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기업의 목표가 과거에는 주주의 이익 극대화였으나 앞으로는 주주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그 기업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496920
2009
-
323
학술저널
1-17(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기업의 목표가 과거에는 주주의 이익 극대화였으나 앞으로는 주주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그 기업이 ...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기업의 목표가 과거에는 주주의 이익 극대화였으나 앞으로는 주주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그 기업이 속한 사회를 건강하게 발전시키는 일에도 기업의 역할과 사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바탕인 사회가 없다면 기업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것도 기업의 책임과 역할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제 하에서 구매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구매 관리는 구매 기업의 원가를 절감하여 재료비를 줄임으로써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급자에게 지출하는 비용에 관하여 효율적이고 관리 가능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런 이유로서 기업과 공급자들은 서로의 목표와 이익 때문에 충돌하는 경우도 많았고 서로를 갈등의 관계로 보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최근 기업들은 공급자들과 협력 관계 및 상생을 통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창출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구매는 내부적으로는 기업의 이익을 창출하는 기능이지만 외부적으로 본다면 구매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약자인 공급자들을 도와주고 상생을 통하여 그들도 사회에서 성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책임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구매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매 분야의 사회적 책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chasing has been considered as cost reduction department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 company. However, from the poi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pect, purchasing can promote a healthy society for every points of stakeholder, especia...
The Purchasing has been considered as cost reduction department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 company. However, from the poi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pect, purchasing can promote a healthy society for every points of stakeholder, especially purchaser and supplier. In this paper, purchasing role for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examined. Supplier development, green purchasing, legal and ethical arrangements and safe and healthy operations are discussed. Also, co-prosperity between purchaser and supplier has been studied. The reason, purpose, direction, real cases of co-prosperity are widely analyzed.
목차 (Table of Contents)
발주자의 요구사항과 가치항목, 프로젝트의 특성 등을 고려한 발주방식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식품산업의 공급사슬관리 (SCM) 활동이 식품안전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