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시와 기타 예술의 교차성에 대해 연구한 사람이 별로 많지 않다. 전통적인 연구는 시(詩)와 악(樂)의 관계에 치중했고 현대에 이르러 시와 서예 혹은 무용 사이의 교환관계에 다소 주의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22765
왕송매 (台灣 國立高雄師範大學國文學系)
2010
-
율시 ; 고대건축 ; 구조 ; 미학 ; Eight-line-poems ; traditional architecture ; structure ; esthetics ; Eight-line-poems ; traditional architecture ; structure ; esthetics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7-252(4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율시와 기타 예술의 교차성에 대해 연구한 사람이 별로 많지 않다. 전통적인 연구는 시(詩)와 악(樂)의 관계에 치중했고 현대에 이르러 시와 서예 혹은 무용 사이의 교환관계에 다소 주의를 ...
율시와 기타 예술의 교차성에 대해 연구한 사람이 별로 많지 않다. 전통적인 연구는 시(詩)와 악(樂)의 관계에 치중했고 현대에 이르러 시와 서예 혹은 무용 사이의 교환관계에 다소 주의를 돌리기도 했다. 본문은 이 밖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언급하려 하는데 그가 바로 율시와 고대건축의 미학관계이다. 중국의 율시는 민족적 특색을 가장 잘 갖춘 시가(詩歌) 체재(體裁)로서, 주요 특색은 고도의 구조성에 있다. 이런 구조성은 고대건축과 방법은 다르지만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시대적으로 보면 율시는 장안성(지금의 西安)과 같은 시대에 출현했고 수당 교체시기 형식주의와 인문주의의 완미한 결합으로, 역사문화의 찬란한 전형으로 되었다. 그러므로 이 양자 관계를 소홀히 할 수 없다. 본문은 “구조”를 교차점으로 율시와 고대 건축의 미학적 특징을 귀납하였고 “평면”과 “입면” 두 가지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평면부분에는 “정평취정 定平取正”의 구조와 격식을 포함시켰고, 종적 방향은 “중축선” 그리고 중축선을 따라 전개된 대칭성 등등으로 나누었다. 입면부분에는 “하부는 안정을 취하려 하고 상부는 변화를 요구하는” 음양미학, 횡적 연결(두공과 黏對)의 대응관계 및 그의 귀족성, 증생성 등등을 포함시켰다. 형식특징의 대조 그리고 문화 내용에 대한 탐구를 통해 서로 무관한 듯한 두 개 영역이 서로 보충하고 증명해 줄 수 있었다. 특히 고대미학 원리가 밝혀지면서 일부 고립되어 있고 난해하였던 시율학 문제들을 파악, 해결할 수 있었다. 이는 본문의 최종 연구 목적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劉熙撰, "釋名釋宮室 冊1151 卷5" 中華書局 88-, 1985
2 蔣勳, "身體美學" 遠流 235-238, 2008
3 漢寶德, "談美感" 聯經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177-, 2007
4 沈德潛, "說詩睟語" 台灣中華書局 7-, 1970
5 朱光潛, "詩論抗戰版序" 漢京文化事業公司 1982
6 楊載, "詩法家數" 藝文印書館 470-, 1974
7 梁思成, "薊縣觀音寺白塔記梁思成文集一" 明文書局 101-, 1984
8 "薊縣獨樂寺觀音閣山門考梁思成文集一" 明文書局 47-, 1984
9 宋李誡, "營造法式註釋" 明文書局 198-, 1984
10 王力, "漢語詩律學序" 上海教育出版社 1-, 2005
1 劉熙撰, "釋名釋宮室 冊1151 卷5" 中華書局 88-, 1985
2 蔣勳, "身體美學" 遠流 235-238, 2008
3 漢寶德, "談美感" 聯經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177-, 2007
4 沈德潛, "說詩睟語" 台灣中華書局 7-, 1970
5 朱光潛, "詩論抗戰版序" 漢京文化事業公司 1982
6 楊載, "詩法家數" 藝文印書館 470-, 1974
7 梁思成, "薊縣觀音寺白塔記梁思成文集一" 明文書局 101-, 1984
8 "薊縣獨樂寺觀音閣山門考梁思成文集一" 明文書局 47-, 1984
9 宋李誡, "營造法式註釋" 明文書局 198-, 1984
10 王力, "漢語詩律學序" 上海教育出版社 1-, 2005
11 見吳潔敏, "漢語節律學" 語文出版社 44-45, 2000
12 漢寶德, "漢寶德談美" 連經出版事業有限公司 121-128, 2009
13 清楊倫, "杜詩鏡銓 卷8" 華正書局 364-, 2000
14 漢寶德, "斗栱的起源與發展" 明文書局 32-, 1988
15 弘法大師撰, "文鏡秘府論校註 文筆十病得失" 中國社會科學出版社 463-, 1983
16 郭紹虞, "文鏡秘府論前言" 古籍出版社 492-, 1986
17 朱光潛, "文藝心理學" 台灣開明書店 47-48, 1958
18 "文心雕龍" 開明書店 33-, 1978
19 梁思成, "敦煌壁畫中所見的古代建築梁思成文集一" 明文書局 2-7, 1984
20 南宋, "戴復古詩集" 浙江古籍出版社 231-, 1992
21 李東陽, "懷麓堂詩話" 藝文印書館 1647-, 1974
22 王士禎, "律詩定體" 藝文印書館 145-, 1977
23 明胡應麟, "引何景明語 冊1"
24 李乾朗, "建築" 幼獅文化事業公司 37-, 1986
25 張廷華, "學詩初步" 台灣中華書局 11-12, 1971
26 明胡應麟, "大概中唐以後, 稍厭精華, 漸趨淡淨, 故五七言律清空流暢, 時有可觀" 廣文書局 247-, 1973
27 見計成, "園冶注釋" 明文書局 102-, 1983
28 李乾朗, "古蹟入門" 遠流出版事業股份有限公司 37-, 1999
29 李乾朗, "古蹟入門"
30 王夢鷗, "初唐詩學著述考" 台灣商務印書館 17-18,
31 詳見漢寶德, "中國的建築與文化" 聯經出版股份有限公司 80-, 2004
32 梁思成, "中國建築藝術圖集" 百花文藝出版社 252-, 1999
33 "中國建築史"
34 日伊東忠太, "中國建築史" 台灣商務印書館 3-, 1994
35 劉奇俊, "中國古建築" 藝術家出版社 56-, 1987
36 劉奇俊, "中國古建築" 藝術家出版社 98-, 1987
37 李允鉌, "中國古典建築設計原理分析" 天津大學出版社 391-, 2005
38 劉敦楨, "中國古代建築史" 明文書局 9-,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