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의 소통가능성 : 아도르노와 보드리야르의 시각에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 After Pop Art,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 based on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pop art and minim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Adorno and Baudrill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5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 팝아트가 출현한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의 코드와 일상적 사물을 사용하면서, 우리에게 예술과 일상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경험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비 사회의 코드로서의 ‘사물’과 산업적 재료로서의 ‘특수한 사물’을 제작하였던,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현대미술에 문화적 기호들을 부여해왔다. 그럼으로써 그 예술들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계를 갖는다.
      클레멘트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에 따르면,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서의 ‘사물’과 일상적 사물은 비미술의 조건에 해당된다. 그러나 그 미술들에서의 ‘사물’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사이의 해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원에서 관객의 미적 경험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문화적 코드들을 예술에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미적 경험이 문화 비판적 의미에서 현대미술에서의 새로운 소통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사실에 대해 주목할 가치가 있다.
      프리드가 말한 것처럼, 도날드 저드나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들에서와 같은 미니멀리즘의 미적 경험은, 관객에게 일종의 ‘무대 현존성’과 같은 체험을 안겨준다. 이것이 바로 프리드가 ‘미술의 부정’으로 지적한 ‘연극성’이다. 그러나 미니멀리즘이 오늘날 미술작품들을 관객들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미적 경험 혹은 문화적 담론의 장으로 이끌었던 이정표가 되는 것은 어느 정도 이러한 연극성과 같은 장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보드리야르와 아도르노가 보았던 것처럼, 한편으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소비사회의 ‘시뮬라크르’이거나 자본주의 사회의 물화된 현상의 지표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그 미술들은 작품의 미적 경험을 통해 숨겨진 문화정치학적 의미를 드러낸다. 따라서 포스트아방가르드 시대에 우리는 이러한 미적 경험을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두기’를 내포한 소통으로 읽을 수 있다. 즉 사회에 대한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저항의 의미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결국 물화된 현대사회를 그것들의 미적 효과인 ‘추상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인식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예술들은 현실 자체가 진리가 아닌 가상임을 깨닫게 해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두 미술은 이 사회의 시뮬라크르이면서 동시에 반-문화의 양가성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니멀리즘은 현대 미술에서 ‘문화적 소통’의 공간을 가능케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점에서 미니멀리즘은 니콜라스 부리오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사회적 틈’을 갖는 것일 것이다. 즉 그것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 소통과는 다른, ‘재현적 교역’인, 다른 유형의 소통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팝아트와 미니멀 아트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대 미술에서 일상적 사물들의 사용은 대중이 작품을 통해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를 취하면서 미술작품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였다. 결과적으로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을 통하여 대중은 예술에 더 가까워지고, 제도-비판적이고 반성적이며 또한 문화적인 장을 열어주는 이러한 예술적 소통의 과정에, 즉 ‘틈’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60년대 팝아트가 출현한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의 코드와 일상적 사물을 사용하면서, 우리에게 예술과 일상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경험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비 사회의 ...

