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전쟁은 발칸반도의 평화를 유지하겠다는 명분으로 나토(NATO)군이 유고연방의 군사시설을 타격함으로써 발발하였다. 이후 나토(NATO)군은 우세한 항공력을 활용한 공습으로 유고연방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29426
대전 : 한남대학교 경영·국방전략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남대학교 경영·국방전략대학원 , 안보국방정책학과 , 2020. 8
2020
한국어
355 판사항(23)
대전
iii, 52 p. : 삽화 ; 26 cm.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양욱
참고문헌: p. 49-51
I804:25013-20000032023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소보전쟁은 발칸반도의 평화를 유지하겠다는 명분으로 나토(NATO)군이 유고연방의 군사시설을 타격함으로써 발발하였다. 이후 나토(NATO)군은 우세한 항공력을 활용한 공습으로 유고연방군...
코소보전쟁은 발칸반도의 평화를 유지하겠다는 명분으로 나토(NATO)군이 유고연방의 군사시설을 타격함으로써 발발하였다. 이후 나토(NATO)군은 우세한 항공력을 활용한 공습으로 유고연방군을 무력화시키면서, 78일만에 전쟁은 종료되었다.
이러한 코소보전쟁은 그동안 전쟁의 원인과 전쟁 경과에 대한 분석 등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논문에서 분석의 틀로 활용한 리델하트의 간접 접근 전략에 대해서는 지상전력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항공전력을 주로 활용하여 전쟁을 종결지은 코소보 전쟁을 간접 접근 전략의 틀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는 선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리델 하트의 간접 접근 전략에 대한 이론적인 틀을 활용하여 코소보전쟁에서의 나토(NATO)군의 군사작전을 분석함으로써 간접접근 전략이 지상전력의 기동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항공 전력에도 적용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으며, 나토(NATO)군의 실시한 군사작전이 간접 접근 전략을 적용한 것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간접접근전략의 현대적 평가를 통해 한국군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유사시 한반도에서 한국군의 전쟁수행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