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 대한 재검토 = Reexamination of 'Yeohang-in(閭巷人) Item' in the Songbook of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Yeohang-in item’, which contains the works of artist Yeohang-in in the late Joseon songbook. Among the songbooks that appear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ohang-in item were investigated for the songbooks in which Yeohang-in appeared in the part where the author of Isaacdaeyeop(二數大葉) was known. As a result of examining a total of 23 songbooks, 441 works by 38 Yeohang-in were confirmed.
      The Yeohang-in item was first set under the name of ‘Yeohang-yukin(閭巷六人)’ in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by Kim Cheon-taek(金天澤) in the early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artist's name was maintained, ‘Yeohang-yukin’ became the core of Yeohang-in item, showing a tendency to become canonized.
      Among these, the Yeohang-in item of the songbook that appeared after Cheongguyoungeon(edited by Kim Cheon-taek)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deliberately excluded Kim Cheon-taek and included Park In-ro(朴仁老), a Sadaebu(士大夫), instead. In the new Yeohang-in, only one person, Jo Eung-hyun(趙應顯), was added.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book of the series Haedonggayo(海東歌謠) that appeared later, Kim Soo-jang(金壽長) restores the traces of Kim Cheon-taek and establishes the orthodox context of Yeohang-in. At the same time, the works of 11 Yeohang-in who were active during the Kim Su-jang era are separately recorded in Cheonggugayo(靑邱歌謠) to expand the scope of the Yeohang-in item.
      After the late 18th century, Yeohang-in items wer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Writers who appeared in ‘Yeohang-yukin’ and Cheonggugayo are integrated into one, and a new Yeohang-in is added here. A total of 18 new Yeohang-ins have appeared. The format of the Yeohang-in items is also differen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Yeohang-in is mixed with Sadaebu, and the name of the item is not given, except for some songbooks. In the midst of thi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ongbook is converted into a comprehensive piece of music and the lyrics are rearranged accordingly, the scale is greatly reduced and the Yeohang-in item gradually disappears.
      번역하기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Yeohang-in item’, which contains the works of artist Yeohang-in in the late Joseon songbook. Among the songbooks that appear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haract...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Yeohang-in item’, which contains the works of artist Yeohang-in in the late Joseon songbook. Among the songbooks that appear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ohang-in item were investigated for the songbooks in which Yeohang-in appeared in the part where the author of Isaacdaeyeop(二數大葉) was known. As a result of examining a total of 23 songbooks, 441 works by 38 Yeohang-in were confirmed.
      The Yeohang-in item was first set under the name of ‘Yeohang-yukin(閭巷六人)’ in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by Kim Cheon-taek(金天澤) in the early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artist's name was maintained, ‘Yeohang-yukin’ became the core of Yeohang-in item, showing a tendency to become canonized.
      Among these, the Yeohang-in item of the songbook that appeared after Cheongguyoungeon(edited by Kim Cheon-taek)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deliberately excluded Kim Cheon-taek and included Park In-ro(朴仁老), a Sadaebu(士大夫), instead. In the new Yeohang-in, only one person, Jo Eung-hyun(趙應顯), was added.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book of the series Haedonggayo(海東歌謠) that appeared later, Kim Soo-jang(金壽長) restores the traces of Kim Cheon-taek and establishes the orthodox context of Yeohang-in. At the same time, the works of 11 Yeohang-in who were active during the Kim Su-jang era are separately recorded in Cheonggugayo(靑邱歌謠) to expand the scope of the Yeohang-in item.
      After the late 18th century, Yeohang-in items wer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Writers who appeared in ‘Yeohang-yukin’ and Cheonggugayo are integrated into one, and a new Yeohang-in is added here. A total of 18 new Yeohang-ins have appeared. The format of the Yeohang-in items is also differen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Yeohang-in is mixed with Sadaebu, and the name of the item is not given, except for some songbooks. In the midst of thi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ongbook is converted into a comprehensive piece of music and the lyrics are rearranged accordingly, the scale is greatly reduced and the Yeohang-in item gradually disappea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가집에서 여항인 작가의 작품을 수록한 ‘여항인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출현한 가집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부에 여항인 작가가 등장하는 가집을 대상으로 여항인 항목의 특성을 살폈다. 총 23종의 가집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여항인 38인의 작품 411수를 확인하였다.
      여항인 항목은 18세기 초 김천택에 의해 『청구영언』(김천택 편)에 ‘여항육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정되었다. ‘여항육인’은 작가명 표기가 유지되는 19세기 전반까지 여항인 항목의 핵심으로 자리하면서 정전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가운데 18세기 중반 『청구영언』(김천택 편) 다음에 등장한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서는 의도적으로 김천택을 배제하고 대신에 사대부인 박인로를 포함했다. 새로운 여항인은 조응현 단 1인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반면에 김수장은 이후 등장한 『해동가요』 계열 가집에서 김천택의 흔적을 되살리며 여항가객의 정통적 맥락을 다시 확립한다. 동시에 김수장 시대에 활동했던 여항인 11인의 작품을 『청구가요』에 별도로 수록하여 여항인 항목의 외연을 확장한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여항인 항목이 다양하게 분화된다. ‘여항육인’과 『청구가요』에 등장했던 작가들이 통합되고 여기에 새로운 여항가객들이 더해진다. 총 20인의 여항가객이 새로 출현하였다. 여항인 항목의 수록 형태도 달라진다. 여항인들이 사대부와 뒤섞여 분산 수록되는가 하면, 항목명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가운데 가집의 편제가 전면적인 악곡 편제로 전환되고 노랫말이 악곡별로 재배치되는 19세기 전반에 오면 그 규모는 대폭 축소되고 여항인 항목은 점차 자취를 감춘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가집에서 여항인 작가의 작품을 수록한 ‘여항인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출현한 가집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부에 여항인 ...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가집에서 여항인 작가의 작품을 수록한 ‘여항인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출현한 가집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부에 여항인 작가가 등장하는 가집을 대상으로 여항인 항목의 특성을 살폈다. 총 23종의 가집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여항인 38인의 작품 411수를 확인하였다.
      여항인 항목은 18세기 초 김천택에 의해 『청구영언』(김천택 편)에 ‘여항육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정되었다. ‘여항육인’은 작가명 표기가 유지되는 19세기 전반까지 여항인 항목의 핵심으로 자리하면서 정전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가운데 18세기 중반 『청구영언』(김천택 편) 다음에 등장한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서는 의도적으로 김천택을 배제하고 대신에 사대부인 박인로를 포함했다. 새로운 여항인은 조응현 단 1인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반면에 김수장은 이후 등장한 『해동가요』 계열 가집에서 김천택의 흔적을 되살리며 여항가객의 정통적 맥락을 다시 확립한다. 동시에 김수장 시대에 활동했던 여항인 11인의 작품을 『청구가요』에 별도로 수록하여 여항인 항목의 외연을 확장한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여항인 항목이 다양하게 분화된다. ‘여항육인’과 『청구가요』에 등장했던 작가들이 통합되고 여기에 새로운 여항가객들이 더해진다. 총 20인의 여항가객이 새로 출현하였다. 여항인 항목의 수록 형태도 달라진다. 여항인들이 사대부와 뒤섞여 분산 수록되는가 하면, 항목명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가운데 가집의 편제가 전면적인 악곡 편제로 전환되고 노랫말이 악곡별로 재배치되는 19세기 전반에 오면 그 규모는 대폭 축소되고 여항인 항목은 점차 자취를 감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장, "해동가요" 정음사 1950

