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법방해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8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법무부는 사법 협조자 형벌감면제도, 주요 참고인 강제 소환제도, 사법방해죄, 피해자 참가제도와 같은 선진 형사제도의 도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특히 참고인의 허위진술로 인한 수사의 혼란을 방지하고 실체적 진실을 객관적으로 담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사법방해죄 유형의 신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법무부의 관심만큼 사법방해죄 도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따라서 사법방해죄와 같은 제도 도입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여 입법화 여부에 관한 가부를 결정하여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에 기초하여 사법방해죄 도입 필요성에 대한 기존의 찬반론과 사법방해죄의 도입을 함께 외국의 주요 입법례를 검토하고 사법방해죄의 도입을 중심으로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법무부는 사법 협조자 형벌감면제도, 주요 참고인 강제 소환제도, 사법방해죄, 피해자 참가제도와 같은 선진 형사제도의 도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특히 참고인의 허위진술로 인한...

      최근 법무부는 사법 협조자 형벌감면제도, 주요 참고인 강제 소환제도, 사법방해죄, 피해자 참가제도와 같은 선진 형사제도의 도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특히 참고인의 허위진술로 인한 수사의 혼란을 방지하고 실체적 진실을 객관적으로 담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사법방해죄 유형의 신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법무부의 관심만큼 사법방해죄 도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따라서 사법방해죄와 같은 제도 도입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여 입법화 여부에 관한 가부를 결정하여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에 기초하여 사법방해죄 도입 필요성에 대한 기존의 찬반론과 사법방해죄의 도입을 함께 외국의 주요 입법례를 검토하고 사법방해죄의 도입을 중심으로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inistry of Justice expressed strongly its willingness to adopt the Criminal Justice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The Ministry’s target is to organize newly the ‘False Statement of Suspect and Witness’ and ‘Obstruction of Justice’.
      Under circumstances mentioned above, some issues to consider are as below:
      ⒜ Background of Adopti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 Types of Obstruction of Justice
      ⒞ Comparative Studies 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 Pros and Cons of adopti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 Suggestions the Categories and Boundaries of Legislation
      As mentioned above, it needs to adopt the Obstruction of Justice because of Principle of Substantial Truth, Protection of Crime Victims, Authority Preservation of Criminal Justice, Citizens’ duties and necessities of Criminal Justice.
      It is needed to establish new Statutes to punish ‘False Statement of Suspect and Witness’, ‘Threat and Conciliation of the Victim and Witness’.
      번역하기

      Recently, Ministry of Justice expressed strongly its willingness to adopt the Criminal Justice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The Ministry’s target is to organize newly the ‘False Statement of Suspect and Witness’ and ‘Obstruction of Justice...

      Recently, Ministry of Justice expressed strongly its willingness to adopt the Criminal Justice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The Ministry’s target is to organize newly the ‘False Statement of Suspect and Witness’ and ‘Obstruction of Justice’.
      Under circumstances mentioned above, some issues to consider are as below:
      ⒜ Background of Adopti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 Types of Obstruction of Justice
      ⒞ Comparative Studies 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 Pros and Cons of adopti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 Suggestions the Categories and Boundaries of Legislation
      As mentioned above, it needs to adopt the Obstruction of Justice because of Principle of Substantial Truth, Protection of Crime Victims, Authority Preservation of Criminal Justice, Citizens’ duties and necessities of Criminal Justice.
      It is needed to establish new Statutes to punish ‘False Statement of Suspect and Witness’, ‘Threat and Conciliation of the Victim and Wit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사법방해 행위의 유형
      • Ⅲ. 주요국가의 사법방해죄 유형
      • Ⅳ. 찬반론의 검토
      • Ⅴ. 결론
      • Ⅰ. 머리말
      • Ⅱ. 사법방해 행위의 유형
      • Ⅲ. 주요국가의 사법방해죄 유형
      • Ⅳ. 찬반론의 검토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 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천형, "형법각칙 개정연구"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2007

      2 조동석, "허위진술죄의 도입방안" 2001

      3 安晟秀, "피의자나 참고인 등의 허위진술, 증거조작 등 사법정의실현을 저해하는 죄" 한국법학원 (88) : 211-232, 2005

      4 윤종행, "증거인멸죄에서의 주요 쟁점" 18 (18): 2002

      5 조민우, "중요 참고인 출석의무제와 사법방해죄 도입 필요성에 대한 고찰" 경남대학교 출판부 25 : 2010

      6 김영철, "수사절차에서의 개선입법론" 한국형사법학회 (22) : 222-266, 2004

      7 김석우, "사법정의 방해죄에 대한 고찰, 형사법의 신동향" 법무부 2009

      8 황만성, "사법방해행위의 형사법적 규제방안 -참고인의 허위진술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5 (25): 251-272, 2009

      9 도중진, "사법방해죄의 입법화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175-199, 2008

      10 전지연, "법왜곡죄의 도입을 위한 시론" 한국형사법학회 (20) : 191-218, 2003

      1 이천형, "형법각칙 개정연구"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2007

      2 조동석, "허위진술죄의 도입방안" 2001

      3 安晟秀, "피의자나 참고인 등의 허위진술, 증거조작 등 사법정의실현을 저해하는 죄" 한국법학원 (88) : 211-232, 2005

      4 윤종행, "증거인멸죄에서의 주요 쟁점" 18 (18): 2002

      5 조민우, "중요 참고인 출석의무제와 사법방해죄 도입 필요성에 대한 고찰" 경남대학교 출판부 25 : 2010

      6 김영철, "수사절차에서의 개선입법론" 한국형사법학회 (22) : 222-266, 2004

      7 김석우, "사법정의 방해죄에 대한 고찰, 형사법의 신동향" 법무부 2009

      8 황만성, "사법방해행위의 형사법적 규제방안 -참고인의 허위진술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5 (25): 251-272, 2009

      9 도중진, "사법방해죄의 입법화방안"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175-199, 2008

      10 전지연, "법왜곡죄의 도입을 위한 시론" 한국형사법학회 (20) : 191-218, 2003

      11 이덕연, "법관의 법왜곡문제" 법과 사회이론학회 12 : 1995

      12 이현철, "미국의 사법방해행위 규제제도연구" 검찰미래개혁단 2007

      13 이현철, "미국의 사법 방해행위 규제제도 - 미국의 사법 방해죄와 허위진술죄를 중심으로-, 법무부 2005년도 단기개인훈련 보고서" 2005

      14 박미숙, "미국의 사법 방해죄에 관한 연구" 한국 형사정책 연구원 1999

      15 최병철, "미국에 있어서 수사기관에 대한 허위진술의 법적 규제" 한국형사정책학회 15 (15): 4-334, 2003

      16 김종구, "미국 연방법상 사법방해죄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34 (34): 319-344, 2009

      17 西原春夫, "犯罪各論 第二版" 成文堂 1983

      18 박승환, "司法妨害罪 導入論 - 搜査節次에서의 虛僞陳述을 중심으로 -" 법조협회 58 (58): 110-148, 2009

      19 J. kelly Strader, "Understanding White Collar Crime" LexisNexis 2002

      20 "Black`s Law Dictionary, 8th ed"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8-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sarch Institute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9 0.81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