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쇠퇴산업단지의 재생기법 연구 = Regeneration Technique of Declined Industr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last fifty years,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has carried out a key role of the industrial location policy. However, existing industrial complex has a limitation that results from not being able to rapidly adapt to new type of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the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ecently, some small provincial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are undergoing structural stagnations losing their growth power. We need to raise a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readjusting infrastructure about declined industry complex which is still being placed in far important location from a perspective of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structural increasing in the type of business to a high degree. Thus, this study, with the new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will present effectively adaptable categorical regeneration strategy, regeneration methods, applicable method and regeneration model of declined industry complex.
      번역하기

      For the last fifty years,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has carried out a key role of the industrial location policy. However, existing industrial complex has a limitation that results from not being able to rapidly adapt to new type of industrial s...

      For the last fifty years,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has carried out a key role of the industrial location policy. However, existing industrial complex has a limitation that results from not being able to rapidly adapt to new type of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the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ecently, some small provincial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are undergoing structural stagnations losing their growth power. We need to raise a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readjusting infrastructure about declined industry complex which is still being placed in far important location from a perspective of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structural increasing in the type of business to a high degree. Thus, this study, with the new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will present effectively adaptable categorical regeneration strategy, regeneration methods, applicable method and regeneration model of declined industry comple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지난 50여 년간 산업입지정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산업단지는 교통,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산업구조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 지방중소도시의 몇몇 산업단지는 성장 동력을 상실한 채, 구조적 침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여전히 국가 경제성장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쇠퇴산업단지에 대해 기반시설 재정비와 업종구조 고도화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산업단지 재생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기존에 이용되었던 도시 재개발 방안에서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쇠퇴 산업단지의 요소별 재생전략, 재생기법 및 적용방안을 만들고 구체적으로 그 틀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지난 50여 년간 산업입지정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산업단지는 교통,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산업구조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지난 50여 년간 산업입지정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산업단지는 교통,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산업구조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 지방중소도시의 몇몇 산업단지는 성장 동력을 상실한 채, 구조적 침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여전히 국가 경제성장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쇠퇴산업단지에 대해 기반시설 재정비와 업종구조 고도화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산업단지 재생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기존에 이용되었던 도시 재개발 방안에서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쇠퇴 산업단지의 요소별 재생전략, 재생기법 및 적용방안을 만들고 구체적으로 그 틀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영, "환경친화적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 39 (39): 133-148, 2005

      2 황희연, "지방도시 재생기법 개발 및 적용방안연구"

      3 김기홍, "지방도시 도심 분석과 도시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877-890, 2007

      4 오재일, "지방 대도시의 도심재생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83-110, 2004

      5 이권형, "인천지역 지방산업단지의 실태와 혁신방안"

      6 안영진, "우리나라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평가와 발전과제" 국토지리학회 41 (41): 421-434, 2007

      7 김선기, "신산업체제에 부응한 지방산업단지 개편방안"

      8 김환선, "산업단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3 : 45-55, 2002

      9 김종섭, "산업단지 개발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2008

      10 이주영, "산업구조고도화 정책에 따른노후산업단지 재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663-666, 2007

      1 조혜영, "환경친화적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 39 (39): 133-148, 2005

      2 황희연, "지방도시 재생기법 개발 및 적용방안연구"

      3 김기홍, "지방도시 도심 분석과 도시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877-890, 2007

      4 오재일, "지방 대도시의 도심재생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83-110, 2004

      5 이권형, "인천지역 지방산업단지의 실태와 혁신방안"

      6 안영진, "우리나라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평가와 발전과제" 국토지리학회 41 (41): 421-434, 2007

      7 김선기, "신산업체제에 부응한 지방산업단지 개편방안"

      8 김환선, "산업단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3 : 45-55, 2002

      9 김종섭, "산업단지 개발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2008

      10 이주영, "산업구조고도화 정책에 따른노후산업단지 재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663-666, 2007

      11 김영, "마산시 도심쇠퇴현상분석과 도시재생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81-96, 2008

      12 이성근, "도심공단의 재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4 : 123-144, 1998

      13 최지환, "도시재생을 위한 산업단지 정비방안" 경상대학교 2004

      14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도시재생사업단 사전기획연구 최종보고서" 2006

      15 이상준, "도시내 낙후 공업지역의 재개발 모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34 (34): 114-125, 1999

      16 장철순,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실행방안 연구"

      17 이종용, "경기도 이천 도자기 산업클러스터의 특성 및 협력네트워크 분석" 국토지리학회 40 (40): 553-562, 2006

      18 김도영, "경기도 낙후도시 특성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2008

      19 Roberts, P,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2000

      20 Beswick,C.A,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rban Regeneration: The Case of London Docklands"

      21 Purdue,D, "Neighbourhood Governance:Leadership, Trust and Social Capital" 38 (38): 2211-2224, 2001

      22 Rusk,D, "Cities Without Suburbs: A Census 2000 Update"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3

      23 Town and Country Planning Association, "Best Practice in Urban Extensions and New Settlements"

      24 한국산업단지공단, "2008년도 산업입지요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