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구 상수시설’은 1940년 삼척개발 주식회사에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한 부곡수원 지 계통 상수도 시설로, 시설 용량 2,000㎥/일 규모이었다. 1990년 4월 가동이 중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동해 구 상수시설’은 1940년 삼척개발 주식회사에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한 부곡수원 지 계통 상수도 시설로, 시설 용량 2,000㎥/일 규모이었다. 1990년 4월 가동이 중단...
‘동해 구 상수시설’은 1940년 삼척개발 주식회사에서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한 부곡수원 지 계통 상수도 시설로, 시설 용량 2,000㎥/일 규모이었다. 1990년 4월 가동이 중단되었으며, 현재 수계 및 수 원으로서 부곡천 표류수에서 취수하였던 취수댐과 취수탑을 제외하고 착수정, 침전지, 기계실 및 여과지, 밸 브실, 정수지 및 배수지 6식의 건조물이 현존하고 있다. 이들의 수리계통을 보면, 부지에서 약 120m 떨어진 취수탑에서 물을 끌어와 착수정에서 정수약품을 넣어 소 독한다. 착수정에 바로 인접한 36.5×19.6×4.5m 규모의 침전지는 수원지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로 3갈래의 물 흐르는 방향을 두면서 깨끗한 상등수를 만들어낸다. 이보다 바로 아래 레벨에 위치한 구 여과지가 초창기 에 침전지에서 유입된 물을 세척 및 여과하였으나, 이후 원통형의 거대한 신 여과기 2기가 이 작업을 대신하 였다. 여과된 물에 염소투입이 이루어지면서 정수된 물이 정수지의 지하물탱크에 저장된다. 정수된 깨끗한 물은 기계실의 송수 모타펌프에 의해 부지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배수지로 송수된다. 송수된 물과 관정에 서 추출된 깨끗한 물은 지름 250mm 크기의 관을 타고 시내로 급수된다. 이처럼 동해 구 상수시설은 일제강점기 상수시설의 수리계통 및 방식, 여과지의 개폐장치와 모타 펌프 등 각 종 기기의 보급, 그리고 침전자와 정수지 및 배수지의 거대한 지하매설물에서의 축조기술을 잘 보여주고 있 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ld Water Supply Facility in Donghae City’ was a system of Bugok catchment area developed to supply water for a steam locomotive from the old Samcheok Construction company in 1940, and the capacity of its facility was 1,000㎥ per day. ‘The...
‘The old Water Supply Facility in Donghae City’ was a system of Bugok catchment area developed to supply water for a steam locomotive from the old Samcheok Construction company in 1940, and the capacity of its facility was 1,000㎥ per day. ‘The old Water Supply Facility in Donghae City’ has now 6 facilities such as a receiving well, a settling reservoir, machine room and a filter basin, valve room, a clean water reservoir, distribution reservoir except for intake dam and tower for reserving Bugok stream. As for system of water supply facility, a receiving well draws and sterilizes a source of water supply through a pipe from intake tower located about 120m west of site. A settling reservoir near receiving well is 36.5×19.6×4.5m in size, and distiles fresh water, turning inside out water three times. The old filter basin, located at lower level of settling reservoir, filters and cleanses fresh water in its early days, but new 2 cylinder filters replace all existing models. Throwing chlorine into filtered water, clean water is reserved in underground water tank. By motor pump in machine room, the clean water is supplied to distribution reservoir located at the highest level of site. This water and clean water extracted from tube well are served a town with 250m/m pipe in diamet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 "한말 부산거류 일본인의 상수도시설 확장공사와그 의미" 한국민족문화 2009
2 국가기록원,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Ⅴ"
3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서울상수도 백년사"
4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부산 상수도 발달사"
5 "부곡수원지"
6 국가기록원, "묵호수원지"
7 동해시, "동해시 연감"
8 동해시, "동해 구 상수시설 주변정비공사"
9 문화재청, "동해 구 상수시설 기록화조사보고서" 2014
10 문화재청, "급수탑(10개소) 기록화조사보고서" 2009
1 김승, "한말 부산거류 일본인의 상수도시설 확장공사와그 의미" 한국민족문화 2009
2 국가기록원,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Ⅴ"
3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서울상수도 백년사"
4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부산 상수도 발달사"
5 "부곡수원지"
6 국가기록원, "묵호수원지"
7 동해시, "동해시 연감"
8 동해시, "동해 구 상수시설 주변정비공사"
9 문화재청, "동해 구 상수시설 기록화조사보고서" 2014
10 문화재청, "급수탑(10개소) 기록화조사보고서" 2009
11 "근대건축문화재"
12 "근대 문화유산 목록화 및 조사보고서" 강원도 2003
Reconsider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tupa
골조-전단벽 구조에서 수평강성의 향상을 위한 구조설계 방법
축회전 다이아그리드 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53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