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숙주와 이승소의 제화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2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保閑齋 申叔舟(1417~1475)와 三灘 李承召(1422~1484)의 제화시를 분석하고 양자 간 제화시를 비교 고찰하여, 이 두 문인 각각의 제화시의 특성을 드러내 보이고, 기존의 연구에서 도출된 두 문인의 한시의 특성과도 대조해 보고자 하였다.
      가장 먼저 이러한 목적의 완수를 위한 예비적 고찰로서 작가론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생애에 관해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많은 자료의 축적을 이룬 상태이므로 이는 생략하고, 다만 사유의 기반이 되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신숙주와 이승소가 갖고 있는 書畵에 대한 기본 인식이나 서화 애호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숙주는 <畵記>에서 그림을 감상하는 가운데 향수자의 본성이 ‘그 太原인 자연지성을 체득하여 타고난 천리를 자각 보존․확충하게 되면 萬物一體的이고 天人合一的인 경지에 이르러 自我와 사물이 화합되는 즐거움을 누리게 된다고 하여, 산수화 감상이 가져올 수 있는 존심양성의 효용을 말하고 있다. 이승소는 서화의 감상에서 오는 예술적 흥취를 현실 생활에 속박된 자신의 긴장된 정신을 이완․융해할 수 있는 원천으로 보고, 그림을 감상하고 여기에 시를 붙이며 향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신숙주와 이승소의 제화시를 산수화, 영물화, 궁정화, 계회도, 인물화 등 畵題별로 분류 하였다. 이를 통해 신숙주와 이승소의 서화 애호 양상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제재별로 분류된 제화시를 다시 화면과의 연관관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신숙주 제화시의 의론화 경향의 편중도를 쉽게 가늠하고, 이승소가 그림을 시로 재구성할 때 즐겨 사용했던 구성법의 윤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화시가 그림의 구체성을 재현하기 보다는 그림을 통해 자신의 주관을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주제의식이라는 측면으로의 접근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신숙주의 제화시는 23제 130수이다. 畵題별로 분류하여 보면 山水詩가 13제 53수, 詠物詩가 7제 61수, 人物詩가 3제 15수, 出關圖詩가 1수가 있다. 신숙주는 제화시 안에서 살펴보면, 주로 절구에 특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 가운데 칠언절구의 시가 많다.삼탄의 제화시는 37題 121수이다. 畵題별로 분류하여 보면 山水詩가 15제 61수, 詠物詩가 10제 15수, 人物詩가 5제 39수, 出關圖詩를 포함한 契會圖詩가 7제 8수가 있다. 이승소의 제화시는 산수시가 가장 많으며 御屛에 제한 시로 인하여 인물시가 그 다음을 차지한다. 이승소는 제화시 안에서 살펴보면, 주로 칠언에 특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절구 율시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신숙주의 제화시는 화면의 묘사와 이에 대한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해석을 주로 한 작품
      번역하기

      본 연구는 保閑齋 申叔舟(1417~1475)와 三灘 李承召(1422~1484)의 제화시를 분석하고 양자 간 제화시를 비교 고찰하여, 이 두 문인 각각의 제화시의 특성을 드러내 보이고, 기존의 연구에서 도출된...

