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치참여 행태의 시스템 사고 분석 : 통합적 정치참여 행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alysis of the Systems Thinking on Political Participation : An Exploratory Study on Integrated Political Partici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3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important research topic related with communication between political stakeholders and citizen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But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extremely varies because of diversity on researcher's interest. As a result,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is hard to define a comprehensive meaning. But yet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theme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policies in the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a political participation system, diagnose problems and find solutions by establishing a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a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nalyzing a dynamic structure. Using casual loop analysis which is based on systematic thinking, not only analyzed the pattern of conven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unconven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but also attempted to draw new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grated casual loops.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olitical distru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has interactional relationship. It suggests that social media can serve as a channel to political participation if those can bring the positive interest and experience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rie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a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research and political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Korea.
      번역하기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important research topic related with communication between political stakeholders and citizen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But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extremely varies because of diver...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important research topic related with communication between political stakeholders and citizen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But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extremely varies because of diversity on researcher's interest. As a result,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is hard to define a comprehensive meaning. But yet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theme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policies in the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a political participation system, diagnose problems and find solutions by establishing a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a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nalyzing a dynamic structure. Using casual loop analysis which is based on systematic thinking, not only analyzed the pattern of conven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unconven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but also attempted to draw new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grated casual loops.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olitical distru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has interactional relationship. It suggests that social media can serve as a channel to political participation if those can bring the positive interest and experience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rie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a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research and political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참여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연구의 영역과 방법론에서의 괄목할만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관습적 정치참여와 비관습적 정치참여로 구분된다는 아쉬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아쉬움을 보완하기 위하여 관습적 정치참여와 비관습적 정치참여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인과지도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시스템 사고적 관점에서 정치참여의 행태를 이해하고,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기되었던 해석을 보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의 결과, 정치참여 행태의 통합적인 인과지도를 통해 정치 불신과 관습적 정치참여 사이의 인과관계가 도출되었다. 이는 기존에 비관습적인 정치참여를 강화시킨다고 이해했던 소셜 미디어 이용 행위도 관습적인 정치참여와 연관한 긍정적인 관심과 경험으로 이어줄 수 있다면 관습적 정치참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채널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정치참여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연구의 영역과 방법론에서의 괄목할만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관습적 정치참여와 비관습적 정치참여로 구분된다는 아쉬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정치참여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연구의 영역과 방법론에서의 괄목할만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관습적 정치참여와 비관습적 정치참여로 구분된다는 아쉬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아쉬움을 보완하기 위하여 관습적 정치참여와 비관습적 정치참여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인과지도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시스템 사고적 관점에서 정치참여의 행태를 이해하고,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기되었던 해석을 보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의 결과, 정치참여 행태의 통합적인 인과지도를 통해 정치 불신과 관습적 정치참여 사이의 인과관계가 도출되었다. 이는 기존에 비관습적인 정치참여를 강화시킨다고 이해했던 소셜 미디어 이용 행위도 관습적인 정치참여와 연관한 긍정적인 관심과 경험으로 이어줄 수 있다면 관습적 정치참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채널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준, "한국지방자치론-지방정치, 자치행정, 가치경영" 법문사 1994

      2 박희제, "한국인의 광우병 위험인식과 위험회피행동"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311-341, 2012

      3 박찬욱,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14 (14): 147-192, 2005

      4 지병근, "한국에서의 정치참여: 접촉 및 항의활동" 세종연구소 14 (14): 121-145, 2008

      5 변희재, "코리아 실크세대 혁명서" 생각나눔 2008

      6 윤성복, "촛불시위의 출현과 폭발성에 대한 실재론적 접근" 사회과학연구소 19 (19): 114-163, 2011

      7 박령주, "집합행동의 발생과 확산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복잡계 시스템에 내포한 임계점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3 (33): 5-50, 2016

      8 권세은, "지역연구의 패러다임으로서 복잡성에 대한 시론" 국제지역학회 8 (8): 127-151, 2004

      9 최창호, "지방자치학" 삼영사 1996

      10 류태건, "정치효능·정치신뢰·정치참여의 이론과 현실"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43-267, 2010

      1 김병준, "한국지방자치론-지방정치, 자치행정, 가치경영" 법문사 1994

      2 박희제, "한국인의 광우병 위험인식과 위험회피행동"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311-341, 2012

      3 박찬욱,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14 (14): 147-192, 2005

      4 지병근, "한국에서의 정치참여: 접촉 및 항의활동" 세종연구소 14 (14): 121-145, 2008

      5 변희재, "코리아 실크세대 혁명서" 생각나눔 2008

      6 윤성복, "촛불시위의 출현과 폭발성에 대한 실재론적 접근" 사회과학연구소 19 (19): 114-163, 2011

      7 박령주, "집합행동의 발생과 확산에 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복잡계 시스템에 내포한 임계점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3 (33): 5-50, 2016

      8 권세은, "지역연구의 패러다임으로서 복잡성에 대한 시론" 국제지역학회 8 (8): 127-151, 2004

      9 최창호, "지방자치학" 삼영사 1996

      10 류태건, "정치효능·정치신뢰·정치참여의 이론과 현실"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43-267, 2010

      11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채널, 정부신뢰, 사회적 영향이 대학생들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9 (19): 77-111, 2011

      12 조은희, "정책정보추구행동이 정책소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8 (28): 79-98, 2017

      13 최인철, "정보화 시대의 사회적 불안의 특성과 변화"

      14 하상응,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의 심리적 결정 요인들:우파 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6 (16): 5-37, 2017

      15 민경배, "인터넷 시민 참여와 대의민주주의의 공존 가능성: 2008년 촛불시위와 국회의원 홈페이지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3) : 315-354, 2008

