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상 진행률, 보상프로그램 크기, 포인트 적립크기 정보가 소비자의 보상물 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s of Reward Progress Rates, Program Magnitudes, and Step Sizes of Reward Programs on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Rew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68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논문은 미국의 개별소비자 자료를 이용하여 제품안전 규제가 소비자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소비자들이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있는 제품들을 - 이를테면 자동차 - 소비...

      본 연구논문은 미국의 개별소비자 자료를 이용하여 제품안전 규제가 소비자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소비자들이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있는 제품들을 - 이를테면 자동차 - 소비하는 경우, 부상이나 물적 피해를 겪을 수 있다. 이렇게 예상하지 못한 부상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규제당국은 흔히 안전벨트법과 같은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과거의 일부 연구 사례 등에 따르면, 안전규제는 소비자들을 잘 보호하지 못한다고 결론을 맺어 왔다. 예를 들어 상쇄행동이론에 따르면, 안전벨트 법에 의하여 소비자들 (운전자들)이 운전 중에 안전벨트를 매게 되면 소비자 자신들은 이전보다 더 안전해 진다고 믿게 된다. 이러한 믿음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제품을 소비하는 데에 (운전하는 데에) 있어서 덜 조심하게 되고, 이는 오히려 보행자가 포함된 사고들을 더 많이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안전벨트 규제는 효과적이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안전규제가 더 강화되면 소비자들은 제품을 더욱 더 조심해서 사용하게 된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소비자들이 운전할 때 보이는 주의행위는 보행자 관련사고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음도 동시에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더 강화된 안전규제가 시행된다고 해서 반드시 소비자들이 상쇄행동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는 상쇄효과이론의 결론과는 배치된다. 본 연구 결과의 의하면, 안전규제가 완화될 경우, 소비자들은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 본 논문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 과거의 안전벨트 법과 같이 현재 소비자들의 선택사항인 에어백이라든지, 다른 안전장치들은 향후 선택사항에서 의무사항으로 가야 한다. 이는 소비자들이 운전 시 상쇄행동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yalty programs offer utilitarian or hedonic rewards via mediums of different magnitudes. Namely, in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s, both reward distances (i.e., points required to redeem rewards) and step sizes (i.e., points earned ...

      Loyalty programs offer utilitarian or hedonic rewards via mediums of different magnitudes. Namely, in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s, both reward distances (i.e., points required to redeem rewards) and step sizes (i.e., points earned per dollar) are larger. In particular, the upfront price reduction (i.e., pre-discount) can be repaid through the “Save Point” program, which means that the more the consumer uses his or her card and accumulates points, the quicker they will be reimbursed. In the current research, we first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high vs. low) on consumer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ambiguous step sizes when consumers have earned 100% of the points needed to redeem rewards. Moreover, focusing on the Save Point users, we examine whether the interactive effects of program magnitud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ambiguous step sizes on consumer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differ according to the reward progress rates (i.e., reward distance; near the reward vs. far from the reward). Specifically, we make the following predictions. First, when consumers have earned 100% of the points needed to redeem rewards, we predict that the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 will lead to the increased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rewards in the ab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1-1), whereas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high vs. low) on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not be found in the pre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1-2). Next, when consumers are close to their rewards (i.e., in the rewardnear condition), we predict that the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 will lead to the increased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rewards in the ab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1), whereas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on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not be found in the pre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2). Finally, when consumers are still far from their rewards (i.e., in the reward-far condition), we predict that the higher-magnitude (vs. lower-magnitude) program will yield the decreased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rewards in the ab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3), whereas the effect of program magnitude on choice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rewards will not be found in the presence of step sizes (hypothesis 2-4). In this research,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and confirm these predictions.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세훈, "쾌락적 제품과 실용적 제품의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죄책감 효과" 한국마케팅학회 20 (20): 21-44, 2005

      2 김경식, "소비자의 보상물 선택결정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노력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20, 2007

      3 박세훈, "보상물의 속성정보 제시와 평가방식이 보상물의 선호 역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97-215, 2007