      2 김천택, "청구영언 주해편" 국립한글박물관 2017

      3 권순회, "청구영언 장서각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6-18, 2021

      4 김명준, "주해 신정가보" 도서출판 다운샘 2021

      5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94-295, 2015

      6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60-, 2015

      7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59-183, 2015

      8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31-158, 2015

      9 권순회,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적 위상" 민족문화연구원 (74) : 39-60, 2017

      10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1972

      1 김수장, "해동가요" 정음사 1950

      2 김천택, "청구영언 주해편" 국립한글박물관 2017

      3 권순회, "청구영언 장서각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6-18, 2021

      4 김명준, "주해 신정가보" 도서출판 다운샘 2021

      5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94-295, 2015

      6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60-, 2015

      7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59-183, 2015

      8 이상원, "조선후기 가집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31-158, 2015

      9 권순회, "신발굴 가집 『歌詞』의 특성과 계보적 위상" 민족문화연구원 (74) : 39-60, 2017

      10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1972

      11 최현재, "새 자료 청구영언 의 특징과 의의" 한국언어문학회 (80) : 105-128, 2012

      12 권순회, "김천택(金天澤) 편 『청구영언(靑丘永言) 』의 문헌 특성과 편찬 맥락" 한국시가학회 43 : 17-45, 2017

      13 권순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靑邱歌謠>의 특성"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5 : 7-36, 2021

      14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15 "靑邱歌謠"

      16 "靑邱歌謠"

      17 "靑丘永言"

      18 "靑丘永言"

      19 "靑丘永言"

      20 김천택, "靑丘永言"

      21 "靑丘永言"

      22 "詩餘"

      23 "詩調"

      24 "詩歌"

      25 "甁窩歌曲集"

      26 "海東歌謠"

      27 "海東歌謠"

      28 "海東歌謠"

      29 "海東歌謠"

      30 "永言"

      31 "歌調別覽"

      32 "歌詞"

      33 "歌詞"

      34 "樂府(坤)"

      35 "樂府"

      36 "東歌選"

      37 "新正歌譜"

      38 김영진, "悟齋 白景炫의 著作, 生涯와 文學" 우리한문학회 42 : 47-74, 2020

      39 강혜정, "尊經閣 所藏 『詩調』와 18세기 가집과의 친연성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원 (75) : 301-327, 2017

      40 강혜정, "『靑丘永言』 박순호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선행본일 가능성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회 (60) : 223-265, 2017

      41 권순회, "『永言』(이근배본)의 문헌 특성과 계보" 한국시가학회 51 : 93-120, 2020

      42 김용찬, "18세기 시조문학과 예술사적 위상" 월인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