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란 기본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관계와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신념이나 가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가치를 제도로 구현함으로써 나타나기 때문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3515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란 기본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관계와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신념이나 가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가치를 제도로 구현함으로써 나타나기 때문에 ...
문화란 기본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관계와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신념이나 가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가치를 제도로 구현함으로써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한 생활양식(way of life)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한 나라의 문화는 반드시 동질적인 것이 아니고 이질적인 하위문화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한 국가 내에서도 여러 가지 문화가 혼재될 수 있다(박병현, 2005: 280). 그로 인해 문화의 세계는 가치와 의미가 생산되고, 또한 개인들 간의 사회적 분배를 둘러싸고 사회 구성원들의 갈등과 대립이 형성되는 곳이다. 그래서 문화의 속성은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들의 복잡성이 반영된 체계로 규정될 수 있다.
문화가 이처럼 사회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함의하고 있는 개념이라면 다문화 또한 다양한 방식과 내용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관점에서 다문화는 한 사회에서 개인들이 인종, 성별, 종교, 문화 등 개별적 속성과 상관없이 인간으로서의 보편적 가치를 향유하며,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다문화에 대한 논의에서 주류문화와 하위문화 간의 관계에서 하위문화의 정체성이 어떻게 유지되어야 할 것인가, 또한 다양한 문화들 간에는 어떤 관계가 형성되어야 하는가는 주요 이슈가 된다. 그리고 문화들 간의 관계에 따라 다문화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게 구분된다. 본 연구의 제1단계에서는 이러한 다문화의 특성과 관련 이론들에 대해 정리해 보고, 더불어 우리 사회의 다문화실태에 대해 각 학문영역별로 현황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차년도: 다문화연구에 대한 사회과학적 패러다임 탐색(An Exploration of a social-scientific Paradigm on Muiti-culture Studies)
- 이론적 연구를 통해 다문화연구의 경향과 주 이론적 연구내용을 정리하고, 각 학문영역별 연구내용을 정리하고 기초자료들을 수집하여 다문화에 대한 사회과학적 패러다임의 지향성을 탐색.
제2차년도: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현상들에 대한 영역별 분석(An Field-Analysis of Multi-cultural Phenomena as Life-World)
- 다문화현상을 글로컬 생활세계로 규정하고, 이와 관련된 다문화 가치관 조사 및 각 생활영역별로 다문화실태를 구체적으로 조사.
제3차년도: 글로컬 생활세계로서의 다문화가치 창출을 위한 기반모색(An Exploration of Basis for Creation of a new multi-cultural Value as glocal Life-World)
- 제1차년도의 이론적 연구결과와 제2차년도의 현장조사결과를 종합하여 글로컬 생활세계로서의 새로운 다문화가치관을 창출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기반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