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 과학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 이효녕, "통합 교육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교육연구원 27 (27): 117-139, 2011
3 최영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전기와 자석 개념 및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한·일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4 곽영순,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2 (32): 422-434, 2011
5 양일호,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상호 작용·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7 (27): 509-520, 2006
6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문음사 1998
7 이정윤, "디자인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개념이해 과정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15
8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8 (8): 26-38, 1998
9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85-129, 1997
10 나상훈, "국·내외 초등학교 융합 과학 교육 프로그램 탐색 - 한국,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231-241, 2014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 과학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 이효녕, "통합 교육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교육연구원 27 (27): 117-139, 2011
3 최영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전기와 자석 개념 및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한·일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4 곽영순,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2 (32): 422-434, 2011
5 양일호,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상호 작용·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7 (27): 509-520, 2006
6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문음사 1998
7 이정윤, "디자인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개념이해 과정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15
8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8 (8): 26-38, 1998
9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85-129, 1997
10 나상훈, "국·내외 초등학교 융합 과학 교육 프로그램 탐색 - 한국,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231-241, 2014
11 조희형,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20-836, 2002
12 조희형, "구성주의 특성에 따른 과학교육" 2 (2): 91-120, 2002
13 이효녕,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63-78, 2014
14 이효녕, "과학 교과와 연계된 통합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295-319, 2014
15 Apedoe, X. S., "Strategies for success: uncovering what makes students successful in design and learning" 2012
16 최유현,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143-164, 2008
17 Mehalik, M. M., "Middle-school science through design-based learning versus scripted inquiry : better overall science concept learning and equity gap reduction" 97 (97): 71-85, 2008
18 Gibson, J. E.,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Holt, Rhinehart, and Winston 1968
19 Wells, J. G., "Integrative STEM Education: U.S. Educational Reform, Pedagogical Commons, Design Based Biotechnology Literacy Exemplar" 2014
20 Miller, R.,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Open University Press 2000
21 Gibson, J. E., "How to do a systems analysis" Wiley Interscience 2007
22 Doppelt, Y., "Evaluating the impact of a facilitated learning community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practice and student achievement" 27 (27): 339-354, 2009
23 Doppelt, Y., "Engagement and Achievements : A Case Study of Design-Based Learning in a Science Context" 19 (19): 22-39, 2008
24 Ellefson, M. R., "Design-based Learning for Biology" 2008
25 Fortus, D., "Design-Based Science and Student Learning" 41 (41): 1081-1110, 2004
26 Lorsbach, A., "Constructivism as referent for science teaching"
27 Von Glaserfeld, E., "Cognition,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eaching" 80 : 121-140, 1989
28 Lave, J., "Cognition in practice : Mind, mathematics,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29 Apedoe, X. S.,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 The Heating/Cooling Unit" 17 (17): 454-465, 2008
30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31 교육과학기술부,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