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 tripartite large compromise” in 2015 is rated as preferable that clear standards shall be legislated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 and confusion of industrial relations over the normal wage. Otherwise, there are several large problems wi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7462
2015
Korean
통상임금 ; 연장근로 ; 정기상여금 ; 임금 ; 근로기준법 ; normal wage ; overtime work ; regular bonus ; wage ; the Labor Standard Act
KCI등재
학술저널
1-28(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915 tripartite large compromise” in 2015 is rated as preferable that clear standards shall be legislated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 and confusion of industrial relations over the normal wage. Otherwise, there are several large problems wit...
“915 tripartite large compromise” in 2015 is rated as preferable that clear standards shall be legislated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 and confusion of industrial relations over the normal wage.
Otherwise, there are several large problems with the compromise. According to the compromise, based on the Supreme Court the grand bench decision in 2015, excluded money would be enacted such a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the normal wage and nature of the money. But, all despite contents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the interpretation of the normal wages is still hard. And the compromise will make the enforcement ordinance have powers to enact the particular types of the excluded money. The enforcement ordinance may enlarge the scopes of the excluded money. As a result, new defining provision of the normal wage would not be much help to regulate overtime work, and to labor parties it could be a means to continue long-time work practices.
The ruling party has initiated the amendment of the Labor Standard Act, to have problems like it as it is. So, I try to present the desirable amendment in this paper.
1) Normal wage should be defined as all of the money that were decided to be paid for a given work. 2) If the money is paid in regular and uniform manner, it should be defined a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wage in principle. Otherwise the money that are exceptionally excluded, should be illustrated and limited by the Act. 3) Not to abuse excluded money, so it is an obstacle to improve long-time work practices, the enforcement ordinance should be defined by re-clearly limit the scope which could be exclu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영, "통상임금의 입법적 과제" 한국노동법학회 (48) : 1-29, 2013
2 정현주, "통상임금의 시간급 환산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3 김홍영, "통상임금에 포함시키지 않는 재직자 조건, 일정 근무일수 조건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7) : 31-82, 2014
4 이철수, "통상임금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과 쟁점 - 고정성의 딜레마 -" 법학연구소 54 (54): 877-907, 2013
5 박지순, "통상임금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쟁점과 정책과제"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ㆍ국민경제자문회의ㆍ한국노동연구원 107-132, 2014
6 김홍영, "통상임금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 189-213, 2014
7 김홍영, "통상임금 판결의 의의 및 법ㆍ제도 개선방안"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ㆍ국민경제자문회의ㆍ한국노동연구원 23 : 133-150, 2014
8 김홍영, "통상임금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 한국노동연구원 20-34, 2014
9 도재형, "통상임금 전원합의체 판결의 검토"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6) : 179-206, 2014
10 박은정, "통상임금 산정을 위한 기준시간" 한국노동연구원 13 (13): 133-158, 2013
1 김홍영, "통상임금의 입법적 과제" 한국노동법학회 (48) : 1-29, 2013
2 정현주, "통상임금의 시간급 환산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3 김홍영, "통상임금에 포함시키지 않는 재직자 조건, 일정 근무일수 조건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7) : 31-82, 2014
4 이철수, "통상임금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과 쟁점 - 고정성의 딜레마 -" 법학연구소 54 (54): 877-907, 2013
5 박지순, "통상임금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쟁점과 정책과제"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ㆍ국민경제자문회의ㆍ한국노동연구원 107-132, 2014
6 김홍영, "통상임금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 189-213, 2014
7 김홍영, "통상임금 판결의 의의 및 법ㆍ제도 개선방안"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ㆍ국민경제자문회의ㆍ한국노동연구원 23 : 133-150, 2014
8 김홍영, "통상임금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 한국노동연구원 20-34, 2014
9 도재형, "통상임금 전원합의체 판결의 검토"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6) : 179-206, 2014
10 박은정, "통상임금 산정을 위한 기준시간" 한국노동연구원 13 (13): 133-158, 2013
11 "통상임금 노사지도 지침"
12 이철수, "통상임금 관련 2013년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평가" 한국노동법학회 (49) : 1-31, 2014
13 김성진, "통상성으로 본 대법원의 통상임금법리" 한국노동법학회 (49) : 33-57, 2014
14 김기선, "재직 중인 자에게만 지급되는 임금도 통상임금이다" 한국노동연구원 79-82, 2014
15 김홍영, "육아휴직급여와 통상임금" 한국노동연구원 77-79, 2014
16 고용노동부, "노사정 대타협 주요내용과 향후 추진 계획" 2015
17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한 노사정합의문 –사회적 대타협-"
18 "915노사정 대타협과 법적 쟁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실ㆍ한국노동법학회ㆍ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ㆍ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5
19 유정엽, "5대 입법, 말뿐인 ‘노동개혁’ 되지 않으려면?" 중앙경제사 36-39,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9 | 0.82 | 1.527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