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축적 특성 분석 = Analysi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uper High Rise Apart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economical crisis of Korea in 1997, self-determined price for apartment and the revision increasing the ratio of residential area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were introduced to activate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auses construction companies to build super high rise apartment discriminative and high class orientated.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uper high rise building which is planned to build or built recently and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objects are 288 unit households in 26 apartment complexes higher than twenty five story since 1998. As a result, super high rise building comparing with existing apartments were being varied in plan types of main building and unit household and in construction types. As for the plan, the number of walls having opening to outdoor were increased and it is considered that high rise building can take advantage of a view, lighting and sunshine. The location of living room that used to be in the center of unit in existing apartment was moved freely without rule.
      번역하기

      At the economical crisis of Korea in 1997, self-determined price for apartment and the revision increasing the ratio of residential area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were introduced to activate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auses constructio...

      At the economical crisis of Korea in 1997, self-determined price for apartment and the revision increasing the ratio of residential area fo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were introduced to activate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auses construction companies to build super high rise apartment discriminative and high class orientated.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uper high rise building which is planned to build or built recently and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objects are 288 unit households in 26 apartment complexes higher than twenty five story since 1998. As a result, super high rise building comparing with existing apartments were being varied in plan types of main building and unit household and in construction types. As for the plan, the number of walls having opening to outdoor were increased and it is considered that high rise building can take advantage of a view, lighting and sunshine. The location of living room that used to be in the center of unit in existing apartment was moved freely without ru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콩 초고층 주거단지의 특징에 관한 연구" 16 (16): 2005

      2 "한국 주거단지와 서양주거단지의 밀도 및 계획기법 비교 연구" 2001

      3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평면 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2002

      4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평 면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2002

      5 "초고층 아파트의 의학적 병리현상에 관 한 연구" 통 (통): 1993

      6 "초고층 아파트먼트의 건축적 형식과 특징" 29-32, 1990

      7 "집합주택단지 밀도와 계획기법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2001

      8 "우리나라 초고층 아파트의 주동평면 배치 방향에 관한 연구" 1995

      9 "고층아파트의 주거동 배 치유형에 따른 개방적 특성 분석 연구" 21 (21): 2005

      1 "홍콩 초고층 주거단지의 특징에 관한 연구" 16 (16): 2005

      2 "한국 주거단지와 서양주거단지의 밀도 및 계획기법 비교 연구" 2001

      3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평면 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2002

      4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평 면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2002

      5 "초고층 아파트의 의학적 병리현상에 관 한 연구" 통 (통): 1993

      6 "초고층 아파트먼트의 건축적 형식과 특징" 29-32, 1990

      7 "집합주택단지 밀도와 계획기법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2001

      8 "우리나라 초고층 아파트의 주동평면 배치 방향에 관한 연구" 1995

      9 "고층아파트의 주거동 배 치유형에 따른 개방적 특성 분석 연구" 21 (2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