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트프리드 젬퍼의 건축에서 장식의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Ornament in Architecture of Gottfried Semp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9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Gottfried Semper의 건축에서 드러나는 장식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외피의 다양한 현상은 건축적 관심사가 건축표면에 집중되고 있으며 외피는 재료의 변화 및 기술 발전의 중요한 표현적 대상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건축에서 새로운 장식적 경향에 대한 관심과 장식 개념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젬퍼는 건축을 피복예술로 정의하며 건축의 기원을 공간개념에 근원을 두는 형태원리로 이해하고 있다. 젬퍼에게 있어 건축은 구조의 문제가 아닌 공간을 한정하는 방법과 대상의 드러냄의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벽은 한정된 공간을 현실화 시키는 것으로, 시대적 가치를 전달하는 건축적 표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젬퍼에게 있어 피복이란 형태를 구조적인 것과 장식적인 것을 구분할 수 없을 때까지 비물질화하는 예술수단이라는 점에서 장식은 건축에 있어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필연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추적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Gottfried Semper의 건축에서 드러나는 장식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외피의 다양한 현상은 건축적 관심사가 건축표면에 집중되고 있으며 외...

      본 논문의 목적은 Gottfried Semper의 건축에서 드러나는 장식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외피의 다양한 현상은 건축적 관심사가 건축표면에 집중되고 있으며 외피는 재료의 변화 및 기술 발전의 중요한 표현적 대상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건축에서 새로운 장식적 경향에 대한 관심과 장식 개념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젬퍼는 건축을 피복예술로 정의하며 건축의 기원을 공간개념에 근원을 두는 형태원리로 이해하고 있다. 젬퍼에게 있어 건축은 구조의 문제가 아닌 공간을 한정하는 방법과 대상의 드러냄의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벽은 한정된 공간을 현실화 시키는 것으로, 시대적 가치를 전달하는 건축적 표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젬퍼에게 있어 피복이란 형태를 구조적인 것과 장식적인 것을 구분할 수 없을 때까지 비물질화하는 예술수단이라는 점에서 장식은 건축에 있어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필연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추적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건축에서 장식의 의미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건축에서 장식의 의미
      • 3. Semper의 건축정의
      • 3.1 공간의 문제
      • 3.2 표현성의 문제
      • 4. 장식의 개념
      • 4.1 필연성의 문제
      • 4.2 상징성의 문제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욱, "필로아키텍트" 향연 2009

      2 Adolf Loos, "장식과 범죄" 소오건축 2006

      3 Kengo Kuma, "약한건축" designhouse 2009

      4 신현경, "르네상스 시대 L. B. Alberti의 「건축서」에 나타난 ‘장식’의 이론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71-80, 2002

      5 정인하, "고트프리트 젬퍼와 칼 뵈티커의 텍토닉 개념비교" 7 (7): 77-91, 1998

      6 이종건, "건축텍토닉과 기술 니힐리즘" 시공문화사 2008

      7 井上充夫, "건축미론" 도서출판 국제 1994

      8 Leon Battista Alberti, "Zehn Buecher ueber die Baukuns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1

      9 Gottfried Semper, "Wissenschaftliches Kollequim im Rahmen der Semper -Ehrung der DDR Technische Uni. Dresden"

      10 Samuel Luescher, "Renaissance des Ornaments" Die Fusion des Rationalen mit dem Verspielten 2007

      1 박영욱, "필로아키텍트" 향연 2009

      2 Adolf Loos, "장식과 범죄" 소오건축 2006

      3 Kengo Kuma, "약한건축" designhouse 2009

      4 신현경, "르네상스 시대 L. B. Alberti의 「건축서」에 나타난 ‘장식’의 이론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71-80, 2002

      5 정인하, "고트프리트 젬퍼와 칼 뵈티커의 텍토닉 개념비교" 7 (7): 77-91, 1998

      6 이종건, "건축텍토닉과 기술 니힐리즘" 시공문화사 2008

      7 井上充夫, "건축미론" 도서출판 국제 1994

      8 Leon Battista Alberti, "Zehn Buecher ueber die Baukuns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1

      9 Gottfried Semper, "Wissenschaftliches Kollequim im Rahmen der Semper -Ehrung der DDR Technische Uni. Dresden"

      10 Samuel Luescher, "Renaissance des Ornaments" Die Fusion des Rationalen mit dem Verspielten 2007

      11 Fritz Neumeyer, "Quellentexte zur Architekturtheorie" Prestel 2002

      12 Carsten Uhlig, "Peter Eisenmanns Textil" Bauhaus Uni. 2007

      13 Gottfried Semper, "Kleine Schriften" Maeander Kunstverlag 1979

      14 Kenneth Frampthon, "Grundlage der Architektur" Oktagon 1993

      15 Hanno Walter Kruft, "Geschicte der Architekturtheorie" Verlag C.H.Beck 1991

      16 Ute Poerschke, "Funtion als Gestaltungsbegriff" Brandenburgischen Technischen Uni 2005

      17 Gottfried Semper, "Die Vier Elemente der Baukunst" Druck und verlag von Friedrich Veiweg und Sohn 1851

      18 Gottfried Semper, "Der Stil I"

      19 Sylvia Stephan, "Das koerperwiderstaendige Schmuckobjekt" Eberhardt-Karls-Uni. 2009

      20 Michael Duerfeld, "Das Ornamentale und die die architectonische Form" Transcript 2008

      21 Frank Lothar Kroll, "Das Ornament in der kunsttheorie des 19 Jahrhunderts" OLMS 1987

      22 조영배, "19세기 새로운 장식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16) : 168-174,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