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남대로의 가로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mproving the road scenery of Gangnam-daero -Focused on the Pedestrian Level of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1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행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보행지장물의 개선에 따라 보행서비스수준의 개선 가능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루 평균 20만명 이상의 유동인구가 분포하는 강남대로 약 139m 구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했다. 현장조사, 기존 자료조사, 보행 서비스수준(PLOS)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해서, 강남대로의 보행서비스수준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보행지장물을 개선함으로써 보행서비스수준 개선 가능성을 고찰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강남대로 약 139m구간의 보행교통류율은 83.33으로 보행자가 보행속도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없고, 다른 보행자를 추월, 역행, 통과하기 어렵다.

      둘째, 강남대로의 상황에 맞게 적정 보도 폭을 산정하면 적정 보도 폭은 12.5m로 현 강남대로의 보도 폭이 5m인 것을 감안할 때 강남대로의 보도 폭이 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강남대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보행지장물을 개선하고 개선 후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개선을 예측하여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산정하였다.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산정한 결과, 결과 값은 62.52 이하로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20.81 이상 개선 가능하였으며 보행지장물의 수종 대체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였고, 강남대로의 보행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행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보행지장물의 개선에 따라 보행서비스수준의 개선 가능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루 평균 20만명 이상의 유동인구가 ...

      본 연구는 보행자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보행지장물의 개선에 따라 보행서비스수준의 개선 가능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루 평균 20만명 이상의 유동인구가 분포하는 강남대로 약 139m 구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했다. 현장조사, 기존 자료조사, 보행 서비스수준(PLOS)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해서, 강남대로의 보행서비스수준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보행지장물을 개선함으로써 보행서비스수준 개선 가능성을 고찰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강남대로 약 139m구간의 보행교통류율은 83.33으로 보행자가 보행속도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없고, 다른 보행자를 추월, 역행, 통과하기 어렵다.

      둘째, 강남대로의 상황에 맞게 적정 보도 폭을 산정하면 적정 보도 폭은 12.5m로 현 강남대로의 보도 폭이 5m인 것을 감안할 때 강남대로의 보도 폭이 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강남대로의 통행을 방해하는 보행지장물을 개선하고 개선 후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개선을 예측하여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산정하였다.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산정한 결과, 결과 값은 62.52 이하로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20.81 이상 개선 가능하였으며 보행지장물의 수종 대체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였고, 강남대로의 보행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행 보도 설치 및 관리지침"

      2 이승주, "우측주행 및 좌/우측보행 시뮬레이션 상황에서의뇌파 변화 분석" 2009

      3 황세현, "보행자시점에 따른 가로경관평가에 관한연구" 2004

      4 "보행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보도설치기준연구" 2005

      5 오성훈, "보행도시" AURI 2011

      6 신동윤, "도시가로의 시설물과 건축물의 계확방향에관한 연구" 2009

      7 송호진, "도시가로시설물의 정비와 발전방향에 관한연구 : 대전광역시 중앙로를 중심으로" 2007

      8 "도로용량편람" 2013

      9 김희주, "녹시율 개념을 이용한 도시가로경관의시각적 질 측정에 관한 연구" 2005

      10 강주희,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가로공간 평가에 관한 연구 : U-street를 사례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3-11, 2009

      1 "현행 보도 설치 및 관리지침"

      2 이승주, "우측주행 및 좌/우측보행 시뮬레이션 상황에서의뇌파 변화 분석" 2009

      3 황세현, "보행자시점에 따른 가로경관평가에 관한연구" 2004

      4 "보행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보도설치기준연구" 2005

      5 오성훈, "보행도시" AURI 2011

      6 신동윤, "도시가로의 시설물과 건축물의 계확방향에관한 연구" 2009

      7 송호진, "도시가로시설물의 정비와 발전방향에 관한연구 : 대전광역시 중앙로를 중심으로" 2007

      8 "도로용량편람" 2013

      9 김희주, "녹시율 개념을 이용한 도시가로경관의시각적 질 측정에 관한 연구" 2005

      10 강주희,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가로공간 평가에 관한 연구 : U-street를 사례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3-11, 2009

      11 김동찬, "가로식재 유형이 보행경관평가에미치는 영향 분석" 2006

      12 Whyte, W.,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s" Conservation Foundation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8-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
      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1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KCI등재후보
      2010-11-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