      4 이석규, "보상물 형태와 제공시기의 상호 작용성이 보상물 선호도에 미치는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0 (20): 85-102, 2005

      5 박세훈, "고객 보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매개수단이 보상물의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포인트와 상품권의 비교"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59-177, 2007

      6 Monga, A., "Years, Months, and Days versus 1, 12, and 365: The Influence of Units versus Numbers" 39 (39): 185-198, 2012

      7 Prelec, D., "The Red and the Black : Mental Accounting of Saving and Debt" 17 (17): 4-28, 1998

      8 Pelham, B. W., "The Easy Path fromMany to Much : The Numerosity Heuristic" 26 : 103-133, 1994

      9 Burson, K. A., "Six of One, Half Dozen of the Other : Expanding and Contracting Numerical Decisions Produces Preference Reversals" 20 (20): 1074-1078, 2009

      10 Shafir, E., "Reason-Based Choice" 49 : 11-36, 1993

      1 박세훈, "쾌락적 제품과 실용적 제품의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죄책감 효과" 한국마케팅학회 20 (20): 21-44, 2005

      2 김경식, "소비자의 보상물 선택결정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노력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20, 2007

      3 박세훈, "보상물의 속성정보 제시와 평가방식이 보상물의 선호 역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97-215, 2007

      4 이석규, "보상물 형태와 제공시기의 상호 작용성이 보상물 선호도에 미치는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0 (20): 85-102, 2005

      5 박세훈, "고객 보상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매개수단이 보상물의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포인트와 상품권의 비교" 한국마케팅학회 22 (22): 159-177, 2007

      6 Monga, A., "Years, Months, and Days versus 1, 12, and 365: The Influence of Units versus Numbers" 39 (39): 185-198, 2012

      7 Prelec, D., "The Red and the Black : Mental Accounting of Saving and Debt" 17 (17): 4-28, 1998

      8 Pelham, B. W., "The Easy Path fromMany to Much : The Numerosity Heuristic" 26 : 103-133, 1994

      9 Burson, K. A., "Six of One, Half Dozen of the Other : Expanding and Contracting Numerical Decisions Produces Preference Reversals" 20 (20): 1074-1078, 2009

      10 Shafir, E., "Reason-Based Choice" 49 : 11-36, 1993

      11 Weber, M.,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2nd ed" Roxbury 1998

      12 Wertenbroch, K., "On the Perceived Value of Money: The Reference Dependence of Currency Numerosity Effects" 34 (34): 1-10, 2007

      13 Bazerman, M. H., "Negotiating with Yourself and Losing : Understanding and Managing Conflicting Internal Preferences" 23 (23): 225-241, 1998

      14 Thaler, R. H., "Mental Accounting and Consumer Choice" 4 (4): 199-214, 1985

      15 Hsee, C. K., "Medium Maximization" 30 (30): 1-14, 2003

      16 Okada, E. M., "Justification Effects on Consumer Choice of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42 (42): 43-53, 2005

      17 Bagchi, R., "Illusionary Progress in Loyalty Programs: Magnitudes, Reward Distances, and Step-Size Ambiguity" 37 (37): 888-901, 2011

      18 Pandelaere, M., "How to Make a 29% Increase Look Bigger: The Unit Effect in Option Comparisons" 38 (38): 308-322, 2011

      19 Hsee, C. K., "Elastic Justification : How Tempting but Task-Irrelevant Factors Influence Decisions" 62 (62): 330-337, 1995

      20 Kivetz, R., "Earning the Right to Indulge: Effort as a Determinant of Consumer Preferences Toward Frequency Program Rewards" 39 (39): 155-170, 2002

      21 Strahilevitz, M.,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24 (24): 434-446, 1998

      22 O'Brien, L., "Do Reward Really Create Loyalty?" 73 (73): 75-82, 1995

      23 Dowling, G. R., "Do Customer Loyalty Programs ReallyWork?" 38 (38): 71-82, 1997

      24 Dhar, R.,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37 (37): 60-71, 2000

      25 Simonson, I., "Choice Based on Reasons:The Case of Attraction and Compromise Effects" 16 (16): 158-174,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8 2.35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