      1960년대 팝아트가 출현한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의 코드와 일상적 사물을 사용하면서, 우리에게 예술과 일상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경험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비 사회의 코드로서의 ‘사물’과 산업적 재료로서의 ‘특수한 사물’을 제작하였던,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현대미술에 문화적 기호들을 부여해왔다. 그럼으로써 그 예술들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계를 갖는다.
      클레멘트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에 따르면,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서의 ‘사물’과 일상적 사물은 비미술의 조건에 해당된다. 그러나 그 미술들에서의 ‘사물’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사이의 해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원에서 관객의 미적 경험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문화적 코드들을 예술에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미적 경험이 문화 비판적 의미에서 현대미술에서의 새로운 소통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사실에 대해 주목할 가치가 있다.
      프리드가 말한 것처럼, 도날드 저드나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들에서와 같은 미니멀리즘의 미적 경험은, 관객에게 일종의 ‘무대 현존성’과 같은 체험을 안겨준다. 이것이 바로 프리드가 ‘미술의 부정’으로 지적한 ‘연극성’이다. 그러나 미니멀리즘이 오늘날 미술작품들을 관객들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미적 경험 혹은 문화적 담론의 장으로 이끌었던 이정표가 되는 것은 어느 정도 이러한 연극성과 같은 장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보드리야르와 아도르노가 보았던 것처럼, 한편으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소비사회의 ‘시뮬라크르’이거나 자본주의 사회의 물화된 현상의 지표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그 미술들은 작품의 미적 경험을 통해 숨겨진 문화정치학적 의미를 드러낸다. 따라서 포스트아방가르드 시대에 우리는 이러한 미적 경험을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두기’를 내포한 소통으로 읽을 수 있다. 즉 사회에 대한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저항의 의미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결국 물화된 현대사회를 그것들의 미적 효과인 ‘추상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인식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예술들은 현실 자체가 진리가 아닌 가상임을 깨닫게 해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두 미술은 이 사회의 시뮬라크르이면서 동시에 반-문화의 양가성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니멀리즘은 현대 미술에서 ‘문화적 소통’의 공간을 가능케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점에서 미니멀리즘은 니콜라스 부리오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사회적 틈’을 갖는 것일 것이다. 즉 그것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 소통과는 다른, ‘재현적 교역’인, 다른 유형의 소통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팝아트와 미니멀 아트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대 미술에서 일상적 사물들의 사용은 대중이 작품을 통해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를 취하면서 미술작품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였다. 결과적으로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을 통하여 대중은 예술에 더 가까워지고, 제도-비판적이고 반성적이며 또한 문화적인 장을 열어주는 이러한 예술적 소통의 과정에, 즉 ‘틈’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pop art appeared in the 1960s, contemporary art has tended to provide us with the experiences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our daily lives while it used the code Abstract of mass culture and ordinary objects. Expecially pop art and minimalism which respectively produced 'the object' as code of consumption society and 'specific object' as industrial material have brought cultual signs to contemporary art, and thereby are related to 'postmodernism' today.
      According to Clement Greenberg and Michael Fried, 'the object' or ordinary thing in pop art and minimalism belongs to condition of non-art. However, 'the object' in artworks of pop art and minimal art got cultural codes of our lives involved in art as well as expanded spectator's aesthetic experience in terms of postmodernism as decon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Above all, it is worthy of notice of the fact that this aesthetic experience opens a new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n a culture critical sense.
      Aesthetic experience of minimalism like artworks of Donald Judd, Robert Morris and Tony Smith, as Fried says, provides spectators with one of a kind of 'stage presence'. This is 'the theatricality' which Fried points out to be 'negation of art'. However, it is due to the apparatus of this theatricality to some degree that minimalism is a milestone to lead today's some artworks into an interactive aesthetic experience, or cultural discourse among spectators.
      As Baudrillard and Adorno saw, on the one hand pop art and minimalism would be 'simulacre' of consumer society or the index of reified phenomenon in capitalist society, but on the other they reveal the covered meaning of cultural politic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of their artworks. Therefore we could read this aesthetic experience in post avant-garde period as the communication implying 'critical distance' between us and society. That is to say, it will be read as the sense of the resistance of new avant-garde to society.
      Pop art and minimalism make us aware of the reified society of the present through 'the abstractness' of their aesthetic effect. Therefore they let us realize the fact that this society is just 'Schein(illusion)', not the truth. In this sense i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arts have an ambivalent value that is simulacre and counter-culture of this society at the same time. Specially minimalism is valuated to facilitate a sp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 would like to indicate that minimalism would be 'social interstice', in Nicholas Bourriaud's idiom, that provides other type of communication, 'representational commerce', than general one in our society.
      The use of the object and ordinary things in contemporary art, as we see in pop art and minimal art, has enlarged the public's opportunity to participate as a subject of artwork, while the public having 'a critical distance' through it. Consequently, after pop art, the public is getting closer to art and able to ge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artistic communication, 'interstice' which opens a system- critical, reflective and also cultural arena through contemporary art.
      번역하기

      After pop art appeared in the 1960s, contemporary art has tended to provide us with the experiences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our daily lives while it used the code Abstract of mass culture and ordinary objects. Expecially pop art and mini...

      After pop art appeared in the 1960s, contemporary art has tended to provide us with the experiences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our daily lives while it used the code Abstract of mass culture and ordinary objects. Expecially pop art and minimalism which respectively produced 'the object' as code of consumption society and 'specific object' as industrial material have brought cultual signs to contemporary art, and thereby are related to 'postmodernism' today.
      According to Clement Greenberg and Michael Fried, 'the object' or ordinary thing in pop art and minimalism belongs to condition of non-art. However, 'the object' in artworks of pop art and minimal art got cultural codes of our lives involved in art as well as expanded spectator's aesthetic experience in terms of postmodernism as decon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Above all, it is worthy of notice of the fact that this aesthetic experience opens a new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n a culture critical sense.
      Aesthetic experience of minimalism like artworks of Donald Judd, Robert Morris and Tony Smith, as Fried says, provides spectators with one of a kind of 'stage presence'. This is 'the theatricality' which Fried points out to be 'negation of art'. However, it is due to the apparatus of this theatricality to some degree that minimalism is a milestone to lead today's some artworks into an interactive aesthetic experience, or cultural discourse among spectators.
      As Baudrillard and Adorno saw, on the one hand pop art and minimalism would be 'simulacre' of consumer society or the index of reified phenomenon in capitalist society, but on the other they reveal the covered meaning of cultural politic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of their artworks. Therefore we could read this aesthetic experience in post avant-garde period as the communication implying 'critical distance' between us and society. That is to say, it will be read as the sense of the resistance of new avant-garde to society.
      Pop art and minimalism make us aware of the reified society of the present through 'the abstractness' of their aesthetic effect. Therefore they let us realize the fact that this society is just 'Schein(illusion)', not the truth. In this sense i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arts have an ambivalent value that is simulacre and counter-culture of this society at the same time. Specially minimalism is valuated to facilitate a sp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 would like to indicate that minimalism would be 'social interstice', in Nicholas Bourriaud's idiom, that provides other type of communication, 'representational commerce', than general one in our society.
      The use of the object and ordinary things in contemporary art, as we see in pop art and minimal art, has enlarged the public's opportunity to participate as a subject of artwork, while the public having 'a critical distance' through it. Consequently, after pop art, the public is getting closer to art and able to ge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artistic communication, 'interstice' which opens a system- critical, reflective and also cultural arena through contemporary a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로잘린드 크라우스, "현대조각의 흐름" 예경 1997

