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mpirical research is to study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tasks about social security act and labor law in Korea. So the author analyzed the whole 169 papers in「Journal of Social Security Law」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mpirical research is to study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tasks about social security act and labor law in Korea. So the author analyzed the whole 169 papers in「Journal of Social Security Law」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This empirical research is to study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tasks about social security act and labor law in Korea.
So the author analyzed the whole 169 papers in「Journal of Social Security Law」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Security.
Through the study, the author can find the 4 future tasks about social security act and labor law.
First, the person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should be applied as the worker in social security system.
Second, the various legal system should be mandatory for the real gender equality.
Third, the labor condition of the non-regular workers should be higher than the regular workers.
Fourth,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ystem should be changed ex-post disciplinary to ex-ante preventive system.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노동환경 변화는 사회보장법 및 노동법의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사회보장법 및 노동법 개혁을 위해서는 관련 연구동향과 향후과제를 분석해보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이...
국내 노동환경 변화는 사회보장법 및 노동법의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사회보장법 및 노동법 개혁을 위해서는 관련 연구동향과 향후과제를 분석해보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이에 필자는 국내 사회보장법 및 노동법의 연구동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연구과제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보장법 관련 국내 최초의 학회인 한국사회법학회의사회법연구 제1호(2003년)부터 제32호(2017년)까지 학술논문 총 169편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 분석하면, 매년 평균 11.27편이 게재되고 있으며, 2003 ~ 2007년(5년) 58편, 2008 ~ 2012년(5년) 43편, 2013 ~ 2017년(5년) 68편 게재되었다.
둘째, 분류별로 분석하면, 사회보장법 관련 논문 83편(49.11%), 노동법 관련 논문 63편(37.28%), 기타 논문 23편(13.61%)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학위별로 분석하면, 법학이 93편(55.03%)을 차지했으며, 사회학 13편(7.69%), 경제학 6편(3.55%), 기타 9편(5.33%), 미기재 48편(28.4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자는 연도별 주요논문 분석을 통해 사회보장법 및 노동법 향후과제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 양성평등 실현, 비정규직 보호, 예방적 산업안전보건시스템 구축 등과 관련된 4가지 향후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경제적 종속성과 사회적 보호 필요성이 인정되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게는 사회보험법상의 자영업자 기준이 아닌 근로자 기준의 사회보험을 적용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직장어린이집 등 다양한 법제도가 마련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양성평등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여러 법제도들을 강행법규화시키는 것도 적극 고려할 만하며, 중장기적으로는 분립적인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전체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법제의 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비정규직에 대한 실질적 보호를 위해서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근로조건을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동일하거나 상회할 수 있도록 강행규정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차별시정의 실효성을 반드시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산업안전보건법의 취지가 산업재해의 감소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사후징벌적 성격에서 사전예방적 성격으로 변화시켜 예방기능을 최대화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문,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산재보험 보호 방안" 한국사회법학회 (5) : 60-80, 2005
2 김진수, "퇴직연금제도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 한국사회법학회 (3) : 49-71, 2004
3 전형배, "제4차 산재예방 5개년 계획의 평가와 과제 - 산업안전보건법 개편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9) : 89-119, 2015
4 이광택, "제4차 산업혁명이 노동시장과 노동사회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법학회 (32) : 281-300, 2017
5 이상광, "재해보상보험법의 인과관계에 관한 고찰 - 상당인과관계설과 중요조건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법학회 (1) : 3-35, 2003
6 이희성, "여성복지서비스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사회법학회 (12) : 169-207, 2009
7 김태환, "시간강사의 사회보험 적용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법학회 (23) : 1-25, 2014
8 김형배, "새로쓴 노동법" 박영사 2016
9 윤애림, "산재보험법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특례제도의 문제점과 대안"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3) : 47-91, 2012
10 나민오, "산업안전보건법의 체계와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19) : 2010
1 김영문,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산재보험 보호 방안" 한국사회법학회 (5) : 60-80, 2005
2 김진수, "퇴직연금제도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 한국사회법학회 (3) : 49-71, 2004
3 전형배, "제4차 산재예방 5개년 계획의 평가와 과제 - 산업안전보건법 개편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9) : 89-119, 2015
4 이광택, "제4차 산업혁명이 노동시장과 노동사회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법학회 (32) : 281-300, 2017
5 이상광, "재해보상보험법의 인과관계에 관한 고찰 - 상당인과관계설과 중요조건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법학회 (1) : 3-35, 2003
6 이희성, "여성복지서비스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사회법학회 (12) : 169-207, 2009
7 김태환, "시간강사의 사회보험 적용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법학회 (23) : 1-25, 2014
8 김형배, "새로쓴 노동법" 박영사 2016
9 윤애림, "산재보험법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특례제도의 문제점과 대안"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3) : 47-91, 2012
10 나민오, "산업안전보건법의 체계와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19) : 2010
11 권혁, "산업안전관련 법제도의 패러다임 변화를 위한 방향 검토" 한국사회법학회 (25) : 21-46, 2015
12 최정섭, "사회보장법" 법문사 2015
13 김엘림, "사회보장법" 한국방송통신대학 2016
14 박승두, "사회보장법의 권리론적 해석체계 정립방안" 법학연구소 37 (37): 309-325, 2013
15 문강분, "미국의 직장 내 괴롭힘의 규율 현황과 입법 논의" 한국사회법학회 (29) : 23-53, 2016
16 백효영,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과제" 한국사회법학회 (18) : 125-180, 2012
17 배호영, "노동분쟁제도 개선에 관한 법적 연구-노동위원회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18 방준식,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관계 - 양 법체계와 관련된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8 (48): 279-298, 2008
19 임종률, "노동법" 박영사 2016
20 박지순, "노동 4. 0과 노동법의 미래, 선진화 정책시리즈"
21 조성혜, "남녀고용평등법의 변천에 비추어 본 실효성과 성중립성" 한국사회법학회 (20) : 55-89, 2013
22 이광택, "근골격계 부담 작업으로 인한 건강재해의 예방" 한국사회법학회 (11) : 25-64, 2008
23 윤석명, "국민연금법 개정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법학회 (4) : 1-32, 2005
24 Josépha Dirringer, "고용의 우버화와 사회법의 응전" 한국노동연구원 2016
25 박지순, "고용보험법의 의의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적용의 확대" 한국사회법학회 (8) : 25-49, 2007
26 박승두, "고용보험법상 양성평등의 실현을 위한 과제" 한국사회법학회 (15) : 37-68, 2010
27 이승길, "간병인의 노동법상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한국사회법학회 (16) : 185-236, 2011
28 Otto von Gierke, "Die Genossenschafrstheorie und die deursche Rechrsprechung"
29 배호영, "4차 산업혁명과 기간제법의 입법적 개선방안" 한국사회법학회 (32) : 1-24, 2017
외국인여성근로자의 노동과 보편적 권리 보장 - 우리 법제에 대한 비판적 접근 -
스칸디나비아 다문화 법적 체계 및 통합 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7 | 0.17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17 | 0.4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