      본 연구는 保閑齋 申叔舟(1417~1475)와 三灘 李承召(1422~1484)의 제화시를 분석하고 양자 간 제화시를 비교 고찰하여, 이 두 문인 각각의 제화시의 특성을 드러내 보이고, 기존의 연구에서 도출된 두 문인의 한시의 특성과도 대조해 보고자 하였다.
      가장 먼저 이러한 목적의 완수를 위한 예비적 고찰로서 작가론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생애에 관해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많은 자료의 축적을 이룬 상태이므로 이는 생략하고, 다만 사유의 기반이 되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신숙주와 이승소가 갖고 있는 書畵에 대한 기본 인식이나 서화 애호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숙주는 <畵記>에서 그림을 감상하는 가운데 향수자의 본성이 ‘그 太原인 자연지성을 체득하여 타고난 천리를 자각 보존․확충하게 되면 萬物一體的이고 天人合一的인 경지에 이르러 自我와 사물이 화합되는 즐거움을 누리게 된다고 하여, 산수화 감상이 가져올 수 있는 존심양성의 효용을 말하고 있다. 이승소는 서화의 감상에서 오는 예술적 흥취를 현실 생활에 속박된 자신의 긴장된 정신을 이완․융해할 수 있는 원천으로 보고, 그림을 감상하고 여기에 시를 붙이며 향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신숙주와 이승소의 제화시를 산수화, 영물화, 궁정화, 계회도, 인물화 등 畵題별로 분류 하였다. 이를 통해 신숙주와 이승소의 서화 애호 양상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제재별로 분류된 제화시를 다시 화면과의 연관관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신숙주 제화시의 의론화 경향의 편중도를 쉽게 가늠하고, 이승소가 그림을 시로 재구성할 때 즐겨 사용했던 구성법의 윤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화시가 그림의 구체성을 재현하기 보다는 그림을 통해 자신의 주관을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주제의식이라는 측면으로의 접근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신숙주의 제화시는 23제 130수이다. 畵題별로 분류하여 보면 山水詩가 13제 53수, 詠物詩가 7제 61수, 人物詩가 3제 15수, 出關圖詩가 1수가 있다. 신숙주는 제화시 안에서 살펴보면, 주로 절구에 특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 가운데 칠언절구의 시가 많다.삼탄의 제화시는 37題 121수이다. 畵題별로 분류하여 보면 山水詩가 15제 61수, 詠物詩가 10제 15수, 人物詩가 5제 39수, 出關圖詩를 포함한 契會圖詩가 7제 8수가 있다. 이승소의 제화시는 산수시가 가장 많으며 御屛에 제한 시로 인하여 인물시가 그 다음을 차지한다. 이승소는 제화시 안에서 살펴보면, 주로 칠언에 특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절구 율시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신숙주의 제화시는 화면의 묘사와 이에 대한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해석을 주로 한 작품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ontent about poems written on paintings of Shin Suk-Ju and Yi Seung-So. And analyze how can they express their emotions and ideas on the poetries. In addition, discuss the different points and same points of Shin Suk-Ju and Yi Seung-So's same type poetrie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hwa(題畵) created based on painting are realized through mutual combination between painting and poem. The principles as methodology making up for limitations of painting.
      At first, I compared Shin Suk-Ju je-hwa(題畵) poetries with Yi Seung-So's. And investigate Shin Suk-Ju's and Yi Seung-So's je-hwa(題畵) poetries from the formation process and background.
      After check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Shin Suk-Ju and Yi Seung-So's je-hwa(題畵) poetries. I will analyze their je-hwa(題畵) poetries theories.
      At last, after analyze Suk-Ju and Yi Seung-So's je-hwa(題畵) poetri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I will compare these two poets je-hwa(題畵) poetries. In the part, I focus on comparing their's Painting Portraits poetries and Landscape Painting poetri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content about poems written on paintings of Shin Suk-Ju and Yi Seung-So. And analyze how can they express their emotions and ideas on the poetries. In addition, discuss the different points and same points of Shin Suk-Ju and Yi Seung-So'...

      This study is content about poems written on paintings of Shin Suk-Ju and Yi Seung-So. And analyze how can they express their emotions and ideas on the poetries. In addition, discuss the different points and same points of Shin Suk-Ju and Yi Seung-So's same type poetrie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hwa(題畵) created based on painting are realized through mutual combination between painting and poem. The principles as methodology making up for limitations of painting.
      At first, I compared Shin Suk-Ju je-hwa(題畵) poetries with Yi Seung-So's. And investigate Shin Suk-Ju's and Yi Seung-So's je-hwa(題畵) poetries from the formation process and background.
      After check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Shin Suk-Ju and Yi Seung-So's je-hwa(題畵) poetries. I will analyze their je-hwa(題畵) poetries theories.
      At last, after analyze Suk-Ju and Yi Seung-So's je-hwa(題畵) poetri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I will compare these two poets je-hwa(題畵) poetries. In the part, I focus on comparing their's Painting Portraits poetries and Landscape Painting poet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