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 체계 연구: 기술로드맵 작성을 중심으로 = The R&D System of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oadm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R&D system of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KLSP) and key factors on the uti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directions of technology roadmapping. KLSP has produced large amounts of practical outcomes for the intelligent land by collaborative 5 core research projects.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in technology roadmapping and practical using of national R&D to respond to uncertain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intelligent land technology developmen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oadmap,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o build R&D system and temporal relationship of technological module for KLS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strategies of KLSP, generate indoor-outdoor spatial GIS for digital culture, integrated platforms of urban geospatial services, integrated monitoring of climate, and spatial decision making for public particip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R&D system of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KLSP) and key factors on the uti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directions of technology roadmapping. KLSP has produced large amounts of practical outcomes for the intelligent...

      This study investigates R&D system of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KLSP) and key factors on the uti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directions of technology roadmapping. KLSP has produced large amounts of practical outcomes for the intelligent land by collaborative 5 core research projects.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in technology roadmapping and practical using of national R&D to respond to uncertain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intelligent land technology developmen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oadmap,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o build R&D system and temporal relationship of technological module for KLS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strategies of KLSP, generate indoor-outdoor spatial GIS for digital culture, integrated platforms of urban geospatial services, integrated monitoring of climate, and spatial decision making for public particip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연구하고, 기술로드맵을 작성하여 실용화·사업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사업은 5개의 핵심주관기관과 협력적인 작업을 통해 대량의 실용적 성과물들을 적용한 지능형국토를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현재 국가R&D에서 기술로드맵의 작성과 활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지능형국토정보 분야에서 체계적인 조사 분석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사업에 적합한 기술로드맵작성을 통해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분석하고, 요소기술들의 시계열적인 연관관계룰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결과, 전략적 연구분야는 기후환경 모니터링, 통합도시공간정보서비스, 시민참여형 공간의사결정시스템, 디지털문화형성을 위한 실내외공간정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연구하고, 기술로드맵을 작성하여 실용화·사업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사업은 5개의 핵심주관기관과 협력적인 작업을 통�...

      본 연구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연구하고, 기술로드맵을 작성하여 실용화·사업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사업은 5개의 핵심주관기관과 협력적인 작업을 통해 대량의 실용적 성과물들을 적용한 지능형국토를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현재 국가R&D에서 기술로드맵의 작성과 활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지능형국토정보 분야에서 체계적인 조사 분석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사업에 적합한 기술로드맵작성을 통해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R&D체계를 분석하고, 요소기술들의 시계열적인 연관관계룰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결과, 전략적 연구분야는 기후환경 모니터링, 통합도시공간정보서비스, 시민참여형 공간의사결정시스템, 디지털문화형성을 위한 실내외공간정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일, "통합 TRM 기반의 IT 서비스 관리 및 운영방안 연구"

      2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

      3 이경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전략기술지도 작성에 관한 사전 연구"

      4 김성용, "자원개발 핵심기술 지도 수립"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4 (44): 269-283, 2007

      5 편무욱, "설계정보기반 실내외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기술개발, 핵심과제용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6 변의석, "물류기술 국가로드맵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6 (26): 50-55, 2003

      7 안영진, "독일의 도시 및 지역계획에 있어 주민참여 문제: 목표와 기능 그리고 법적 토대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42 (42): 579-591, 2008

      8 류승기, "도시시설물지능화 기술개발, 핵심과제용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9 이상엽, "대외환경변화에 따른 국가과학기술기획방법론 연구"

      10 정문섭, "국토정보화혁신을 위한 지능형국토 추진방안 I: 개념과 기본모형 정립을중심으로"

      1 박수일, "통합 TRM 기반의 IT 서비스 관리 및 운영방안 연구"

      2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

      3 이경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전략기술지도 작성에 관한 사전 연구"

      4 김성용, "자원개발 핵심기술 지도 수립"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4 (44): 269-283, 2007

      5 편무욱, "설계정보기반 실내외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기술개발, 핵심과제용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6 변의석, "물류기술 국가로드맵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6 (26): 50-55, 2003

      7 안영진, "독일의 도시 및 지역계획에 있어 주민참여 문제: 목표와 기능 그리고 법적 토대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42 (42): 579-591, 2008

      8 류승기, "도시시설물지능화 기술개발, 핵심과제용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9 이상엽, "대외환경변화에 따른 국가과학기술기획방법론 연구"

      10 정문섭, "국토정보화혁신을 위한 지능형국토 추진방안 I: 개념과 기본모형 정립을중심으로"

      11 이규성, "국토모니터링 기술개발, 핵심과제용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12 박상문, "국가수준 기술로드맵의 활용도 및 개선사항 영향요인"

      13 허민, "공간정보기반인프라 기술개발, 핵심과제용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14 박지만, "공간적 의사결정과정 지원을 위한 온톨로지 연구" 국토지리학회 42 (42): 103-115, 2008

      15 김경옥, "u-GIS 핵심 융·복합 기술개발, 핵심과 제용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계획서"

      16 Phal, R. C, "Technology Roadmapping- A Planning Frame work and revolution" 71 : 5-26, 2004

      17 Petrick, I. J, "Technology Roadmapping in Review: A Tool for Making Sustainable New Product Development Decisions" 71 : 81-100, 2004

      18 Kostoff, R. N, "Science and Technology Roadmaps" 48 (48): 132-143, 2001

      19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 SIA"

      20 신홍철, "BSC의 핵심도구인 전략지도의 이해와 활용" 한국회계학회 12 (12): 1-3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