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랫드의 스트레스성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항궤양작용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6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48마리를 사용하였며, 대조군(CO)과 3개의 투여군(E-1, E-2, E-3)으로 나누어 1996년 7월 29일부 1996년 8월 25일까지 4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Opuntia dillenii Saw.(선인장)는 1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각각 30 mg/kg BW(E-1) 및 120 Mg/kg BW(E-3)의 농도를 투여하였다. 결과느 s다음과 같다. 1. 체육은 전 군에 걸쳐서 고르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실험시작 후 13일째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4. Alcian bule staining을 통한 위점액량 산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 농도에서 점액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군 E-1군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실험군 E-2의 경우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p<0.01). 이로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위의 점액생성을 촉진시키거나 위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서 위궤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5. shear rate 11.25, 45.0, 90.0 및 225.0 sec^(-1)에서 전혈점도 및 혈장점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shear rate에서 C군>E-3군>E-1군>E-2군의 경향성을 보였다. E-1(3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45.0 sec^(-1)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E-3(12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sec^(-1)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p<0.01), shear rate 45.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동일한 shear rate에서의 혈장점도는, E-1(3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shear rate 90.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혈장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3(12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 shear rate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스트레스하에서 발생하는 위의 미세혈관 협류흐름장애를 개선시켜 위게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6. 전 실험군의 위를 조사한 결과 출혈을 동바한 궤양이 형성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궤양의 면적과 깊이가 다소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위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궤양이 매우 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E-2군의 경우 궤양이 경미한 정도였다. 8. 위궤양의 지표로 사용한 pH, 위점액량, 전혈점도, 혈장점도, 조직병리학적소견 등을 종합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항궤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양의 2배를 투여한 E-2(60 mg/kg BW)군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48마리를 사용하였며, 대조군(CO)과 3개...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위궤양에 대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48마리를 사용하였며, 대조군(CO)과 3개의 투여군(E-1, E-2, E-3)으로 나누어 1996년 7월 29일부 1996년 8월 25일까지 4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Opuntia dillenii Saw.(선인장)는 1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각각 30 mg/kg BW(E-1) 및 120 Mg/kg BW(E-3)의 농도를 투여하였다. 결과느 s다음과 같다. 1. 체육은 전 군에 걸쳐서 고르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실험시작 후 13일째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4. Alcian bule staining을 통한 위점액량 산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 농도에서 점액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군 E-1군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실험군 E-2의 경우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p<0.01). 이로서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위의 점액생성을 촉진시키거나 위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서 위궤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5. shear rate 11.25, 45.0, 90.0 및 225.0 sec^(-1)에서 전혈점도 및 혈장점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shear rate에서 C군>E-3군>E-1군>E-2군의 경향성을 보였다. E-1(3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45.0 sec^(-1)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E-3(120 mg/kg BW)군의 전혈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shear rate 11.25 sec^(-1)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p<0.01), shear rate 45.0, 225.0 sec^(-1)에서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동일한 shear rate에서의 혈장점도는, E-1(3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shear rate 90.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2(60 mg/kg BW)군의 혈장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shear rate 90.0, 225.0 sec^(-1)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E-3(120 mg/kg BW)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 shear rate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가 스트레스하에서 발생하는 위의 미세혈관 협류흐름장애를 개선시켜 위게양 발생저하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6. 전 실험군의 위를 조사한 결과 출혈을 동바한 궤양이 형성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궤양의 면적과 깊이가 다소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위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궤양이 매우 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E-2군의 경우 궤양이 경미한 정도였다. 8. 위궤양의 지표로 사용한 pH, 위점액량, 전혈점도, 혈장점도, 조직병리학적소견 등을 종합한 결과, Opuntia dillenii Haw.(선인장)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항궤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양의 2배를 투여한 E-2(60 mg/kg BW)군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ulcer effect of Opuntia dillenii Haw. on the stomach ulcer induced by restraint and water-immersion stress in rats. For the experiment, 48 male Sprague-Dawley strain were use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a control (C) and 3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E-1, E-2, E-3). Each dose of Opuntia dillenii Haw. was 30 mg/kg bw (E-1), 60 mg/kg bw (E-2) and 120 mg/kg bw (E-3). The ratswere allocated to each group by 12 and observed for 4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stomach surface pH in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values of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e value of the control group. 2. The gastric wall mucus was increased in all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E-1 difference was higher (p<0.05) and in E-2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3. At shear rate 11.25, 45.0, 90.0, 225.0 sec^(-1), whole blood viscosity and plasma viscosity were measured. Most of the values of the valuses of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were low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shear rate 90.0, 225.0 sec^(-1), the values of whole blood viscosity in E-1 were significantly low (p<0.05) and at shear rate 11.25, 45.0 sec^(-1), more significant p<0.01). At shear rate 11.25, 45.0, 90.0, 225.0 sec^(-1), the values of plasma viscosity in E-2 we resignificantly low (p<0.01). 4. Less severs ulcers were obsered in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Opuntia dillenii Haw. results in protection of stomach ulcer by stimulating the secretion of gastric mucus and improving the gastric mucosal microcircul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ulcer effect of Opuntia dillenii Haw. on the stomach ulcer induced by restraint and water-immersion stress in rats. For the experiment, 48 male Sprague-Dawley strain were used. The experimental groups w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ulcer effect of Opuntia dillenii Haw. on the stomach ulcer induced by restraint and water-immersion stress in rats. For the experiment, 48 male Sprague-Dawley strain were use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a control (C) and 3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E-1, E-2, E-3). Each dose of Opuntia dillenii Haw. was 30 mg/kg bw (E-1), 60 mg/kg bw (E-2) and 120 mg/kg bw (E-3). The ratswere allocated to each group by 12 and observed for 4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stomach surface pH in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values of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e value of the control group. 2. The gastric wall mucus was increased in all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E-1 difference was higher (p<0.05) and in E-2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3. At shear rate 11.25, 45.0, 90.0, 225.0 sec^(-1), whole blood viscosity and plasma viscosity were measured. Most of the values of the valuses of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were low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shear rate 90.0, 225.0 sec^(-1), the values of whole blood viscosity in E-1 were significantly low (p<0.05) and at shear rate 11.25, 45.0 sec^(-1), more significant p<0.01). At shear rate 11.25, 45.0, 90.0, 225.0 sec^(-1), the values of plasma viscosity in E-2 we resignificantly low (p<0.01). 4. Less severs ulcers were obsered in Opuntia dillenii Haw.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Opuntia dillenii Haw. results in protection of stomach ulcer by stimulating the secretion of gastric mucus and improving the gastric mucosal microcircul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