs small hole, binding up their shelter with silk thread and take refuge in their body. Vermin of herbs characterized, for the most part, complete metamorphosis.
      6. The author made a following proposal from the result of his study on the protective counterplan of vermin of herbs investigated.
      (1) Standardized goods for herbs of oriental medicine by dried them tili relative humidity became below 10%.
      (2) Turned on the electric light where had kept in herbs storage and illuminating ten hours in a day.
      (3) It should be good for use exclusive burlap bag of herbs of oriental medicine which made of double en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序 言
      • 實驗材料 및 實驗方法
      • 1. 害蟲의 採集과 飼育方法
      • 2. 害蟲의 分類 및 發生頻度調査
      • 3. 害蟲에 加害하는 天敵調査
      • 序 言
      • 實驗材料 및 實驗方法
      • 1. 害蟲의 採集과 飼育方法
      • 2. 害蟲의 分類 및 發生頻度調査
      • 3. 害蟲에 加害하는 天敵調査
      • 4. 害蟲의 月別發生消長과 生活習性調査
      • 5. 光線먹이 等에 對한 害蟲의 反應과 行動調査
      • 6. 害蟲의 生活史 調査
      • 7. 漢藥材 包裝紙, 비닐류에 對한 害蟲의 穿孔實驗
      • 8. 害蟲의 防除法 硏究
      • 結果 및 考察
      • 1. 漢藥材에서 發生되는 害蟲의 分類
      • 2. 漢藥材의 種類別 害蟲發生頻度調査
      • 3. 害蟲에 加害하는 天敵調査
      • 4. 害蟲別 月別 發生消長과 生活習性調査
      • 5. 害蟲의 生活習性
      • 6. 光線, 먹이등에 對한 害蟲의 行動生態調査
      • 7. 害蟲의 生活史
      • 8. 漢藥材 包裝紙에 對한 害蟲의 穿孔實驗
      • 9. 害蟲의 防除法 硏究
      • 摘 要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