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靖難之變’의 변용과 그 시대적 의미 : 청대 『女仙外史』를 중심으로 = Rewriting of ‘The Battle of Jingnan’ and its Historical Meaning : Focused on the NüXianWaiShi in Q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8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üXianWaiShi is a popular novel created in the early Qing Dynas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popularity of NüXianWaiShi.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Chapter 2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Battle of Jingnan’, it happened in Ming Dynasty. This helps to understand the cause and effect of ‘the Battle of Jingnan’ and to understand what has changed in the novel. Chapter 3 analyzed how NüXianWaiShi rewritng the ‘the Battle of Jingnan’. When compared to history, there are three major changes. First, the opposition camp has changed. ‘the Battle of Jingnan’ was a battle between Emperor Wen Jian and King of Yan. But in the novel, it turned into a fight between Tangsai’er(women) and King of Yan. Second, the battle period was extended. The four-year battle turned into a 26-year battle. Third, the character of the King of Yan has changed. In history, it is regarded as a great king, but in the novel it is described as a wicked and traitor. Chapter 4 analyzes why this novel was popular in the early Qing Dynasty and what it means. This novel was written about ‘the Battle of Jingnan’, which was so popular that 67 people wrote a review. This chapter analyzes the popularity of novels based on 67 reviews. Chapter 5 is an conclusion.
      번역하기

      NüXianWaiShi is a popular novel created in the early Qing Dynas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popularity of NüXianWaiShi.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Chapter 2 describes the development o...

      NüXianWaiShi is a popular novel created in the early Qing Dynas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popularity of NüXianWaiShi.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Chapter 2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Battle of Jingnan’, it happened in Ming Dynasty. This helps to understand the cause and effect of ‘the Battle of Jingnan’ and to understand what has changed in the novel. Chapter 3 analyzed how NüXianWaiShi rewritng the ‘the Battle of Jingnan’. When compared to history, there are three major changes. First, the opposition camp has changed. ‘the Battle of Jingnan’ was a battle between Emperor Wen Jian and King of Yan. But in the novel, it turned into a fight between Tangsai’er(women) and King of Yan. Second, the battle period was extended. The four-year battle turned into a 26-year battle. Third, the character of the King of Yan has changed. In history, it is regarded as a great king, but in the novel it is described as a wicked and traitor. Chapter 4 analyzes why this novel was popular in the early Qing Dynasty and what it means. This novel was written about ‘the Battle of Jingnan’, which was so popular that 67 people wrote a review. This chapter analyzes the popularity of novels based on 67 reviews. Chapter 5 is an co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청대초기에 창작된 소설 『여선외사』가 명대의 사건인 ‘정난지변’을 어떤 방식으로 변용하였는가를 그 서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리고 『여선외사』에 구축된 서사세계에 대한 내적 분석에서 출발해 그 외연을 문인집단의 의식층위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청대 초기 ‘리라이팅’된 정난의 이이야기가 당시 사회에 반향을 일으킨 원인과 그 의미를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청대초기에 창작된 소설 『여선외사』가 명대의 사건인 ‘정난지변’을 어떤 방식으로 변용하였는가를 그 서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리고 『...

      본 논문은 청대초기에 창작된 소설 『여선외사』가 명대의 사건인 ‘정난지변’을 어떤 방식으로 변용하였는가를 그 서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리고 『여선외사』에 구축된 서사세계에 대한 내적 분석에서 출발해 그 외연을 문인집단의 의식층위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청대 초기 ‘리라이팅’된 정난의 이이야기가 당시 사회에 반향을 일으킨 원인과 그 의미를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2. 명대의 정치적 사건 ‘靖難之變’ 3. 『여선외사』 속 ‘정난지변’의 변용 4. ‘정난지변’의 변용과 그 시대적 의미 5. 나오며
      • 1. 들어가며 2. 명대의 정치적 사건 ‘靖難之變’ 3. 『여선외사』 속 ‘정난지변’의 변용 4. ‘정난지변’의 변용과 그 시대적 의미 5. 나오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낙청, "歷史小說과 歷史意識 - 新文學에서의 出發과 問題點" 2 (2): 1967

      2 楊梅, "女仙外史硏究" 南京師範大學 2006

      3 呂熊, "女仙外史" 上海古籍出版社 1991

      4 程國賦, "呂熊及其「女仙外史」新論" 40 (40): 2011

      5 David Rolston, "중국고대소설과 소설평점" 소명출판 2009

      6 루사오평, "역사에서 허구로" 길 2001

      7 김기봉, "역사들이 속삭인다" 프로네시스 2009

      8 김경아, "역사 속 妖賊이 소설 속 巾幗英雄이 되기까지 ― 청대 『女仙外史』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63) : 55-72, 2018

      9 한헤경, "소설평점의 기능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회 (2) : 259-285, 1995

      10 선문대학교 중한번역연구소, "녀션외사 (상·하)" 이회문화사 2005

      1 백낙청, "歷史小說과 歷史意識 - 新文學에서의 出發과 問題點" 2 (2): 1967

      2 楊梅, "女仙外史硏究" 南京師範大學 2006

      3 呂熊, "女仙外史" 上海古籍出版社 1991

      4 程國賦, "呂熊及其「女仙外史」新論" 40 (40): 2011

      5 David Rolston, "중국고대소설과 소설평점" 소명출판 2009

      6 루사오평, "역사에서 허구로" 길 2001

      7 김기봉, "역사들이 속삭인다" 프로네시스 2009

      8 김경아, "역사 속 妖賊이 소설 속 巾幗英雄이 되기까지 ― 청대 『女仙外史』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63) : 55-72, 2018

      9 한헤경, "소설평점의 기능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회 (2) : 259-285, 1995

      10 선문대학교 중한번역연구소, "녀션외사 (상·하)" 이회문화사 2005

      11 金聖嘆, "讀第五才子書法"

      12 李漢秋, "淸代小說" 安徽敎育出版社 1997

      13 김경아, "淸代 《女仙外史》의 재조명" 한국중국소설학회 (46) : 189-210, 2015

      14 趙園, "明淸之際士大夫硏究" 北京大學出版社 1999

      15 "明太宗實錄 卷222"

      16 谷應泰, "明史紀事本末" 中華書局 1977

      17 劉廷璣, "在園雜誌" 中華書局 2005

      18 祝允明, "國朝典故 卷32" 北京大學出版社 1993

      19 譚帆, "中國小說評點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20 石昌渝, "中國小說原流論" 三聯書店 1994

      21 趙寬熙, "中國 古典小說 評點硏究― 논의의 출발점 또는 예비적 탐색" 한국중국소설학회 16 : 57-79, 2002

      22 劉倩, "“靖難”及其文學重寫" 中國社會科學院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