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성선 시의 인지시학적 연구 = A study on the Lee Sung-Seon`s poetry in cognitive po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3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성선 시에 인지시학적 방법론을 원용하여 인지체계와 상상력의 구조를 고찰하였다. 먼저 이성선 시는 자아 존재에 대한 성찰에 몰두한다. 그 결과 존재는 불완전하고 비극적인 운명을 지니고 태어난다. 그러나 이상적인 천상의 완전을 꿈꾸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이성선 시에는 인간 존재가 지상에서의 삶을 통해 결국은 하늘과 우주로의 상승을 꿈꾸는 원심적 상승의 인지 도식이 드러난다. 한편 이원론적 인지모텔과 가족적유사성에 의한 범주화는 이성선 시의 핵심적인 인지체계이다. 이성선 신는 인간 존재가 몸담고 있는 세계에 대하여도 반복하여 진지한 성찰을 진행한다. 즉 존재가 생존하고 꿈구는 공간이자 장소인 이세계는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 되고 있다. 이성선 시에 구축된 세계의 모습은 대체로 자연의 공간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 자연 공간은 추상적이며 유미적으로 인지되는 특성을 보인다. 예컨대 이상세계를 지향하는 이성선 시는 현실세계에 순응하거나 현실과의 화해를 추구한다. 이성선 시는 삶과 세계를 거대한 연쇄로 인지하는 우주론적 세계관을 형상화 하고 있다. ‘존재의 거대한 연쇄’란 존재의 종류와 특성에 관한 일종의 문화모텔이다. 이성선 시는 세계를 이원론적 관점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그가 희구하고 소망하는 세계는 존재가 자연과 동화 혹은 합일에 이르는 범우주론적 경지이다. 즉 이성선 시인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는 삶, 우주 질서에 동일화되는 인생을 꿈꾼다.
      번역하기

      본고는 이성선 시에 인지시학적 방법론을 원용하여 인지체계와 상상력의 구조를 고찰하였다. 먼저 이성선 시는 자아 존재에 대한 성찰에 몰두한다. 그 결과 존재는 불완전하고 비극적인 운...

      본고는 이성선 시에 인지시학적 방법론을 원용하여 인지체계와 상상력의 구조를 고찰하였다. 먼저 이성선 시는 자아 존재에 대한 성찰에 몰두한다. 그 결과 존재는 불완전하고 비극적인 운명을 지니고 태어난다. 그러나 이상적인 천상의 완전을 꿈꾸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이성선 시에는 인간 존재가 지상에서의 삶을 통해 결국은 하늘과 우주로의 상승을 꿈꾸는 원심적 상승의 인지 도식이 드러난다. 한편 이원론적 인지모텔과 가족적유사성에 의한 범주화는 이성선 시의 핵심적인 인지체계이다. 이성선 신는 인간 존재가 몸담고 있는 세계에 대하여도 반복하여 진지한 성찰을 진행한다. 즉 존재가 생존하고 꿈구는 공간이자 장소인 이세계는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 되고 있다. 이성선 시에 구축된 세계의 모습은 대체로 자연의 공간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 자연 공간은 추상적이며 유미적으로 인지되는 특성을 보인다. 예컨대 이상세계를 지향하는 이성선 시는 현실세계에 순응하거나 현실과의 화해를 추구한다. 이성선 시는 삶과 세계를 거대한 연쇄로 인지하는 우주론적 세계관을 형상화 하고 있다. ‘존재의 거대한 연쇄’란 존재의 종류와 특성에 관한 일종의 문화모텔이다. 이성선 시는 세계를 이원론적 관점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그가 희구하고 소망하는 세계는 존재가 자연과 동화 혹은 합일에 이르는 범우주론적 경지이다. 즉 이성선 시인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는 삶, 우주 질서에 동일화되는 인생을 꿈꾼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cognitive systems and imaginative structures of Lee Sung-Seon`s poetry by quoting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ry. As a result, this poetry disclosed some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ics. Lee Sung-Seon`s poetry focuses on the introspection first and then the existence imperfect and born with tragic and imperfect fate. His poetry also dreams the celestial perfection ideally. Therefore, Lee Sung-Seon`s poetry shows that human beings are dream of traveling in the space and sky through life of ground. On the other hand, a categorization by dualistic cognition model and family resemblance is a fundamental cognitive system of Lee Sung-Seon`s poetry. His poetry introduces serious introspection repeatedly about the world that human beings are in. The world which is a place for beings can live and dream, illustrated by the various views. However, the world of Lee Sung-Seon`s poetry mostly forms nature space. This space exhibit characteristic of both abstract and aesthetic, for example, Lee Sung-Seon`s poetry that aim for the ideal world follow an adaptation or reconciliation with the real world. Lee Sung-Seon`s poetry symbolizing cosmological world view that cognize the life and the world as a massive chain. ‘A Greate chain of existence` indicates kinds of cultural model about characters and types. His poetry understands the world as dualistic point of view. However, the world that Lee Sung-Seon hopes is a cosmological stage that leads to a confluence of the nature and the beings. Thus, Lee Sung-Seon dreams of a life that follows the laws of nature and the cosmic order.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s the cognitive systems and imaginative structures of Lee Sung-Seon`s poetry by quoting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ry. As a result, this poetry disclosed some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ics. Lee Sung-Seon`s poetry focuses on...

