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신안군 임자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7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안군 임자도의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군락과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
      까지 25개지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수식물은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털물참새피군락, 나도겨풀군락, 흑삼 릉군락, 미나리군락, 물피군락, 골풀군락, 사마귀풀군락 및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은 마름군락,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군락과 개구리밥군락, 침수식물은 물수세미군락 및 가래군락으로 총 15개 군락이 식별되었다. 임자도의 수생 관속식물군락 중 흑삼릉군락의 출현이 특이하다.
      번역하기

      신안군 임자도의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군락과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 까지 25개지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수식물은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털물참새...

      신안군 임자도의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군락과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
      까지 25개지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수식물은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털물참새피군락, 나도겨풀군락, 흑삼 릉군락, 미나리군락, 물피군락, 골풀군락, 사마귀풀군락 및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은 마름군락,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군락과 개구리밥군락, 침수식물은 물수세미군락 및 가래군락으로 총 15개 군락이 식별되었다. 임자도의 수생 관속식물군락 중 흑삼릉군락의 출현이 특이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f the vascular hydrophyte communities was undertaken in the wetlands of Imjado, Shinangun,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15 communities. Among them, emergent hydrophytes consisted of 9 communiti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Paspalum disticum var. indutum community, Sparganium erectum community, Oenanthe java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Aneilema keisak community and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floating hydrophytes 1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free-floating hydrophytes 2 communities including Lemna paucicostata 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and submergent hydrophyte 2 community, including Myriophyllum verticillatum community and Potamogeton distinctus community.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the wetland of Imjado was characterized by the typical structure of aquatic plant ecosystem.
      번역하기

      A study of the vascular hydrophyte communities was undertaken in the wetlands of Imjado, Shinangun,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15 communities. Among them, emergent hydrophytes consisted of 9 communities,...

      A study of the vascular hydrophyte communities was undertaken in the wetlands of Imjado, Shinangun,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15 communities. Among them, emergent hydrophytes consisted of 9 communiti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Paspalum disticum var. indutum community, Sparganium erectum community, Oenanthe java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Aneilema keisak community and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floating hydrophytes 1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free-floating hydrophytes 2 communities including Lemna paucicostata 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and submergent hydrophyte 2 community, including Myriophyllum verticillatum community and Potamogeton distinctus community.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the wetland of Imjado was characterized by the typical structure of aquatic plant eco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조사지 개황
      • 3. 조사방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조사지 개황
      • 3. 조사방법
      • 4. 결과 및 고찰
      • 4.1 식물군락의 구분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경빈, "홍도의 적송집단" 24 : 53-61, 1974

      2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홍도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89-115, 1987

      3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1 : 1-11, 1986

      4 이일구, "홍도의 식물상" 3 : 58-74, 1959

      5 이율경,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93-, 2005

      6 기상청, "한국기후표(1975~2004)"

      7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 1999

      8 전라남도, "전남통계연보"

      9 환경부, "전국 그린 네트워크화 구상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 만들기-" 환경부 156-175, 1995

      10 이점숙, "우이도의사구 염생식물 분포와 현존량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15 : 53-60, 2000

      1 임경빈, "홍도의 적송집단" 24 : 53-61, 1974

      2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홍도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89-115, 1987

      3 김철수,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1 : 1-11, 1986

      4 이일구, "홍도의 식물상" 3 : 58-74, 1959

      5 이율경,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93-, 2005

      6 기상청, "한국기후표(1975~2004)"

      7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 1999

      8 전라남도, "전남통계연보"

      9 환경부, "전국 그린 네트워크화 구상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 만들기-" 환경부 156-175, 1995

      10 이점숙, "우이도의사구 염생식물 분포와 현존량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15 : 53-60, 2000

      11 양효식, "신안군 비금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 및생산량(Biomass)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8 (8): 65-74, 2006

      12 이일구, "서남해의 수개도서내 식물상의 생태학적 조사보고" 67-78, 1979

      13 이호준, "생육지 토양염분농도에 대한 갈대 개체군의 적응" 16 : 63-74, 1993

      14 김철수,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12 : 145-160, 1989

      15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1999

      16 김종원, "논경작지 식생의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21 : 203-215, 1998

      17 윤성아, "남강주변 습지의 식물군락 구조와 토양환경" 2 : 85-98, 1994

      18 송종석, "낙동강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15 : 104-117, 2001

      19 김길웅, "경남북지역 수로변의 잡초식생에 관한 연구" 10 : 75-82, 1990

      20 鈴木兵二, "植生調査法" 共立出版 190-, 1985

      21 Malanson GP, "Riparian landscap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6-, 1995

      22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 865-, 1964

      23 Mueller-Dombois, D.,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47-,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