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ㆍ발해 역사의 공동연구를 통한 남북한 동질성 회복 방안 = The Plan to Rehabilitate Ident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the Joint Study of Koguryo and Balhae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55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북간의 학술 교류는 6ㆍ15 남북 공동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2006년까지 진행된 평양과 인근 지역의 고구려 고분, 성곽 조사 이외에 남북간에 공동 조사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는 북...

      남북간의 학술 교류는 6ㆍ15 남북 공동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2006년까지 진행된 평양과 인근 지역의 고구려 고분, 성곽 조사 이외에 남북간에 공동 조사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는 북한내 고인돌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조사, 태봉국 궁예도성 조사, 중국의 발해유적 세계문화유산 등재 대비를 위한 청해토성과 부거리 일대, 화대군 벽화고분, 오매리 절터 등의 공동조사, 동해안과 그 연안의 항구와 교통로 관련 유적도 남과 북이 공동으로 조사할 수 있는 대상이다.
      남북 공동연구가 가능한 분야로는 고구려와 발해 역사서 발행, 시대 구분ㆍ학술용어 등에 대한 논의, 남북상호간의 이해와 화해를 위한 역사 교육 방안, ‘공동 역사교재’ 편찬, 고구려 및 발해사 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문화유산의 실태조사 등이 있다. 이것들은 남북이 큰 어려움 없이 공동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이다.
      공동 조사와 연구시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첫째, 가능한 범위로부터 점차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둘째, 북한의 각종 발굴에 따른 보고서 간행을 지원하고, 셋째, 남북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사업이 확대되어야 하고, 넷째, 양측이 합의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다섯째. 상호이해 증진으로 학술교류가 이어져야 하며, 여섯째, 수집된 자료는 한곳에서 체계적으로 총괄 정리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일곱째, 무엇보다 남북간에 고구려와 발해사를 공동으로 연구하고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s regularized by 6ㆍ15 joint declaration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Targets to study and investigate together is research to register the dolmen in north Korea to the World Cultural Heritage, the castl...

      The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s regularized by 6ㆍ15 joint declaration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Targets to study and investigate together is research to register the dolmen in north Korea to the World Cultural Heritage, the castle town of Taebongguk Gungye, Hwadaegun's tumulus with a wall painting, Chunghaetosung, Bugary region and a temple site of Omery to prepare that China will register Balhae's heritage to the World Cultural Heritage besides the investigation of Koguryo's old tomb and castle on-site and nearby Pyoungyang to be made progress until last year.
      The area of joint study can be to issue history book of Koguryo and Balhae, discussion of periodization and terminology, to plan for history education to understand and make up between the two, south and north Korea, to edit 'common history book', to construct database of Koguryo and Balhae an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ultural heritage.
      There are several items to considerate when joint study and research. First item is to extend working area from practicable range. Second is to support that north Korea can publish the report about various excavations. Third is to expand joint enterpris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th is to make council made arrangements each other. Fifth is to promote scholarship exchange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Sixth is to improve efficiency according as collected data will be arranged systematically. Finally, it is important to extend 'opportunity' to study and research together history of Koguryo and Balha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남북 공동 학술조사와 연구활동 현황
      • 3. 고구려사ㆍ발해사의 남북 공동 조사ㆍ연구 방안
      • 4. 맺음말
      • 요약문
      • 1. 머리말
      • 2. 남북 공동 학술조사와 연구활동 현황
      • 3. 고구려사ㆍ발해사의 남북 공동 조사ㆍ연구 방안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