      This thesis examines the cognitive systems and imaginative structures of Lee Sung-Seon`s poetry by quoting the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ry. As a result, this poetry disclosed some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ics. Lee Sung-Seon`s poetry focuses on the introspection first and then the existence imperfect and born with tragic and imperfect fate. His poetry also dreams the celestial perfection ideally. Therefore, Lee Sung-Seon`s poetry shows that human beings are dream of traveling in the space and sky through life of ground. On the other hand, a categorization by dualistic cognition model and family resemblance is a fundamental cognitive system of Lee Sung-Seon`s poetry. His poetry introduces serious introspection repeatedly about the world that human beings are in. The world which is a place for beings can live and dream, illustrated by the various views. However, the world of Lee Sung-Seon`s poetry mostly forms nature space. This space exhibit characteristic of both abstract and aesthetic, for example, Lee Sung-Seon`s poetry that aim for the ideal world follow an adaptation or reconciliation with the real world. Lee Sung-Seon`s poetry symbolizing cosmological world view that cognize the life and the world as a massive chain. ‘A Greate chain of existence` indicates kinds of cultural model about characters and types. His poetry understands the world as dualistic point of view. However, the world that Lee Sung-Seon hopes is a cosmological stage that leads to a confluence of the nature and the beings. Thus, Lee Sung-Seon dreams of a life that follows the laws of nature and the cosmic or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호, "한국현대시의 인지시학적 이해" 태학사 2005

      2 피터 스톡엘, "인지시학개론" 한국문화사 2009

      3 여태천, "이성선 전집 1․2" 서정시학 2011

      4 이세경, "이성선 시의 창작정신과 자아인식" 단국대학교 2004

      5 정 민, "이성선 시의 정신 세계" 충북대학교 2003

      6 이병금, "이성선 시의 선적 사유 연구" 경희대학교 2004

      7 주향호, "이성선 시의 공간 의식 연구 : 불과 물의 공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3

      8 송기용, "이성선 시 연구 : 현실도피적 자폐성향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7

      9 G.레이코프, "시와 인지" 한국문화사 1996

      10 G.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1 양병호, "한국현대시의 인지시학적 이해" 태학사 2005

      2 피터 스톡엘, "인지시학개론" 한국문화사 2009

      3 여태천, "이성선 전집 1․2" 서정시학 2011

      4 이세경, "이성선 시의 창작정신과 자아인식" 단국대학교 2004

      5 정 민, "이성선 시의 정신 세계" 충북대학교 2003

      6 이병금, "이성선 시의 선적 사유 연구" 경희대학교 2004

      7 주향호, "이성선 시의 공간 의식 연구 : 불과 물의 공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3

      8 송기용, "이성선 시 연구 : 현실도피적 자폐성향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7

      9 G.레이코프, "시와 인지" 한국문화사 1996

      10 G.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11 권두환, "빈 산이 젖고 있다" 미래사 1991

      12 오탁번, "별까지 가면 된다" 고려원 1988

      13 송기환, "벌레 시인" 고려원 1994

      14 마크 존슨, "마음 속의 몸" 한국문화사 1992

      15 장영수, "네 개의 시세계" (가을) : 1985

      16 정효구, "내 몸에 우주가 손을 얹었다" 세계사 2000

      17 김기중, "길 없는 길의 시적 변주"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