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유식 먹이는 방법이 유아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eaning Food-Feeding Practices on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36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지역 유아원과 수원지역 보건소를 이용하는 337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유식 먹이는 방법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유식 먹이는 방법으로 주로 젖병을 사용했던 유아들에게서 특히 월령이 증가할수록 헤모글로빈 값이 정상범위에 속하는 비율이 증가함을 보였고(p<0.001) 헤마토크리치 값에서는 숟가락을 사용했던 군과 젖병을 사용했던 군 모두에서, 월령이 증가 할수록 정상 범위에 속하는 유아들의 수가 증가하여(p<0.05) 이유기의 부족했던 철분섭취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됨을 보였다.
      이유식 섭식방법에 따른 영양소의 섭취량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영양소의 한국인 영양 권장량의 섭취 비율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36개월 이하 연령군에서, 일일 우유 섭취량은 이유식을 주로 젖병으로 사용했던 유아들이 많았다.(p<0.05). 그러나 일일 섭취한 총식품수는 주로 숟가락을 사용했던 유아들이 더 많아(p<0.05)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이유식 먹이는 방법이 유아의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식품섭취 다양성 및 이유기 빈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유식 먹이는 방법에 바른 영양정보의 전달이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번역하기

      서울지역 유아원과 수원지역 보건소를 이용하는 337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유식 먹이는 방법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유식 먹이는 방법으로 주로 젖병을 사용했던 유...

      서울지역 유아원과 수원지역 보건소를 이용하는 337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유식 먹이는 방법에 따른 영양섭취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유식 먹이는 방법으로 주로 젖병을 사용했던 유아들에게서 특히 월령이 증가할수록 헤모글로빈 값이 정상범위에 속하는 비율이 증가함을 보였고(p<0.001) 헤마토크리치 값에서는 숟가락을 사용했던 군과 젖병을 사용했던 군 모두에서, 월령이 증가 할수록 정상 범위에 속하는 유아들의 수가 증가하여(p<0.05) 이유기의 부족했던 철분섭취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됨을 보였다.
      이유식 섭식방법에 따른 영양소의 섭취량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영양소의 한국인 영양 권장량의 섭취 비율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36개월 이하 연령군에서, 일일 우유 섭취량은 이유식을 주로 젖병으로 사용했던 유아들이 많았다.(p<0.05). 그러나 일일 섭취한 총식품수는 주로 숟가락을 사용했던 유아들이 더 많아(p<0.05)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이유식 먹이는 방법이 유아의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식품섭취 다양성 및 이유기 빈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유식 먹이는 방법에 바른 영양정보의 전달이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ning food -feeding practices on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337 children, aged 18-60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feeling method, using boattles or spoons, during the weaning perio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uring the weaning period, 46% of the mothers mostly used spoons and 44.2% of them used bottles to feed their babies.
      2. Serum iron level assessed by Hb was low in general. Only 50-82% of the subjects at each monthly age were in normal range. As children got older, more of the subjects reached the normal range, which means inappropriate food intake during the weaning period and improved iron nutrional status with diverse foods intakes thereafter. This tendency was more evident among children of the bottle-group.
      3. No differences were shown in individual nutrient intakes between the bottle-group and the spoon-group.
      4. the number of daily consumed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oon-group than in the bottle-group, showing diverse food consumption.
      5. In summary, the feeding method during the weaning period affected the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by changing food intake diversity, which might be related to iron nutritional status and biased food preferenc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ning food -feeding practices on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337 children, aged 18-60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feeling method, u...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ning food -feeding practices on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337 children, aged 18-60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feeling method, using boattles or spoons, during the weaning perio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uring the weaning period, 46% of the mothers mostly used spoons and 44.2% of them used bottles to feed their babies.
      2. Serum iron level assessed by Hb was low in general. Only 50-82% of the subjects at each monthly age were in normal range. As children got older, more of the subjects reached the normal range, which means inappropriate food intake during the weaning period and improved iron nutrional status with diverse foods intakes thereafter. This tendency was more evident among children of the bottle-group.
      3. No differences were shown in individual nutrient intakes between the bottle-group and the spoon-group.
      4. the number of daily consumed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oon-group than in the bottle-group, showing diverse food consumption.
      5. In summary, the feeding method during the weaning period affected the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by changing food intake diversity, which might be related to iron nutritional status and biased food p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