      2 프레데릭 제임슨,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사회 in 반미학" 현대미학사 1994

      3 루시 R. 리파드, "팝아트" 미진사 1985

      4 임근혜, "창조의 제국" 지안 2009

      5 박일호, "진지한 예술과 키치" 한국미학회 (52) : 149-182, 2007

      6 로잘린드 크라우스, "조각영역의 확장 in 반미학" 현대미학사 66-80, 1993

      7 최성만,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8 유현주, "아도르노의 열린 미학적 방법론: 예술적 기술의 현재적 재구성" 한국미학예술학회 30 : 147-165, 2009

      9 유현주,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과 포스트모던 예술이론의 상관관계 연구 :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텍스트이론과의 비교" 한국미학예술학회 32 : 251-276, 2010

      10 강수미, "시뮬라크럼 · 지표 · 변증법적 이미지 - 이미지의 정체와 그 변이를 둘러싼 이해들" 한국미학회 (57) : 1-36, 2009

      1 로잘린드 크라우스, "현대조각의 흐름" 예경 1997

      2 프레데릭 제임슨,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사회 in 반미학" 현대미학사 1994

      3 루시 R. 리파드, "팝아트" 미진사 1985

      4 임근혜, "창조의 제국" 지안 2009

      5 박일호, "진지한 예술과 키치" 한국미학회 (52) : 149-182, 2007

      6 로잘린드 크라우스, "조각영역의 확장 in 반미학" 현대미학사 66-80, 1993

      7 최성만,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8 유현주, "아도르노의 열린 미학적 방법론: 예술적 기술의 현재적 재구성" 한국미학예술학회 30 : 147-165, 2009

      9 유현주,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과 포스트모던 예술이론의 상관관계 연구 :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텍스트이론과의 비교" 한국미학예술학회 32 : 251-276, 2010

      10 강수미, "시뮬라크럼 · 지표 · 변증법적 이미지 - 이미지의 정체와 그 변이를 둘러싼 이해들" 한국미학회 (57) : 1-36, 2009

      11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2

      12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2004

      13 마이크 페더스톤, "소비문화이론 in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사회" 현대미학사 31-51, 1992

      14 이광석, "사이방가르드. 개입의 예술, 저항의 미디어" 안그라픽스 2010

      15 배영달, "보드리야르의 아이러니" 東文選 2009

      16 케네시 베이커, "미니멀리즘" 열화당 1993

      17 데이비드 베츨러, "미니멀리즘" 열화당 2003

      18 티에리 드 뒤브, "모노크롬과 텅 빈 캔버스. 현대미술 다시 보기" 시각과 언어 1995

      19 존 A 워커, "대중매체시대의 예술" 열화당 1987

      20 Adorno, Th. W., "Ästhetische Theorie" Suhrkamp Verlag 1970

      21 Huyssen, Andreas., "The cultural politics of pop in Post-Pop Art" The MIT Press 45-77, 1989

      22 Bourriaud, Nicolas, "Relational Aesthetics" les presses du réel 2002

      23 Meyer,James, "Minimalism art and polemics in the sixties" Yale University Press 2001

      24 Hebdige, Dick., "In poor taste in Post Pop Art" The MIT Press 79-109, 1989

      25 Kester, Grant H., "Conversation pieces. community +communication in modern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26 Baudrillard, Jean., "Beyond the Vanishing Point of Art in Post-Pop Art" The MIT Press 171-189, 1989

      27 Fried, Michael, "Art and Objecthood" 1967

      28 오진경, "1960년 이후의 현대미술" 시공아트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 1.49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