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반복적 구직실패가 입직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current Job Search Failures on the Expected Level of Job En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job seekers' job searching efforts and failure processes in order to analyze their expectation for employment. Then it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job seekers' adjusting the factors of job entry expectation after recurrent job search failures. For those purposes, among the six job search factors were decided as the factor of job search intensity. Total 18 items regarding the job entry expectation levels were analyzed. As a result, six factors of educational backgrounds, working conditions, corporate size, match to one's specialization, recruitment types, and wages were extracted. In spite of the recent structural changes to the labor demands, young job seekers have poorly adapted themselves to the changes to the labor market. They also stick to their preference for large companies despite the overall economic restructuring and changing recruitment practices. Therefore, they should provide job counseling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y of young job seekers, reflect their job search capability in offering job information, introducing a job, and providing on field experiences and job training programs, and expand the network of job information and job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hose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job seekers' job searching efforts and failure processes in order to analyze their expectation for employment. Then it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job seekers' adjusting the factors of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job seekers' job searching efforts and failure processes in order to analyze their expectation for employment. Then it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job seekers' adjusting the factors of job entry expectation after recurrent job search failures. For those purposes, among the six job search factors were decided as the factor of job search intensity. Total 18 items regarding the job entry expectation levels were analyzed. As a result, six factors of educational backgrounds, working conditions, corporate size, match to one's specialization, recruitment types, and wages were extracted. In spite of the recent structural changes to the labor demands, young job seekers have poorly adapted themselves to the changes to the labor market. They also stick to their preference for large companies despite the overall economic restructuring and changing recruitment practices. Therefore, they should provide job counseling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y of young job seekers, reflect their job search capability in offering job information, introducing a job, and providing on field experiences and job training programs, and expand the network of job information and job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hose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통계분석" 북두출 판사 2001

      2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3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4 "학력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3 (33): 1999

      5 "학력-직무 불일치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과 그 조정" 2001

      6 "취업준비생의 ,취업준비기간과 직장 기대수준과의 관계" 2004

      7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과정의 재취업과정" 노동연구원 2002

      8 "청년층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고용정보원 2002

      9 "청년층의 실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01

      10 "청년층 취업에 관한 연구" 2002

      1 "현대통계분석" 북두출 판사 2001

      2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3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4 "학력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3 (33): 1999

      5 "학력-직무 불일치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과 그 조정" 2001

      6 "취업준비생의 ,취업준비기간과 직장 기대수준과의 관계" 2004

      7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과정의 재취업과정" 노동연구원 2002

      8 "청년층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고용정보원 2002

      9 "청년층의 실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01

      10 "청년층 취업에 관한 연구" 2002

      11 "직업상담심리학" 박문 각 1999

      12 "직업교육개혁정책의 공과분 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13 "직무정보와 기대감이 직장선 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1993

      14 "지방대학 졸업생의 첫 일자리 이행기간과 특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5 "제18차 춘계학술대회 청년실업에 대비한 진로교육정책 학 술대회지" 한국진로교육학회 2004

      16 "우리나라 일궁합 실태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994

      17 "실직자의 정서적, 인지적, 신 체화 반응 및 대처행동" 1998

      18 "실직자의 심리적 상태와 구직 노력에 관한 연구" 1999

      19 "실직자의 구직활동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00

      20 "실직자의 구직행동에 관한 연구" 2001

      21 "실업자의 직업훈련 이수 후 취업경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2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가치 및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2001

      23 "반복실업과 실업의 장기화" 한국노동경제학회 23 (23): 2000

      24 "단기실업자의 반복적인 구직 실패가 진로시간전망에 미치는 영향" 2002

      25 "노동패널 기초분석 보고서(ⅳ)." 한국노동연구원 2002

      26 "구직탐색활동의 효율성 분석" 2001

      27 "교육과 일의 사회학" 학지사 1997

      28 "관리직. 전문직 경력자의 재 취업 결정요인 및 전직의도 분석" 2002

      29 "고학력 신규 실업문제와 대책에 관한 연구" 1999

      30 "고졸 청소년 실업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연구원 1999

      31 "‘The Economics of Work and Pay' New York" 1987

      32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49-74,

      33 "Overeducation in U" 1981c

      34 "Modern Labor Economics=노동경제학" 교보문고 1999

      35 "Career decision making in college students: Cross-cultural comparisons for Japan and Korea." 84 : 1143-1157, 1999

      36 "Career Counseling :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6th ed.)" Brooks/Cole 2001

      37 "A Test of Job search Theory' Journal of Labor Economics" ntary terminations 3 : 1985

      38 "21세기 노동정책" 노동연구원 2000

      39 "2003년 한국교육의 성과. 입법정보 119호" 대한민국 국회 (119) : 2003

      40 "'The Youth Labor Market in the Eighties determines of re-employment probabilities for young men and wome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 1989

      41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in Social edited by Marsden" gra (gra): 1982

      42 "'The Incidence and Wage Effects of Overeducation" 179-198 1981

      43 "'Mismatch between occupation and schooling" 35-257, 1984

      44 "'Labor Market Effects from Involuntary Job Losses in Layoffs The Role of Human Capital in Facilitating reemployment and Reduced Wage Losses' The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48 : 1989

      45 "'Information in the Labor Marke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962

      46 "'Inequality, unemployment and contemporary Europe'," International Labor Review (summer) :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