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상호, "학문과 교육(하). :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 van Manen,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3 Vial, S., "철학자의 디자인공부" 홍시, 2012
4 곽영순,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5 김영철, "질적연구에 있어서의 글쓰기" 교육인류학연구 2 (2), 1999
6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7 조용환,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4
8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9 Stainback, S., "질적 연구의 이해와 실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10 황익주, "질적 연구의 방법론(글쓰기교실연구노트4)"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 2005
1 장상호, "학문과 교육(하). :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 van Manen,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3 Vial, S., "철학자의 디자인공부" 홍시, 2012
4 곽영순,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5 김영철, "질적연구에 있어서의 글쓰기" 교육인류학연구 2 (2), 1999
6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7 조용환,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4
8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9 Stainback, S., "질적 연구의 이해와 실천"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10 황익주, "질적 연구의 방법론(글쓰기교실연구노트4)"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 2005
11 Martin, R., "아이디어를 아이콘으로 바꾸는 생각의 최고 지점 디자인씽킹" 웅진윙스, 2010
12 이주명, "산업디자인의 질적 연구 특성 고찰"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 (2) : 245 ~ 255, 2011
13 김지현, "비고츠키의 지식점유과정과 언어매개기능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2000
14 Spradley, P.,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5 Crane, J. G., "문화인류학 현지조사방법론" 일조각, 1997
16 곤노 노보루, "디자인사고" 스펙트럼 북스, 2012
17 노나카 이쿠지로, "노나카의 지식경영" 21세기북스, 1998
18 김상우, "‘일상생활의 사회학’의 현황과 전망" 문화와 사회 1 (1) : 91 ~ 122, 2006
19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mtt_id=8502"
20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5a1060a"
21 Guba, 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4
22 Cross, N., "Designerly Ways of Knowing" Springer, 2007
23 Brown, T, "Design Thinking" Havard Business Review,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