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韓國과 日本의 憲法上 障碍人Sports權에 關한 硏究 = A Study of Sports Human Right to Disabled People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Sports Players information, individual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oneself and Sports Human Right to Disabled People in Korea and Japan.
      Every Europe country where interests in privacy of individual information is making a law about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belongs to enterprise from a business ethics or personal right protection point of view. And enterprise is working out a countermeasure about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sporting rights be admit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and their sporting rights be also guarantee in an aspect of the dignity of man and valu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But everyone admits that the welfare and sport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necessary at least in rationality, and rejecting to found them in his or her region.
      The sporting rights in the constitution are thought to be the subject of a bill so that we can help the disabled to get their real rights back. Only in case that they should be included in a subject of a lav of sports promotion, they can tak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is.
      Argument is advancing to with depth to the disabled person sport right in Korea and Japan.
      The efforts which are going to study desire of people and the problem of an obstacle with the obstacle which participates in a gymnastic activity, and are going to improve are required for the future of disabled person gymnastics.
      By moreover, the individual who leads the right of happiness and equal right which the international result and all human beings pursu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who did social integrated and When reflecting synthetically in a disabled person gymnastics policy and its execution the duty of an administration to decide the policy which has on many people etc. at harmony, it will be wishful to achievement of a future vis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Sports Players information, individual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oneself and Sports Human Right to Disabled People in Korea...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Sports Players information, individual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oneself and Sports Human Right to Disabled People in Korea and Japan.
      Every Europe country where interests in privacy of individual information is making a law about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belongs to enterprise from a business ethics or personal right protection point of view. And enterprise is working out a countermeasure about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sporting rights be admit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and their sporting rights be also guarantee in an aspect of the dignity of man and valu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But everyone admits that the welfare and sport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necessary at least in rationality, and rejecting to found them in his or her region.
      The sporting rights in the constitution are thought to be the subject of a bill so that we can help the disabled to get their real rights back. Only in case that they should be included in a subject of a lav of sports promotion, they can tak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is.
      Argument is advancing to with depth to the disabled person sport right in Korea and Japan.
      The efforts which are going to study desire of people and the problem of an obstacle with the obstacle which participates in a gymnastic activity, and are going to improve are required for the future of disabled person gymnastics.
      By moreover, the individual who leads the right of happiness and equal right which the international result and all human beings pursu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who did social integrated and When reflecting synthetically in a disabled person gymnastics policy and its execution the duty of an administration to decide the policy which has on many people etc. at harmony, it will be wishful to achievement of a future vi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국에서는 헌법 개정 논의를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통치기구 중 대통령의 임기를 중임제로 개정하는 안이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헌법학회 등에서는 기본권 중에 새로이 현대에 논의되고 있는 스포츠권, 건강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에 대해서 새로이 논의하고 있다. 이 중에 스포츠기본권이 현행 헌법개정안에 포함시키느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입법 활동을 하고 있다.
      스포츠인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스포츠 선수에 대한 구분인데, 순수하게 건강을 위한 스포츠인과 경쟁을 위한 스포츠선수, 아마추어적 여가선용을 위한 스포츠와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직업적인 스포츠선수 구분 등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가와 스포츠단체들은 국민의 대다수가 즐기는 운동과 고도의 능력과 기술이 요구되는 스포츠, 직업스포츠 등을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스포츠선수는 프로스포츠선수와 아마추어선수가 아닌 장애를 갖고 있는 스포츠선수이다. 그리고 한국에서 스포츠권이 헌법상 인정이 되는 기본권인가 여부를 먼저 다루고, 이러한 스포츠권이 인정된다는 전제하에서 한국과 일본에서 논의하고 있는 장애인의 스포츠 권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스포츠 활동은 장애인에서 있어 경제적 평등과 행복추구권을 이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스포츠권을 장애인이 기본적으로 누려야할 기본권으로서 이해하고 장애인의 스포츠권을 기본권으로서의 인식과 국가적 차원의 집중투자와 육성책이 마련된다면 장애인스포츠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할 것이다. 또한 정부와 국회는 장애인 인권보호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정책적 개입을 통한 중재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장애인 복지행정 전달체계를 강화와 인력 및 예산을 확대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세부적으로 장애인의 생활에 기본이 되는 接近權, 移動權, 交通權의 보장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의 지름길일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한국에서는 헌법 개정 논의를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통치기구 중 대통령의 임기를 중임제로 개정하는 안이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헌법학회 등에서는 기본권 중에 새로...

