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출현한 황사 발원지별로 기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일별 황사자료와 발원지의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 황사 출현 시의 발원지 기상상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41657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83(17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출현한 황사 발원지별로 기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일별 황사자료와 발원지의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 황사 출현 시의 발원지 기상상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출현한 황사 발원지별로 기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일별 황사자료와 발원지의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 황사 출현 시의 발원지 기상상태를 분석하였다. 한국에 출현한 황사 중 네이멍구에서 발원한 황사의 빈도가 가장 높다. 황토고원을 제외한 발원지에서 출현한 황사 일수가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국에 영향을 미친 빈도가 높았다. 황토고원의 경우 1960년대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의 남부지방에 영향을 미친 빈도가 높았다. 한국의 황사 발생일수와 발원지의 봄철 및 4월 기상요소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 네이멍구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해면기압, 봄철 상대습도와 음의 관계가 있다. 고비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돌풍일수와 양의 관계이며, 4월 해면기압과 음의 관계이다. 만주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강수량, 해면기압과는 음의 관계이다. 황토고원에서 발원한 황사 발생일과 4월 최대풍속과는 양의 관계이며, 해면기압과는 음의 관계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Asian dust source region and climatic condition of source region by the case of Asian dust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weather condition of source region, observed the Asian dust days data and weather da...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Asian dust source region and climatic condition of source region by the case of Asian dust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weather condition of source region, observed the Asian dust days data and weather data in China were used. The Asian dust days originating from inner-Mongolia were the most frequent. The Asian dust days originating from all the source regions except Loess plateau were increased recently and occurred over the country. In case of Loess plateau, the frequency of the Asian dust days in 1960s was the highest and only the southern region of the south Korea was mostly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ian dust days of Korea and climatic factors of spring and April of source region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ian dust days originating from the inner Mongolia and sea level pressure of April and relative humidity of spring was negative. The Asian dust days from Gobi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wind gust days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a level pressure in April. The Asian dust days from Manchuria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ecipitation and sea level pressure in April. The Asian dust days from Loess plateau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ximum wind speed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a level pressure in Apri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영, "한국의 황사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4 (44): 675-690, 2009
2 이종재, "최근의 황사 발원지에서의 먼지 발생 특성-2002년 이후 먼지발생 경향 분석" 한국기상학회 18 (18): 493-506, 2008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중국의 황사발생 현황과 장단기 대책"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4 국립환경과학원, "발원지의 황사 발생기구 및 이동 경로별 황사 발생특성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8
5 Qian, W., "Variation of the dust storm in China and its climatic control" 15 : 1216-1229, 2002
6 Kim, J., "Transport routes and source regions of Asian dust observed in Korea during the past 40 years (1965-2004)" 42 : 4778-4789, 2008
7 Lee, Y. C., "Transport of dusts from East Asian and non-East-Asian sources to Hong Kong during dust storm related events 1996-2007" 44 : 3728-3738, 2010
8 Kim, B.-G., "Transport and evolution of a winter-time Yellow sand observed in Korea" 35 : 3191-3201, 2001
9 Qiangguo, C., "The relationships between soil erosion and human activities in the Loess plateau" 112-118, 2002
10 Wang, X., "The relation between sandstorms and strong winds in Xijiang, China" 3 : 67-79, 2003
1 김선영, "한국의 황사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4 (44): 675-690, 2009
2 이종재, "최근의 황사 발원지에서의 먼지 발생 특성-2002년 이후 먼지발생 경향 분석" 한국기상학회 18 (18): 493-506, 2008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중국의 황사발생 현황과 장단기 대책"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4 국립환경과학원, "발원지의 황사 발생기구 및 이동 경로별 황사 발생특성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08
5 Qian, W., "Variation of the dust storm in China and its climatic control" 15 : 1216-1229, 2002
6 Kim, J., "Transport routes and source regions of Asian dust observed in Korea during the past 40 years (1965-2004)" 42 : 4778-4789, 2008
7 Lee, Y. C., "Transport of dusts from East Asian and non-East-Asian sources to Hong Kong during dust storm related events 1996-2007" 44 : 3728-3738, 2010
8 Kim, B.-G., "Transport and evolution of a winter-time Yellow sand observed in Korea" 35 : 3191-3201, 2001
9 Qiangguo, C., "The relationships between soil erosion and human activities in the Loess plateau" 112-118, 2002
10 Wang, X., "The relation between sandstorms and strong winds in Xijiang, China" 3 : 67-79, 2003
11 Lim, J. Y., "The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events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springtime from 1993 to 2004" 52 : 231-247, 2006
12 Chun, Y.,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106 (106): 18461-18470, 2001
13 Sun, J.,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dust storms in Chin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1960-1999: Relations to source area and climate" 106 (106): 10325-10333, 2001
14 Liu, T. H., "Southeastward transport of Asian dust: Source, transport and its contributions to Taiwan" 43 : 458-467, 2009
15 Zhang, X. Y., "Sources of Asian dust and role of climate change versus desertification in Asian dust emission" 30 (30): 2272-, 2003
16 Hara, Y., "Long-term variation of Asian dust and related climate factors" 40 : 6730-6740, 2006
17 Kinoshita, K., "Long-term observation of Asian dust in Changchun and Kagoshima" 5 : 89-100, 2005
18 Zhang, X. Y., "Dust emission from Chinese desert sources linked to variations in atmospheric circulation" 102 (102): 28041-28047, 1997
19 Sun, L., "Climatology, trend analysis and prediction of sandstorms and their associated dust fall in China, Water" 3 : 41-50, 2003
20 Gao, T., "Climatic analyses on increasing dust storm frequency in the springs of 2000 and 2001 in inner mongolia" 23 : 1743-1755, 2003
21 Li, F. R., "Changes in intensity of wind erosion at different stages of degradation development in grasslands of Inner Mongolia, China" 62 : 567-585, 2005
22 Liu, X., "Analysis of the spring dust storm frequency of northern China in relation to antecedent and concurrent wind, precipitation, vegetation, and soil moisture conditions" 109 (109): 2004
23 Natsagadorj, L., "Analysis of dust storms observed in Mongolia" 38 (38): 209-223, 2002
24 Dai, A., "A global dataset of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for 1870-2002: Relationship with soil moisture and effects of surface warming" 5 : 1117-1130, 2004
한국ㆍ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적도 저주파 진동과 관련된 한반도 여름철 강수의 변동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3 | 1.701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