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한국형 환자분류체계(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1, KPCS-1)를 간호요구도 예측을 위한 유의미한 문항들로 최소화하고, 간호요구도 측정결과를 중증도와 의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한국형 환자분류체계(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1, KPCS-1)를 간호요구도 예측을 위한 유의미한 문항들로 최소화하고, 간호요구도 측정결과를 중증도와 의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한국형 환자분류체계(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1, KPCS-1)를 간호요구도 예측을 위한 유의미한 문항들로 최소화하고, 간호요구도 측정결과를 중증도와 의존도의 2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환자를 유형화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외과 병동 2개, 내과 병동 2개에서 14일의 조사 기간 동안 재원한 환자 전체이다. 14일 동안 해당 병동에 입원한 전체 환자에 대해 매일 1회씩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을 평가하여 총 411명의 환자의 자료 2,082건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 문항별로 총점기여도 평가와 전문가 검토를 하여 50개 문항을 26개 문항으로 단축하였다. 요인분석을 하여 위생, 식이, 배설, 운동 영역이 의존도 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중증도와 의존도가 둘 다 낮은 환자(평균 점수: 7.68±2.81/1.05±1.33), 중증도 높고 의존도 낮은 환자(평균 점수: 17.20±4.15/1.94±2.40), 중증도는 중간이고 의존도가 높은 환자 (평균 점수: 13.56±5.30/9.66±2.64)로 유형화하였다. 세 그룹의 간호요구도 총점은 8.73±3.36, 19.14±5.74, 23.24±6.31 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712.12, p<.001). 결론: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의 문항단축과 중증도와 의존도에 따른 새로운 환자분류기준은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고 구체적인 인력배치기준에 유용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경자 ; 최완희 ; 최은하 ; 조성현 ; 유미 ; 박미미 ; 이중엽,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의 개정연구" 병원간호사회 24 (24): 113-126, 2018
2 송경자 ; 김은혜 ; 유정숙 ; 박현애 ; 송말순 ; 박광옥, "한국형 환자분류도구-1(KPCS-1)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간호시간 환산지수 산출" 병원간호사회 16 (16): 127-140, 2010
3 정은희 ; 조성현 ; 이상림 ; 최민진 ; 김성숙 ; 최은경 ; 한경화 ; 전미영,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및 환자의존도에 따른 환자군별 간호시간과 간호사 배치수준" 병원간호사회 26 (26): 395-406, 2020
4 이경희 ; 신수진,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7-703, 2013
5 조성현 ; 이지윤 ; 홍경진 ; 윤효정 ; 심원희 ; 김문숙 ; 허익수, "간호필요도에 따른 환자분류와 환자군별 간호사 배치수준: 영국 Safer Nursing Care Tool과의 비교" 간호행정학회 26 (26): 42-54, 2020
6 김진현 ; 이은희 ; 김성재 ; 박진희 ; 박은태 ; 정수용,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인력 배치수준의 적정성 분석" 간호행정학회 24 (24): 288-297, 2018
7 Boggatz T, "The meaning of care dependency as shared by care givers and care recipients : A concept analysis" 60 (60): 561-569, 2007
8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GB), "Safe staffing for nursing in adult inpatient words in acute hospitals. Safe staffing guideline: SG1"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9 Brennan CW, "Patient acuity : A concept analysis" 65 (65): 1114-1126, 2009
10 Hurst K, "Health and social care workforce planning and development-An overview" 27 (27): 562-572, 2014
1 송경자 ; 최완희 ; 최은하 ; 조성현 ; 유미 ; 박미미 ; 이중엽,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의 개정연구" 병원간호사회 24 (24): 113-126, 2018
2 송경자 ; 김은혜 ; 유정숙 ; 박현애 ; 송말순 ; 박광옥, "한국형 환자분류도구-1(KPCS-1)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간호시간 환산지수 산출" 병원간호사회 16 (16): 127-140, 2010
3 정은희 ; 조성현 ; 이상림 ; 최민진 ; 김성숙 ; 최은경 ; 한경화 ; 전미영,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및 환자의존도에 따른 환자군별 간호시간과 간호사 배치수준" 병원간호사회 26 (26): 395-406, 2020
4 이경희 ; 신수진,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7-703, 2013
5 조성현 ; 이지윤 ; 홍경진 ; 윤효정 ; 심원희 ; 김문숙 ; 허익수, "간호필요도에 따른 환자분류와 환자군별 간호사 배치수준: 영국 Safer Nursing Care Tool과의 비교" 간호행정학회 26 (26): 42-54, 2020
6 김진현 ; 이은희 ; 김성재 ; 박진희 ; 박은태 ; 정수용,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인력 배치수준의 적정성 분석" 간호행정학회 24 (24): 288-297, 2018
7 Boggatz T, "The meaning of care dependency as shared by care givers and care recipients : A concept analysis" 60 (60): 561-569, 2007
8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GB), "Safe staffing for nursing in adult inpatient words in acute hospitals. Safe staffing guideline: SG1"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9 Brennan CW, "Patient acuity : A concept analysis" 65 (65): 1114-1126, 2009
10 Hurst K, "Health and social care workforce planning and development-An overview" 27 (27): 562-572, 2014
11 Cho SH, "Evaluation system of adequacy of nurse staffing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9
12 Hoi SY, "Determining nurse staffing needs : The workload intensity measurement system" 18 (18): 44-53, 2010
13 American Nurses Association, "Defining staffing: Workforce management, patient classification and acuity system: The request for proposal process"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4 Weston MJ, "ANA principles : The framework for nurse staffing to positively impact outcomes" 30 (30): 247-252, 2012
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9 Standard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한국형 소아 환자 분류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간호시간 환산지수 산출 연구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관리료 차등제 간호사 배치기준 및 수가체계 개선방안
간이식 수혜자의 불확실성,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 수행 간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4-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7-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임상간호사회 -> 병원간호사회영문명 : 미등록 -> Hospital Nurses Association | ![]() |
2005-05-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임상간호연구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23 | 1.94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