      16 김강훈, "인과지도 분석을 통한 디지털 세대의 정치적 무관심과 정치참여 형태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2 (12): 47-66, 2011

      17 김지수, "이해관계자결정분석(stakeholder decision analysis) 기법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미국 캘리포니아 송전탑 사례와 밀양 송전탑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43-174, 2014

      18 양건모, "의사·약사의 정책과정 참여가 보건복지부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41 (41): 357-385, 2007

      19 김도훈,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1999

      20 이병혜,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0) : 319-353, 2013

      21 박준, "소셜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정책환경" 삼성경제연구소 2011

      22 조화순, "소셜 네트워크 시대의 정치참여와 민주주의의 미래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한정치학회 19 (19): 23-48, 2012

      23 양정애, "상대적 정보선호도에 따른 정치뉴스 추구행동 및 시민참여:교육수준을 조절변인으로 한 매개모형 검증" 한국방송학회 28 (28): 137-175, 2014

      24 권예지, "사회불안과 대인불안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와 정보추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237-267, 2016

      25 임도빈, "사회갈등의 확산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촛불시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55-80, 2010

      26 이해춘, "사이버 집합행동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분석" 29 : 51-66, 2009

      27 이한나, "비만 예방 및 관리의 사회생태계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7 (17): 35-53, 2016

      28 박형신, "먹거리, 감정, 가족 동원: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의 경우" 한국이론사회학회 (13) : 147-183, 2008

      29 김흥주, "먹거리 신뢰의 구조적 특성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173-214, 2012

      30 류성희, "막스 베버의 정치관으로 바라본 2008 년 촛불집회: 국가폭력의 정당성자원과 책임을 중심으로" (30) : 111-142, 2010

      31 조은영,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85-210, 2014

      32 이준웅, "대통령 후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의 형성과 정치적 효과" 한국언론학회 51 (51): 111-137, 2007

      33 김형준, "노무현 정부에서 참여정치의 신장과 한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7-91, 2004

      34 김예란, "광장에 균열내기 촛불 십대의 정치 참여에 대한 문화적 해석"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90-110, 2010

      35 하대청, "광우병 위험의 사회적 구성 ― 사회기술적 구성물로서의 SRM과 ‘과학 실행 스타일’ 속 MM형" 한국환경사회학회 15 (15): 225-268, 2011

      36 정태석, "광우병 반대 촛불집회에서 사회구조적 변화읽기 : 불안의 연대, 위험사회, 시장의 정치" 비판사회학회 (81) : 251-272, 2009

      37 이정미, "과도한 정보추구로 인한 미디어의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 및 유형 분석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231-247, 2008

      38 이성식, "감정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5

      39 김예란, "감성 공론장: 여성 커뮤니티, 느끼고 말하고 행하다"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8 (18): 146-191, 2010

      40 Nye, J, S. jr, "Why People Don’t Trust Gover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41 Brader, T., "What triggers public opposition to immigration? Anxiety, group cues, and immigration threat" 52 (52): 959-978, 2008

      42 Wells, S. D., "Wha'd'ya know? Examining young voters' political information and efficacy in the 2004 election" 50 (50): 1280-1289, 2007

      43 Putnam, Robert D., "Turning in, tur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28 : 664-683, 1995

      44 Dalton, R. J., "The Good Citizen: How a younger generation is reshaping American politics" CQ Press 2008

      45 Kim, J. D, "Stress and anxiety among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at liberty university analyzed with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form Y)" Liverty University 2009

      46 Dalton, R. J., "Political science: The state of the discipline II" 193-218, 1993

      47 Barnes, Samuel H.,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Sage 409-447, 1979

      48 Mondak, J. J., "Personality and civic engagement: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the study of trait effects on political behavior" 104 (104): 85-110, 2010

      49 Rousseau, D. M.,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23 (23): 393-404, 1998

      50 Huntington, Samuel P, "No Easy Choice: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51 Hayes, R. A, "New media, new politics: Political learning efficacy and the examination of uses of social network sites for political engagement" Michigan Stage University 2009

      52 Tian, Y., "Media use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 empirical test of comlementarity thery" 23 (23): 184-190, 2008

      53 Marcus, G. E, "Measuring Subjective Emotional Response: New Evidence on an Alternative Method" 2009

      54 Valentino, N. A., "Is a worried citizen a good citizen? Emotions, political information seeking, and learning via the internet" 29 (29): 247-273, 2008

      55 Shah, D. V., "Information and expression in a digital age modeling Internet effects on civic participation" 35 (35): 531-565, 2005

      56 Best, S. J., "Goverment monitoring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distinct roles of anger and anxiety" 39 (39): 85-117, 2011

      57 Gross, K., "Framing emotional response" 25 : 1-29, 2004

      58 Pantti, M., "Do crying citizens make good citizens?" 16 (16): 205-224, 2006

      59 Marcus, F. I., "Diagnosis of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dysplasia: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task force criteria" 121 (121): 1533-1541, 2010

      60 Nydegger, R., "Dealing with anxiety and trlated disorders: understanding, coping, and prevention" Praeger 2012

      61 Weick, K. E., "Cognitive processes in organizations" 1 (1): 41-74, 1979

      62 Marcus, G. E., "Anxiety, enthusiasm, and the vote: The emotional underpinnings of learning and involvement during presidential campaigns" 87 (87): 672-685, 1993

      63 Bennett, Stephen Earl,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 1"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57-204, 1986

      64 Johnson T. J., "A boost of bust for democracy? How the web influenced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 1996 and 2000 presidential elections" 8 (8): 9-34, 2003

      65 노진철,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비판사회학회 (84) : 158-182, 2009

      66 윤성이, "2008년 촛불과 정치참여 특정의 변화: 행위자, 구조,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7 (27): 315-33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