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분말도 및 치환율에 따른 염해 저항성 평가 =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 Concrete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onsidering Fineness and Replacement Rati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26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ability performance in RC structures varies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cover depth and mix proportions. 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s very effective mineral admixture and widely used for an improved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such as poro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diffusion coefficient are evaluated in GGBFS concrete with 30~70% of replacement ratio and $4,000{\sim}8,000cm^2/g$ of fineness. Through the tests, more dense pore structure,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nd lower diffusion coefficient are obtained in GGBFS concrete, which are evaluated to be more dependent on replacement ratio than fineness. With increasing curing period from 3 to 91 days, porosity decreases to 77.47% and strength increases to 373% in GGBFS concret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GGBFS concrete decreases to 64.4% compared with that in OPC concrete, which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 of durability performance.
      번역하기

      Durability performance in RC structures varies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cover depth and mix proportions. 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s very effective mineral admixture and widely used for an improved resistance to chloride attac...

      Durability performance in RC structures varies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cover depth and mix proportions. 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is very effective mineral admixture and widely used for an improved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such as poro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diffusion coefficient are evaluated in GGBFS concrete with 30~70% of replacement ratio and $4,000{\sim}8,000cm^2/g$ of fineness. Through the tests, more dense pore structure,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nd lower diffusion coefficient are obtained in GGBFS concrete, which are evaluated to be more dependent on replacement ratio than fineness. With increasing curing period from 3 to 91 days, porosity decreases to 77.47% and strength increases to 373% in GGBFS concret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GGBFS concrete decreases to 64.4% compared with that in OPC concrete, which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 of durability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RC 구조물의 내구성능 피복두께의 변화뿐 아니라 배합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유용한 혼화재료이며, 최근들어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30~70%로, 분말도를 $4,000{\sim}8,000cm^2/g$으로 변화시키면서 공극률, 압축강도, 확산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조밀한 공극구조, 높은 강도발현과 확산계수 감소를 확보하였으며, 분말도보다 치환율에 더욱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에서 재령이 3일에서 91일로 증가함에 따라 공극률은 77.47%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압축강도는 373%로 증가하였다. 또한 염화물 확산계수는 OPC 콘크리트의 64.4% 수준으로 감소하여 내구적 저항성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RC 구조물의 내구성능 피복두께의 변화뿐 아니라 배합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유용한 혼화재료이며, 최근들어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

      RC 구조물의 내구성능 피복두께의 변화뿐 아니라 배합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유용한 혼화재료이며, 최근들어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30~70%로, 분말도를 $4,000{\sim}8,000cm^2/g$으로 변화시키면서 공극률, 압축강도, 확산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조밀한 공극구조, 높은 강도발현과 확산계수 감소를 확보하였으며, 분말도보다 치환율에 더욱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에서 재령이 3일에서 91일로 증가함에 따라 공극률은 77.47%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압축강도는 373%로 증가하였다. 또한 염화물 확산계수는 OPC 콘크리트의 64.4% 수준으로 감소하여 내구적 저항성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성준, "신명망 이론과 마이크로 모델링을 통한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해석" 대한토목학회 27 (27): 117-129, 2007

      2 이학수,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염소이온 겉보기 확산계수 추정 및 이를 이용한 염화물 해석" 한국콘크리트학회 24 (24): 481-490, 2012

      3 권성준, "단위수량 증가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구성능과 공극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6 (16): 75-83, 2012

      4 JSCE-Concrete committee,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ncrete structures"

      5 Kwon, S. J, "Service Life Prediction of Concrete Wharves with Early-Aged Crack : Probabilistic Approach for Chloride Diffusion" 31 (31): 75-83, 2009

      6 Song H. W, "Service Life Prediction of Concrete Structures under Marine Environment Considering Coupled Deterioration" 12 (12): 265-284, 2006

      7 Song, H. W,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Carbonated Concrete Considering Capillary Pore Structure" 37 (37): 909-915, 2007

      8 Maekawa, K, "Multi-Scale Modeling of Concrete Performance" 1 (1): 91-126, 2003

      9 Maekawa, K, "Modeling of Concrete Performance: Hydration, Microstructure Formation and Mass Transport" Routledge 150-177, 1999

      10 Song, H. W,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Micro Pore Structure" 39 (39): 814-824, 2009

      1 권성준, "신명망 이론과 마이크로 모델링을 통한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해석" 대한토목학회 27 (27): 117-129, 2007

      2 이학수,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염소이온 겉보기 확산계수 추정 및 이를 이용한 염화물 해석" 한국콘크리트학회 24 (24): 481-490, 2012

      3 권성준, "단위수량 증가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구성능과 공극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6 (16): 75-83, 2012

      4 JSCE-Concrete committee,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ncrete structures"

      5 Kwon, S. J, "Service Life Prediction of Concrete Wharves with Early-Aged Crack : Probabilistic Approach for Chloride Diffusion" 31 (31): 75-83, 2009

      6 Song H. W, "Service Life Prediction of Concrete Structures under Marine Environment Considering Coupled Deterioration" 12 (12): 265-284, 2006

      7 Song, H. W,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Carbonated Concrete Considering Capillary Pore Structure" 37 (37): 909-915, 2007

      8 Maekawa, K, "Multi-Scale Modeling of Concrete Performance" 1 (1): 91-126, 2003

      9 Maekawa, K, "Modeling of Concrete Performance: Hydration, Microstructure Formation and Mass Transport" Routledge 150-177, 1999

      10 Song, H. W,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Micro Pore Structure" 39 (39): 814-824, 2009

      11 Samsung Construction, "Evaluation for Diffusivity Characteristics in High Durable Concrete" 27-33, 2003

      12 RILEM, "Durability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E&FN 28-52, 1994

      13 Broomfield, J.P,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understanding, investigation and repair" E&FN 272-278, 1997

      14 Korea Concrete Institute,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Durability Part"

      15 Tang, L, "Chloride Binding Capacity and Binding Isotherms of OPC Paste and Mortar" 23 (23): 347-353, 1993

      16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Characteristics Study with Cement Type for Concrete Durability Improvement of RC" 129-133,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559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