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영역간의 관심과 교류 부족으로 인해 제한받아왔던 연구주제인 인지적 중재의 작용기전과 재활과정에서의 적용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새로운 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4515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영역간의 관심과 교류 부족으로 인해 제한받아왔던 연구주제인 인지적 중재의 작용기전과 재활과정에서의 적용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새로운 접...
본 연구는 학문영역간의 관심과 교류 부족으로 인해 제한받아왔던 연구주제인 인지적 중재의 작용기전과 재활과정에서의 적용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되는 재활프로그램은 주로 신경발달치료,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과제지향적 접근법,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 제한-유도 치료 등과 같이 환측 사지를 목표로 한 신체적 중재절차를 이용한다. 하지만 신경장애로 인해 환측 사지의 활동이 제한받을 경우, 그러한 접근은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신체적 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 중재의 병행이 요구되며, 본 연구는 신체적 및 인지적 중재의 병행효과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재활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시킬 것이다.
시청각적 모델링을 통한 인지적 중재의 효과에 대한 본 연구의 해석은 인지적 중재의 작용기전과 적용효과에 대한 활발한 논쟁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한 논쟁은 이어서 손상된 뇌영역의 재조직화를 위한 시청각적 모델링의 적용, 시청각적 모델링을 관찰하는 동안 일어나는 신경생리학적 반응과 변화, 신체적 재활프로그램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인지적 중재의 적용, 목표부위별 시청각적 모델링의 구성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이다. 인지적 중재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는 궁극적으로 신경장애로 인해 손상된 운동능력의 재활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인지적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재활의 효율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