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erdelikt’ is a continuing crime. Although The ‘Dauerdelikt’ is defined as a crime subsequent misconduct and illegal state match, ‘Dauerdelikt’ or ‘Zustandsdelikt’ is very hard or impossible to distinguish and is still ambiguous ca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uerdelikt’ is a continuing crime. Although The ‘Dauerdelikt’ is defined as a crime subsequent misconduct and illegal state match, ‘Dauerdelikt’ or ‘Zustandsdelikt’ is very hard or impossible to distinguish and is still ambiguous cas...
‘Dauerdelikt’ is a continuing crime. Although The ‘Dauerdelikt’ is defined as a crime subsequent misconduct and illegal state match, ‘Dauerdelikt’ or ‘Zustandsdelikt’ is very hard or impossible to distinguish and is still ambiguous case-by-case crimes. Since the existence criteria is necessary that at the time after completion of commission of crime, it must be observed whether omission of the act or acts exist. Starting from willful actors to choose from acts contrary to the norms of illegality, as long as the intentional act continues, crime will continue. And it is evaluated while the action continues willfully, illegal state not only continue, but also internal strengthening of illegality has been performed. ‘Dauerdelikt’, that is infringement after completion of commission of crime adds to the interests protected by law through inaction or omission of additional actors, gradually increasing from a base point, is a sin or a large extent has been enhanced illegality. In this study will be made a classification that authentic crime of omission, declaration of intention as juristic act, and willfully act that during continuing act unlawfulness is enhanced increasingly are ‘Dauerdelik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근, "형법총론 제3판" 박영사 94-, 2014
2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2001
3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4 김일수, "형법총론" 박영사 2004
5 정성근, "형법총론" 삼지원 2011
6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11
7 김성천, "형법총론" 소진 2014
8 허일태, "형법전 시행 반세기의 회고 - 형법상 행위개념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18) : 31-66, 2002
9 박중규, "형법적 ‘행위’에 대한 행위론상의 근본토대 - ‘통일적 행위론’과 ‘통일적 행위개념’의 구성을 위한 전제시론"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5 (5): 1999
10 김성돈, "형법상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성균관 대학교 비교법연구소 14 (14): 2002
1 오영근, "형법총론 제3판" 박영사 94-, 2014
2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2001
3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4 김일수, "형법총론" 박영사 2004
5 정성근, "형법총론" 삼지원 2011
6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11
7 김성천, "형법총론" 소진 2014
8 허일태, "형법전 시행 반세기의 회고 - 형법상 행위개념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18) : 31-66, 2002
9 박중규, "형법적 ‘행위’에 대한 행위론상의 근본토대 - ‘통일적 행위론’과 ‘통일적 행위개념’의 구성을 위한 전제시론"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5 (5): 1999
10 김성돈, "형법상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성균관 대학교 비교법연구소 14 (14): 2002
11 이석배, "형법상 이중적 의미를 가지는 작위· 부작위 구별과 형사책임의 귀속" 한국형사법학회 (25) : 55-84, 2006
12 하태영, "형법상 부작위범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 한국비교형사법학회 5 (5): 2003
13 이상돈,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4 임웅, "형법각론" 530-,
15 배종대, "형법각론" 610-,
16 박상기, "형법각론" 454-,
17 김일수, "형법각론" 544-,
18 김성천, "형법각론" 소진 2012
19 오영근, "형법각론" 박영사 2009
20 정영일, "형법각론" 박영사 2008
21 임광주, "현행형법이 의미하는 행위개념" 한국형사법학회 (14) : 92-, 2000
22 김성룡, "치료행위중단에 있어서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3 : 2005
23 이세화, "작위와 부작위의 단계적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19 (19): 23-42, 2007
24 양화식,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성균관대학교 비교법연구소 14 (14): 2002
25 한정환, "작위와 부작위, 진정 부진정 부작위범의 구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7 (7): 75-98, 2005
26 안춘수, "의사표시이론-의사주의, 표시주의 및 이른바 효력주의에 관하여" 2013
27 윤용석,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에 관한 재검토" 법학연구소 53 (53): 141-171, 2012
28 김성룡, "소지범의 실체법・소송법상 문제점" 한국형사법학회 (15) : 2001
29 박미숙, "부작위와 공범" 한국비교형사법학회 5 (5): 6-162, 2003
30 이은영, "법률행위론의 발전과 역사적 의의" 아세아문화사 11 : 1990
31 조영수, "범죄단체조직죄의 성격"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 : 234-, 1994
32 윤형렬, "민법총칙 제4판" 법영사 2013
33 이영준, "민법총칙" 박영사 2007
34 김상용, "민법총칙" 삼영사 2013
35 이은영, "민법총칙" 박영사 2009
36 임광주, "몇 가지 유형의 범죄에 대한 재정립" 법학연구소 25 (25): 71-85, 2008
37 송진경, "농지법상 농지전용죄와 범죄의 성격"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1 (11): 257-284, 2009
38 최재정, "계속범에 관하여" 사법연수원 1 : 2004
39 박찬주, "意思表示의 效力發生" 법조협회 57 (57): 5-62, 2008
40 Engelsing, "Strafrechtliche Abhandlungen" 212-, 1926
41 Schmidhäuser, "Strafrecht AT, 2" 1975
42 "OLG Zweibrucken"
허위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의 적용에서 전제사실의 미확정으로 인한 문제점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 | 1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9 | 1.04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