      최근 한국에서는 헌법 개정 논의를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통치기구 중 대통령의 임기를 중임제로 개정하는 안이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헌법학회 등에서는 기본권 중에 새로이 현대에 논의되고 있는 스포츠권, 건강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에 대해서 새로이 논의하고 있다. 이 중에 스포츠기본권이 현행 헌법개정안에 포함시키느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입법 활동을 하고 있다.
      스포츠인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스포츠 선수에 대한 구분인데, 순수하게 건강을 위한 스포츠인과 경쟁을 위한 스포츠선수, 아마추어적 여가선용을 위한 스포츠와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직업적인 스포츠선수 구분 등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가와 스포츠단체들은 국민의 대다수가 즐기는 운동과 고도의 능력과 기술이 요구되는 스포츠, 직업스포츠 등을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스포츠선수는 프로스포츠선수와 아마추어선수가 아닌 장애를 갖고 있는 스포츠선수이다. 그리고 한국에서 스포츠권이 헌법상 인정이 되는 기본권인가 여부를 먼저 다루고, 이러한 스포츠권이 인정된다는 전제하에서 한국과 일본에서 논의하고 있는 장애인의 스포츠 권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스포츠 활동은 장애인에서 있어 경제적 평등과 행복추구권을 이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스포츠권을 장애인이 기본적으로 누려야할 기본권으로서 이해하고 장애인의 스포츠권을 기본권으로서의 인식과 국가적 차원의 집중투자와 육성책이 마련된다면 장애인스포츠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할 것이다. 또한 정부와 국회는 장애인 인권보호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정책적 개입을 통한 중재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장애인 복지행정 전달체계를 강화와 인력 및 예산을 확대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세부적으로 장애인의 생활에 기본이 되는 接近權, 移動權, 交通權의 보장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의 지름길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신판)" 법문사 2008

      2 김철수,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3 허영, "한국헌법학" 박영사 2008

      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용득, "한국 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1

      7 김상겸, "프로스포츠와 직업의 자유(프로스포츠와 법적문제)" 2000b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자립을 위한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중장기 발전방안"

      9 국회장애인특별위원회, "장애인복지정책의 의견수렴에 관한 공청회"

      10 한명복, "장애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 정책과학대학원 2004

      1 권영성, "헌법학원론(신판)" 법문사 2008

      2 김철수,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3 허영, "한국헌법학" 박영사 2008

      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용득, "한국 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001

      7 김상겸, "프로스포츠와 직업의 자유(프로스포츠와 법적문제)" 2000b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자립을 위한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중장기 발전방안"

      9 국회장애인특별위원회, "장애인복지정책의 의견수렴에 관한 공청회"

      10 한명복, "장애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 정책과학대학원 2004

      11 이희정, "장애인복지정책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 정책대학원 2005

      12 윤상용, "장애인복지사업 이용 실태 및 복지욕구" 2005

      13 이후영, "장애인복지법에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2005

      14 오혜경, "장애인복지론" 창지사 88-90, 2005

      15 김익균, "장애인복지론" 교문사 2004

      16 권선진, "장애인복지론" 청목출판사 217-230, 2005

      17 정일교, "장애인복지론" 양서원 2005

      18 허윤정, "장애인 고용실태 및 고용확대방안" 한국노총중앙연구원 42-48,

      19 김미옥, "장애와 사회복지" 학지사 25-34, 2004

      20 한겨레신문, "장애 어린이에게 한국은 지옥"

      21 望月浩一郞, "일본의 장애자 스포츠와 법을 둘러싼 현재의 현상과 과제" 한국스포츠법학회 10 (10): 2007

      22 대한재활의학회,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정책 방향"

      23 "연합뉴스 보도자료, ‘서울시 장애인 특수학급 과밀화 심각’, 2006년 10월 27일자"

      24 김용섭, "스포츠행정법의 현황과 과제" 한국스포츠법학회 (창간) : 83-110, 2000

      25 김상겸,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한국스포츠법학회 (창간) : 2000

      26 충청남도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사업보고서" 2003

      27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8 Dabid Hoch, "What is Sports Law" Some introductory remarks and suggested parameters for A groving phenomenon 37-60, 1985

      29 Gewirth, A., "The Basis and Content of Human Rights, in Pennock and Chapman" Human Rights 122-, 1982

      30 Herrimam, J., "Sport law: A Social Perspective" 12 (12): 1988

      31 Dimock, M. E., "Public Administration" Holt, Finehart & Winston 24-27, 1959

      32 Cooper, Jeremy, "Disability and the Law" JKP 35-37, 1996

      33 보건복지부, "2007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년도 장애인실태조사" 2005

      35 보건복지부, "2000년, 2005년도 장애인실태보고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