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 · 1독립운동은 기독교 · 천도교 · 불교 등 종교계 연합으로 계획되었다. 종교계가 이 운동을 주도하게 된 배경에는 무단통치기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시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7534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63(33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19년 3 · 1독립운동은 기독교 · 천도교 · 불교 등 종교계 연합으로 계획되었다. 종교계가 이 운동을 주도하게 된 배경에는 무단통치기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시기 ...
1919년 3 · 1독립운동은 기독교 · 천도교 · 불교 등 종교계 연합으로 계획되었다. 종교계가 이 운동을 주도하게 된 배경에는 무단통치기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시기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은 종교 차별통제정책이었다. 1910년대 기독교계는 이 정책에 따라 많은 제약과 탄압을 받았으나, 전반적으로 내적 조직을 강화하였다. 천주교는 안중근 의거 이후 철저한 정교분리정책을 채택하여 대체로 총독부의 정책에 순응하여 별다른 마찰이 없었으나 1910년대 교세는 신도 수 8~10만 명 선에서 정체되었다. 불교계는 초기에는 원종과 임제종이 대립하였으나, 총독부의 사찰령 공포와 압력으로 선교양종으로 통합되고 30본산체제로 정비되어, 대체로 총독부의 정책에 순응하였다. 유교계는 총독부의 강력한 회유 통제정책에 대체로 순응하였고, 불만을 품고 있던 유림 유생들도 소수의 회유 거부자 · 순절자 · 해외 망명자를 제외하고는 3 · 1독립운동 발발 이전까지는 불만을 표출하지 못했다. 천도교는 종교단체로 공인받지 못하여 총독부의 극심한 탄압을 받았지만, 100만 여명에 이르는 신도를 기반으로 대교구제를 구축하여 튼튼한 교단을 형성하였다. 대종교는 교단 체제 정비와 교리 정립에 힘을 기울였으나, 처음부터 항일독립운동 단체로 지목을 받아 일제의 탄압이 극심하여 국내 포교 자체가 어렵게 되자 제1세 교주 나철이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기까지 하였다. 1917년 제2세 교주 김교헌은 대종교 총본사가 있던 만주 화룡현으로 이주했다. 이러한 1910년대 일제의 종교정책과 종교계의 동향은 1919년 3 · 1독립운동의 배경이 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was planned by a religious coalition including Protestantism, Cheondogyo, and Buddhism. The religious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in Korea drove them to this coalition. The main point of the Governmen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was planned by a religious coalition including Protestantism, Cheondogyo, and Buddhism. The religious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in Korea drove them to this coalition. The main point of the Government-General’s religious policy in the 1910s was discrimination and control. In the 1910s Korean Protestantism suffered much restrictions and oppression, but strengthened its organizations. However, Korean Catholic Church generally conformed to the Government-General policy because of their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n Buddhism a previous conflict between Wonjong and Imjejong was resolved under the pressure of the Temple Decree. Restructured into the thirty-main-temple system, Korean Buddhism generally conformed to the Government-General policy. Confucianism also surrendered itself to the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Disgruntled Confucianists did not express their grievances until the outbreak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except for a small number of nonconformists and exiles. Cheondogyo(天道敎) was not recognized as a religious organization and was severely repressed by the Governor-General. However, it built a strong organization with one million adherents. Daejonggyo(大倧敎) made efforts to improve its organizational system and to establish doctrines. And yet it was difficult for Daejonggyo to maintain its organization in Korea because the Japanese authorities regarded it as an anti-Japanese group and severely suppressed it from the beginning. In 1917 its second leader Kim Kyeo-heon moved to Manchuria where Daejonggyo had its main temple. The Government-General’s religious policies and consequent situation of religious bodies in the 1910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임스 헌틀리 그레이슨, "한국종교사" 민족사 1995
2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소명출판사 2008
3 천도교중앙총부교서편찬위원회, "천도교약사"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2008
4 이명화,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 : 1993
5 윤선자, "일제의 종교정책과 천주교회" 경인문화사 2001
6 김순석,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경인문화사 2003
7 김정인, "일제강점기 천도교단의 민족운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8 강위조, "일본 통치하 한국의 종교와 정치" 대한기독교서회 1977
9 수요역사연구회,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1910년대" 신서원 2002
10 김승태, "식민권력과 종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1 제임스 헌틀리 그레이슨, "한국종교사" 민족사 1995
2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소명출판사 2008
3 천도교중앙총부교서편찬위원회, "천도교약사"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2008
4 이명화, "조선총독부의 유교정책"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 : 1993
5 윤선자, "일제의 종교정책과 천주교회" 경인문화사 2001
6 김순석,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경인문화사 2003
7 김정인, "일제강점기 천도교단의 민족운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8 강위조, "일본 통치하 한국의 종교와 정치" 대한기독교서회 1977
9 수요역사연구회,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1910년대" 신서원 2002
10 김승태, "식민권력과 종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11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7(한일관계사료집)" 국사편찬위원회 2005
12 이숙화, "대종교 설립초기 일제의 탄압과 대응 양상" 국학연구원 18 : 141-184, 2015
13 吉川文太郞, "朝鮮諸宗敎" 朝鮮興文會 1922
14 吉川文太郞, "朝鮮の宗敎" 朝鮮印刷株式會社 1921
15 姜渭祚, "日本統治下 朝鮮の宗敎と政治" 聖文舍 1976
16 白大鎭, "天道侍天 兩敎의 內部를 解剖하야 公評을 促함(三)" 1918
17 서동일, "1919년 파리장서운동의 전개와 역사적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8 김정인, "1910년대 『天道敎會月報』를 통해서 본 민중의 삶"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0) : 309-332, 2002
“무단통치기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한국 종교계의 동향”에 대한 논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4-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4 | 0.945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