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시대 시교육을 위한 제언 -타자성 포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 Proposal for poetry education in the multi- cultural age -focus on viewpoint on accepting othernes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사회에 대한 문학적 대웅은 다양한 장르에서 일어나고 있다. 시인들도 다문화적 요소를 소재와 주제로 수용하고 있다.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은 이들 시인들이 쓴 작품들을 이해하고 그것을 텍스트로 삼아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2009 개정 교육 과정’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부분을 만들어 ‘다문화시대의 한국문학의 양상과 지향을 이해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구성하도록 한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본고는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은 한국인만이 주체라는 보수적 인식에서 벗어나 해외에서 들어온 타자들에 대한 배려를 통해 그들을 공동체 안으로 포용하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타자성이라는 관점에서 다문화경향의 한국시를 세 가지 맥락으로 나누어 보았다. ‘외국인 노동자의 타자성’ ‘결혼 이주 여성의 타자성’ ‘다문화 공동체의 언어적 타자성’ 등은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이 겪는 불합리한 현실을 분석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문학교육 현장의 학생들은 다문화 경향의 시를 학습함으로써 이러한 타자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것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의식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 시교육은 다문화경향의 텍스트를 통해서 이러한 의식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번역하기

      다문화사회에 대한 문학적 대웅은 다양한 장르에서 일어나고 있다. 시인들도 다문화적 요소를 소재와 주제로 수용하고 있다.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은 이들 시인들이 쓴 작품들을 이해하고 ...

      다문화사회에 대한 문학적 대웅은 다양한 장르에서 일어나고 있다. 시인들도 다문화적 요소를 소재와 주제로 수용하고 있다.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은 이들 시인들이 쓴 작품들을 이해하고 그것을 텍스트로 삼아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2009 개정 교육 과정’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부분을 만들어 ‘다문화시대의 한국문학의 양상과 지향을 이해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구성하도록 한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본고는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다문화시대의 시교육은 한국인만이 주체라는 보수적 인식에서 벗어나 해외에서 들어온 타자들에 대한 배려를 통해 그들을 공동체 안으로 포용하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타자성이라는 관점에서 다문화경향의 한국시를 세 가지 맥락으로 나누어 보았다. ‘외국인 노동자의 타자성’ ‘결혼 이주 여성의 타자성’ ‘다문화 공동체의 언어적 타자성’ 등은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이 겪는 불합리한 현실을 분석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문학교육 현장의 학생들은 다문화 경향의 시를 학습함으로써 이러한 타자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것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의식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 시교육은 다문화경향의 텍스트를 통해서 이러한 의식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intention point of poet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Poet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must get out of recognition that Korean is only main agent, so must contribute to accept them within our community through the good officer of multi-cultural family. In this sense this article divided Korean poetry about multi-cultural tendency into three contexts with otherness. ‘otherness of a foreign worker’ ‘otherness of foreign married immigrated lady’, and ‘linguistic otherness of multi-cultural community’ demonstrate analytically irrational reality to experience member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s learning poetry of multi-cultural trend, Students must have consciousness of appreciate otherness and embrace it. Poetry education must attract this conversion of awareness through text of multi-cultural tendency. Before and after 2000s modern poetry of multi-cultural trend is announced consistently, but this quantity is not much. Good poetry must come out a lot more for desirable poetry education of multi-cultural age. The study about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poetry education must contribute to being written multi-cultural text by still working poets.
      번역하기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intention point of poet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Poet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must get out of recognition that Korean is only main agent, so must contribute to accept them within our community through t...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intention point of poet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Poetic education in multi-cultural age must get out of recognition that Korean is only main agent, so must contribute to accept them within our community through the good officer of multi-cultural family. In this sense this article divided Korean poetry about multi-cultural tendency into three contexts with otherness. ‘otherness of a foreign worker’ ‘otherness of foreign married immigrated lady’, and ‘linguistic otherness of multi-cultural community’ demonstrate analytically irrational reality to experience member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s learning poetry of multi-cultural trend, Students must have consciousness of appreciate otherness and embrace it. Poetry education must attract this conversion of awareness through text of multi-cultural tendency. Before and after 2000s modern poetry of multi-cultural trend is announced consistently, but this quantity is not much. Good poetry must come out a lot more for desirable poetry education of multi-cultural age. The study about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poetry education must contribute to being written multi-cultural text by still working poe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철욱, "한국전쟁 기억과 마을공동체의 로컬리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 : 75-104, 2009

      2 김승환, "한국문학교육의 타자성 인식 방법론" 한국문학교육학회 (17) : 131-159, 2005

      3 신옥근, "한국과 퀘벡의 다문화주의와 문학 : 이주문학 écriture migrante과 타자의 문제"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6 : 201-230, 2008

      4 이명현,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9

      5 신형기, "주변부 모더니즘과 분열적 위치의 기억"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 : 45-74, 2009

      6 김홍진, "이주외국인 하위주체와 타자성에 대한 성찰 - 하종오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6) : 161-184, 2008

      7 최정무, "위험한 여성(Dangerous Women)" 삼인 2001

      8 이연숙, "디아스포라와 국문학" 민족문학사학회 (19) : 1999

      9 최성환, "다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09

      10 류찬열, "다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09

      1 차철욱, "한국전쟁 기억과 마을공동체의 로컬리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 : 75-104, 2009

      2 김승환, "한국문학교육의 타자성 인식 방법론" 한국문학교육학회 (17) : 131-159, 2005

      3 신옥근, "한국과 퀘벡의 다문화주의와 문학 : 이주문학 écriture migrante과 타자의 문제"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6 : 201-230, 2008

      4 이명현,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9

      5 신형기, "주변부 모더니즘과 분열적 위치의 기억"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 : 45-74, 2009

      6 김홍진, "이주외국인 하위주체와 타자성에 대한 성찰 - 하종오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6) : 161-184, 2008

      7 최정무, "위험한 여성(Dangerous Women)" 삼인 2001

      8 이연숙, "디아스포라와 국문학" 민족문학사학회 (19) : 1999

      9 최성환, "다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09

      10 류찬열, "다문화의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09

      11 김수이, "다문화시대의 문화교육과 국어/문학교육- 김수영의 시 「거대한 뿌리」 비평교육의 경우 -" 우리말글학회 42 : 181-202, 2008

      12 윤여탁, "다문화사회: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국어교육연구소 (26) : 3-24, 2010

      13 김승환, "다문화담론과 로컬리티의 이원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 : 75-105, 2010

      14 정홍익, "다문화社會의 문화정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15 임경순,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교육의 한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36) : 387-420, 2011

      16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학회 (30) : 23-50, 2007

      17 신주철, "2000년대 한국시에 드러난 다문화주의의 양상" 세계문학비교학회 (26) : 29-5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