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잔여지 감가보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미국 잔여지 보상제도와의 비교 = Problems of and Improvements in Residual Depreciation Compensation: Comparison with U.S. Compensation System for Residual Lan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잔여지 감가보상을 중심으로 하여 문헌연구방법으로 미국의 보상제도와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잔여지 감가보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

      본 연구는 잔여지 감가보상을 중심으로 하여 문헌연구방법으로 미국의 보상제도와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잔여지 감가보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보상법」에는 사업시행자가 잔여지 가치하락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도록하고 있어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미국의 경우와 같이 편입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를 할 때 잔여지의 가치하락액에 대한 감정평가액도 함께 제시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잔여지 감가보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인 일단의 토지에 대해 개념 규정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판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표준지조사ㆍ평가기준」, 「개별공시지가 조사ㆍ산정지침」, 「토지보상평가지침」의 일단지에 관한 규정을 바탕으로 일단의 토지에 관한 명시적인 개념과 구체적인 판단기준에 관한 규정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토지보상법」에는 잔여지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규정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잔여지 가치하락 요인에 관한 일반적이고 정형화된 요인들을 규정해야 한다.
      넷째, 잔여지 가치하락액의 감정평가방법으로 「토지보상법」은 분리산정법만을 규정하고 있는데 잔여지 가치하락액 자체에 대한 감정평가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는 분리산정법이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이에 전후비교법, 분리합산법 등 다양한 감정평가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토지보상법」상의 규정을 근거로 사업손실까지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정당보상의 관점에서 「토지보상법」에 사업손실도 보상액에 포함하도록 하는 명시적 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
      여섯째, 현행 「토지보상법」의 규정에 따르면 일반이익과 특별이익이 모두 포함되어 잔여지의 소유자가 특별한 혜택을 얻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토지보상법」상 사업시행 이익 상계 금지의 원칙은 일반이익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이익의 범위를 제한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problems of and improvements in Korea’s compensation for declines in residual valu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U.S. compensation system vi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compensation of residual value. The main problems and...

      This study presents the problems of and improvements in Korea’s compensation for declines in residual valu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U.S. compensation system via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compensation of residual value. The main problems and improv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nd Compensation Law of Korea provides no compensation because the project developer must judge whether residual value of land has fallen. So the recommendation is to oblige the appellant to present the appraisal value of the depreciated residual land when appraising the incorporated land as in the case of the U.S. Second, no specific criteria exist for the concept of land, such a concept is the most crucial in compensation for declining land value. Another requirement is regulations on specific concepts of a set of land. Third, the Land Compensation Act contains no provisions on factors that reduce land value, thus identification of general and standardized factors behind the depreciation of the residual value of land is needed. Fourth, the prospects that the separation method will be applied are hjghly unlikely, meaning related regulations should undergo revision to allow a variety of appraisal methods to be applied. Fifth,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business losses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Land Compensation Law remains unclear. Thus explicit provisions in the Land Compensation Act on business losses as compensation are needed. Sixth, per the provisions of the law, a problem occurs asthe owner of the remaining land receives special benefits that include both ordinary and special profit. Accordingly, the law should limit the scope of profits to make it include only general profi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창진, "한․일 토지보상법 비교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163-170, 2012

      2 차태환, "토지보상법" 부연사 417-, 2012

      3 허강무, "철도건설사업 관련 지하공간 보상의 법․정책적 검토"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517-543, 2013

      4 김형근, "지방자치단체 토지수용 재결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5 (5): 126-130, 2011

      5 강선호, "정당보상 관점에서 본 잔여지 가치하락보상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6 (26): 31-46, 2016

      6 김원보, "잔여지감가보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13 : 1-32, 2013

      7 신우진, "잔여지 수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77-188, 2011

      8 박용한, "잔여지 감가보상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8 (8): 307-312, 2013

      9 "위키백과"

      10 전오식, "보상절차 이행상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14 : 1-28, 2014

      1 전창진, "한․일 토지보상법 비교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163-170, 2012

      2 차태환, "토지보상법" 부연사 417-, 2012

      3 허강무, "철도건설사업 관련 지하공간 보상의 법․정책적 검토"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517-543, 2013

      4 김형근, "지방자치단체 토지수용 재결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5 (5): 126-130, 2011

      5 강선호, "정당보상 관점에서 본 잔여지 가치하락보상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6 (26): 31-46, 2016

      6 김원보, "잔여지감가보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13 : 1-32, 2013

      7 신우진, "잔여지 수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77-188, 2011

      8 박용한, "잔여지 감가보상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8 (8): 307-312, 2013

      9 "위키백과"

      10 전오식, "보상절차 이행상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14 : 1-28, 2014

      11 "법제처"

      12 심민석, "미국의 잔여지보상에 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18 (18): 343-374, 2012

      13 심민석, "미국의 ‘일단의 토지’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16 (16): 425-459, 2013

      14 박신, "도로의 개설로 인한 손실보상의 현황과 과제: 잔여지 보상을 중심으로"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13 : 59-95, 2013

      15 "대한민국 법원 종합법률정보"

      16 황영수,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상 손실보상액의 결정 방법에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3 (3): 61-87, 2014

      17 김승현, "감정평가업에 있어서 서비스 요인과 고객만족의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649-660, 2012

      18 한국감정평가협회, "감정평가실무기준 해설서 (Ⅱ) 보상편" 2012

      19 The Appraisal Foundation, "Uniform Appraisal Standards for Federal Land Aquisi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5 0.657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